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골목의 끝에, 첼시 호텔 ㅣ 문학동네 청소년 76
조우리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3월
평점 :

누군가 "십 대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가?"라고 묻는다면, 내 대답은 "아니오."다. 하루 중 몇 시간을 공부하는 지가 대학 간판을 결정한다 같은 말에 세뇌되어 당장 하고 싶은 일, 그때 아니면 못할 일을 포기하거나 대학 입학 이후로 미뤄야 했던 그 시절을 반복한다는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오! 사랑>, <얼토당토않고 불가해한 슬픔에 관한 1831일의 보고서> 등을 쓴 조우리 작가의 신작 장편 소설 <모든 골목의 끝에, 첼시 호텔>의 주인공 심락영을 보면서 그 시절 나의 모습이 자동적으로 떠올랐다.
고등학교 2학년인 락영은 학급 반장에 서울대를 목표로 할 정도로 공부도 잘한다. 락영이 이렇게 일찍부터 자기 앞가림을 잘하는 아이로 자란 건, 몽상가인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 때문에 꿈을 포기한 어머니의 영향이 크다. 젊은 시절 밴드의 기타리스트였던 아버지는 현재 서울 종로의 뒷골목에서 '첼시 호텔'이라는 이름의 LP 바를 운영하며 여전히 음악에 빠져 살고 있다. 벌이가 시원치 않은 아버지 대신 어머니가 공무원으로 일하며 세 식구를 먹여 살리고 있고, 락영은 그런 부모를 보면서 자신은 가능한 한 좋은 대학에 들어가 좋은 직장에 입사해 하루 빨리 경제적 안정을 이루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중간고사가 끝난 날인데도 공부를 하려고 스터디카페에 간 락영은 같은 반 아이인 정지유와 마주친다. 같은 스터디카페에 다닌다는 걸 알게 된 두 사람은 같이 편의점에 가고 커피우유를 나눠 마시면서 급속도로 친해진다. 그런데 며칠 후 누군가 지유의 책상에 긴 지렁이 같은 벌레 수십 마리를 놓고 가는 사건이 발생한다. 지유의 친구이자 학급 반장으로서 책임감을 느낀 락영은 앞장서서 범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담임 교사는 쓸데 없는 일에 정신 팔지 말고 공부나 하라고 한다. 이때 같은 반 남학생 김도영이 두 사람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는다. 대체 범인은 누구일까.
이 소설은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된다. 하나는 락영이 친구 지유, 도영과 함께 '연쇄 벌레 테러'를 일으킨 범인을 찾으러 다니는 과정이고, 다른 하나는 락영이 아버지가 운영하는 첼시 호텔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다. 그동안 입시 공부와 학종 관리를 하느라 친구들과 마음 편히 어울리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지 못했던 락영은 지유, 도영과 범인을 찾으러 다니면서 비로소 십 대 청소년다운 나날을 보낸다. 이 과정에서 세 사람 사이에 다양한 감정이 생겨나는데, 각자의 감정이 어디로 향하고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끝까지 긴장을 놓지 않고 봐주었으면 좋겠다.
첼시 호텔 또한 락영의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공간이다. 락영은 내심 첼시 호텔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이곳을 찾는 손님들을 한심하게 보았다. 남들은 성공하려고 노력하고 한 푼이라도 더 벌려고 하는데, 이곳 사람들은 음악이나 듣고 술이나 마시면서 세월을 보내는 게 미련하고 어리석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락영 자신이 정신적으로 위기 상태에 놓였을 때(번아웃이 아닌가 싶다)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며 예전과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다. 첼시 호텔에 오는 사람들은 세상을 피해 도망 와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마침내 이곳에 도착한 거라고. 이런 깨우침을 주는 공간이 십 대 시절의 나에게도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나에게 첼시 호텔 같은 공간에서 음악을 들으며 술을 마시는 취미는 없지만, 비슷한 효과를 주는 시간은 있다. 바로 책을 읽는 시간이다. 책을 읽는 동안에는 현재의 우울이나 미래의 불안을 잊을 수 있다. 아무 책이 아니라 좋아하는 책, 재미있는 책을 만나면 그 효과가 더 크다. 책을 읽는 행위 자체가 돈이 되거나 미래를 보장해주는 건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에게는 쓸데없는 정도를 넘어 퇴행적인 취미로도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나에게는 이 시간이 없으면 다른 시간을 버틸 힘이 안 생긴다. 첼시 호텔을 찾는 사람들에게 첼시 호텔이 꼭 그런 존재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