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 더 풀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예측할 수 없는 치유활동을 읽고 난 후, 마음속 짐이 사라짐을 느끼다
국내에서 <공중그네> 다음으로, 두 번째 소개된 <인터풀>이지만, <공중그네>는 2004년 <인더풀>은 2002년에 일본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인이 건네주면서 <인더풀>보다 <공중그네>를 먼저 읽어야 재밌을거라 했다. 읽고 나니,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알게 되었다.
피해망상증에 빠진 도우미, 아내에게 버림받았지만 화를 내지 못한 회사원, 스트레스성 컨디션 불량에 빠져 수영을 통해 탈출구를 찾던 카즈오, 소심한 성격을 고치려고 역으로 활발하게 애쓰다가 결국 휴대폰 의존중에 빠진 청소년, 자신과 관련되어있는 일은 확인하고 확인해야 마음이 편한 르포 작가를 만났다.
다채로운 인물의 삶과 함께, 이라부식의 제멋대로 해결책을 읽는 재미까지, 일상에 탈출한 느낌이라 할까, 읽고 나면 기분이 후련해진다. 환자들이 겪는 마음의 병의 일부가 내 마음속 짐 중의 하나와 같다는 걸 알게되었고, 해결책도 알게되었기 때문이다.
# 함께 나누는 건 좋지만, 절대 '의지'하려 애쓰지 마세요.
환자의 환경이나, 고민을 듣기 싫어하는 이라부 의사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정신과 의사의 이미지를 파괴시킨다. 소설이기에 가능한 설정, 실제 현실이였다면 바로 의사직을 박탈당했을 것이다. 환자의 상황을 알려고 애쓰지 않고, 환자와 함께 문제를 경험하고, 몸으로 보여줌으로써, 환자 스스로 자각하게 만든다.
말도 안 되는 말 속에 담긴 뼈있는 말은 대책없는 의사로 면박하지 않고, 조금 더 진료를 신경써 보게 만든다. 비용도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지만, 누군가 내 고민에 함께 움직여지고 편하게 이야기 할 수 있게 도와준다면, 정말 행복하지 않을까. 이라부에게는 어떤 말을 하더라도 걱정이 되지 않는다. 모든 걸 농담처럼 가볍게 만들어버리기 때문이다.
너무 비상식적이여서 오히려 화를 낼 수 가 없다. 미워할 수 없는 천진난만한 캐릭터, 내 마음속 주치의로 딱이다. 타인의 시선과, 마음속 불안 등 눈으로 바로 알 수 없는 마음의 병은 남에게 보여 줄 수 없기에 더 답답하고 속상하다.
결국 스스로 마음의 병을 인식하고 해결하려 애쓰지 않는 한 치유할 수 없다는 걸 배우게 된다. 그것이 자신의 스스로 생각했던 대로 해결을 하던지, 투구를 벗던지 간에, 병이 있으면 해결책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문제는 스스로 인정하려 하지 않거나, 누군가 해결해 주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결국 모든 문제는 스스로 짓고, 겪고,
괴로워하고, 안달하고, 후회하고, 인정하고, 해결한다. 주변의 사람은 도와줄 수 있을 뿐이다.
# 평범한 일상이 지겹고 따분할 때,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는 책.
즐거운 마음이나, 유쾌한 기분일 때보다, 마음 속이 답답하고 짜증이 날때 가볍게 읽어보면 좋다고 생각한다. 내가 왜 이런일을 해야 하는지 답답할 때, 괜히 속상하고 짜증날 때, 누군가 너무 미워 때려주고 싶을 때, 실제 행동으로, 남에게 짜증내지 말고, 이라부 의사의 엽기 치료기를 함께 동행하고 나면, 속상한 마음도 그 어처구니 없음에, 무더운 여름날 녹는 아이스크림처럼 흐물흐물 변하게 될 것이다.
스트레스는 항상 안고 가는 것이기에 없앨 수 없다. 단지 시선을 바꾸는 것이 나을 뿐이다 라는 책 속의 이야기에 동감한다. 마음속 불안을 없앨 순 없다. 단지 더 좋고 긍정적인 생각을 바라보고 극복하는데 힘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 힘들지만.. 아프지만.. 괴롭지만.. 그 마음에 지지 않는 법.. 마유미 간호사의 눈초리는 무섭지만, 주사 한 대를 맞고 그것을 베시시 웃으며 바라보는 이라부와 어처구니 없는 대화를 하다보면 마음속 짐도 조금은 덜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마음속에 담긴 부담감이 책을 읽은 후 덜어졌다. 기분을 좋게 하는 책이기보다 마음의 짐을 덜어주는 책, 서가에 한쪽에 잘 모셔두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