-
-
달러 - 사악한 화폐의 탄생과 금융 몰락의 진실
엘렌 호지슨 브라운 지음, 이재황 옮김 / 이른아침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달러>는 미국의 공식 화폐인 달러를 둘러싼 역사적 논쟁, 특히 연방준비은행의 허구성과 유력 금융사, 기업들의 개입, 정부와의 커넥션, 관련 정치인들에 대한 내용 등을 총 700여 페이지에 걸쳐 설명한다. 1971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닉슨이 변동환율제를 채택하면서 브레튼우즈 체제가 사실상 무너지고, 달러가 세계의 실질적인 기축통화가 된 이후의 정세를 비롯해, 중동 산유국과 달러의 연계, 다른 나라(미국의 입장에서 멕시코, 독일, 러시아, 일본, 중국, 인도 등을 지칭)의 통화 정책 사례가 이어진다. 2008년 금융 위기 이후에 대한 얘기가 덧붙여진 것도 주목할 만하다.
원제 'The Web of Debt(빚의 그물)'에서 연상할 수 있듯이 이 책은 누구도 보장해주지 않는 통화인 달러의 불안정성 때문에 세계 금융이 위기에 몰렸다고 주장한다. 책에 따르면 달러는 미국 정부가 아닌 연방준비은행(FRB)에 의해 발행되는데, 연방준비은행의 실상은 민간은행과 금융사의 합작사에 불과하다고 한다. 결국 일부 민간은행과 금융사의 계산에 따라 달러의 가치와 향방이 결정되고, 달러 대비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부분의 국가들(수입국)은 점점 이들의 계략에 종속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얘기들은 오늘날 대부분의 대학 강의실에서 논의되는 주류 경제학의 입장 -특히 자유무역이나 시장경제- 을 전적으로 옹호하는 것은 아니다. 아담 스미스가 얘기한 경제학의 바탕은 지키되 , 어느 정도 국가와 중앙은행의 역할(FRB처럼 민간은행이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정부은행의 형태)을 확장해야 한다는 입장에 가까운 것 같다. 노동에 근거한 화폐 가치의 산출, 수요보다 공급 창출에 기여하는 정책, 자국 화폐와 무역 수호 등에 대한 입장은 (요즘의 주류 경제학에 비하면) 파격적이라는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이 책은 전반부와 각 챕터 서두에 걸쳐 미국의 동화 <오즈의 마법사>를 언급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동화 속의 인물, 지역, 명칭부터 내용 하나하나가 연방준비은행이 택한 통화제도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더욱 재밌는 것은 이 동화가 미래의 상황까지도 예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을 언급하는 챕터에서 언급된 이야기는 정말 작가의 예견일까, 아니면 저자의 추측이 우연히 맞아떨어진 것일까?
정치외교학이 주전공이다보니 경제나 금융에 대한 얘기보다도 달러의 영향을 받는 미국 외 국가에 대한 얘기가 특히 재밌었다. 국제 분쟁사의 주요 이슈 중 하나인 석유 문제도 결국 미국의 유력 은행과 금융사들이 개입된 것이고, 남아메리카의 뿌리 깊은 반미감정, 세계 패권을 두고 (보이지 않게) 대립하고 있는 미-중 관계도 결국 달러 문제로 귀결된다는 것이 책의 주장이다. 2차 세계대전과 이후의 냉전도 실상은 통화정책을 둘러싼 정부와 외국(주로 미국이나 영국)의 견해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모든 대립과 분쟁의 원인인 달러를 만든 미국은 영국에 대해 조세를 폐지하고 통화정책에 간섭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다가 독립을 한 나라이다. 그런 미국이 오히려 이제는 달러를 통해 국제 금융은 물론 주권국의 경제정책에 간섭하는 일을 서슴지 않고 있다는 주장을 읽으니 기분이 묘했다.
금융, 통화, 화폐 등의 개념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 것인가. 다양한 답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인 '기회비용'을 생각해보면 어떨까.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환경과 에너지 위기, 식량 안보의 위협, 끊이지 않는 분쟁 등의 이슈를 포함하여, 지금까지도 계속 되고 있는 세계 금융 위기의 여파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 책의 주장대로 달러의 불안정성이 일부 집단의 잘못된 이기심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에 따른 대가는 이미 시작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연약한 세계가 그것을 몸소 보여주고 있는 것일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