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
화려한 모란이 지고 나면 탐스런 작약이 피어난다. 작약 피면 비로소 무르익은 봄을 한껏 누리게 된다. 꽃으로는 화중왕이라는 모란과 견줘도 손색이 없다. 다양한 색상도 이목을 사로잡기에 한몫한다. 뿌리를 심어 3년째 들어가는 내뜰의 작약도 피기 시작했다.


원예종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아름다워 옛날부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해 왔으며 반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잎과 줄기에 털이 없고 뿌리가 굵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피는데 크고 아름답다. 꽃색은 붉은색, 흰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모란과 꽃으로 흔하게 혼동하는데 모란이 나무라면 작약은 풀이다.


섬돌 위에 나부끼는 작약 한송이
맑게 갠 날 한들한들 교태부리네


봉지에서 재자들 그대를 노래했고
진수에선 미인의 정 그대에게 붙었어라


떨어지는 꽃 이파리 바람 따라 날아가고
스러지는 붉은 빛깔 햇빛 받아 타오르네


나그네 생활시 지을 뜻 그다지 없었는데
그대 모습에 저절로 한 편을 이루었네


*조선 중기 문인 장유의 '작약을 노래하다' 라는시다. 예나 지금이나 화려한 작약의 자태나 그 꽃을 보는 사람의 마음 모두 변함이 없다.


아름다움으로 오나라를 망치게 했던 서시와도 비교되고 지역에 따라 함박꽃이라고도 부르는 작약은 의외로 '수줍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승달

산벚꽃 지듯 잠깐이면 사라질 초승달
그대 숨쉬는 하늘에서도 저 달 보이는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꽃으아리'
지난해 우연히 널 마주하고선 긴가민가 아리송하면서도 반가웠다. 조금은 퇴색한 하얀색에 지는 듯한 꽃상태를 보는 아쉬움이 있었다. 하여, 올해는 보고 싶은 마음에 조금 서둘러서 찾아갔다. 핀 꽃에다 꽃이 다 열리기전 귀한 모습까지 보여준다.


우리나라 각지의 햇볕이 잘 드는 숲 안, 숲 가장자리, 길가에 자라는 낙엽지는 덩굴 나무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으아리속 식물 가운데 가장 큰 꽃을 피운다.


꽃은 5-6월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보통 8장이지만 변이가 있고,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없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비교적 큰 꽃에서 전해지는 깨끗하고 품위 있는 모습에서 연상되듯 '아름다운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온 2016-05-08 12: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부안 석불산에서 봤어요
 

'숨의 언어'
빛과 만나 새로운 세상을 연다. 말하지 않고도 모든걸 말하주는 힘이다.


순하디 순한 이 순간이 좋다.
그대를 바라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벌깨덩굴'
쌍쌍이 핀 꽃이 눈을 부아리고 한쪽방향을 노려보는 듯하다. 계곡 물가에 한창인데 지난해보고 이름도 불러주지 못하다가 올해는 반갑게 눈맞춤한다. 이렇게 이름부를 수 있어 얼마나 다행이냐.


우리나라 각지의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숲 속에 약간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벌들이 좋아하고 잎이 들깻잎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왜 덩굴이라고 할까 싶었다.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덩굴이 자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꽃줄기가 된다니 비로소 알겠다.


5월에 자줏빛으로 피는 꽃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서 한쪽으로 달린다. 꽃의 모양이 길고 입구가 갑자기 굵어진다. 아래쪽 꽃잎의 가운데갈래조각은 특히 크고 옆갈래조각과 함께 짙은 자주색 점이 있으며 긴 흰색 털이 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하는 벌깨덩굴은 '순결', '존엄'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