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기린초'
한여름 하늘의 별이 땅으로 내려와 노란별꽃로 피었다. 자잘한 별들이 모여 꽃봉우리를 만드니 별무리다. 그 꽃이 지고난 후 하얀 별로 다시 피어 한 겨울에도 빛나고 있다. 하늘에서 온 모습 그대로 추운 겨울을 나며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하는지도 모르겠다.


바닷가 마을에서 깨진 화분으로 갑갑한 옷을 벗어던진 모습으로 내가 왔다. 이제는 집으로 들고나는 문 한쪽을 지키며 철따라 다른 모습으로 찾아오는 이들을 반긴다.


줄기가 상상의 동물인 기린 목처럼 쭉 뻗은 모습에서 기린초라 불렀다고도 하고, 약초로 이용되는 식물 중 그 기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하여 '기린초'라고도 한다.


비슷한 종류로는 가는기린초, 넓은잎기린초, 애기기린초, 섬기린초, 태백기린초, 큰기린초 등이 있으나 구별이 쉽지 않다. '소녀의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털이슬'
밤사이 살포시 내린 눈이 겨울숲의 색조를 특별하게 한다. 이 특유의 빛으로 겨울을 기억하는 한 함께 떠오를 이미지다. 눈과 적당한 그늘과 숲의 서늘함까지 고스란히 담는다.


꽃이 진 후 열매로 만났으니 이제 때를 놓치지 않고 꽃을 볼 수 있어야 열매의 특별한 이유를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수많은 다리로 살아야하는 생명을 보듯 경외감으로 다가온다. 동물들의 털에 붙어 서식지를 넓혀야 하는 생존의 문제가 여기에 있었을 것이다.


'털이슬'은 이슬처럼 매달린 열매에 털이 잔뜩 난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꽃은 8월에 흰색으로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여러 개씩 달린다. 꽃받침 잎은 녹색으로 2개이고, 흰색의 꽃잎도 2개이며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그늘진 숲에서 새싹을 돋아 꽃피고 열매 맺기까지 작고 작은 생명이 겪어야 하는 과정은 기다림의 연속이 아니었을까. '기다림'이라는 꽃말이 이해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음나무'
굵은 가시로 무장하고서도 스스로를 지킬 수 없다. 하여 빨리 키을 키워 높이 올라가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억센가시와 연녹색의 새순으로 기억되는 나무다. 유독 빨리 자란다. 억센 가시로 자신을 더 돋보이게 한다. 자구지책이지만 새순을 지키기 위한 몸부림이다.


이른봄 넓고 푸른 잎이 주는 알싸한 맛에 봄이면 나무 곁을 서성이며 틈을 노리다가 어느순간 툭 꺾인다. 특유의 맛과 향으로 식도락가들이 아니라도 좋아한다. 음나무는 올해도 키을 키우기는 틀렸나 보다.


험상궂은 가시가 돋아 있는 음나무 가지는 시각적으로 귀신이 싫어한다고 생각한 옛사람들은 음나무를 대문 옆에 심어두거나, 가시 많은 가지를 특별히 골라 문설주나 대문 위에 가로로 걸쳐 두어 잡귀를 쫓아내고자 했다.


꽃은 더운 여름날 가지 끝마다 모여 연노랑 꽃이 무리를 이루어 핀다. 가을 단풍이 드는 커다란 잎도 볼만하다.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신방리 음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64호,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의 음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06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가시가 엄嚴하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엄나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국가식물표준목록에는 음나무로 등록되어 있어 음나무로 불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느티나무'
든든한 나무 한그루 곁에 둘 수 있다면 행운이다. 곁이란 물리적 공간일 필요는 없다. 그곳이 어디든 우뚝선 나무 한그루 가슴에 담고 그리워 해되 될 것이기에. 나무는 그렇게 사람과 함께 살며 사람들이 떠난 자리를 지킨다. 가고 오는 길 사시사철 늘 눈맞춤한다.


느티나무는 당산나무나 정자나무로 마을 입구나 한가운데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다. 넉넉한 나무 품에서 더위를 피하고 마을을 들고나는 사람들의 휴식과 위안을 준다.


뿐만아니라 쓰임새가 너무 많은 느티나무다. 나무가 단단하고 비틀림이 적고 새과 무늬가 아름다워 사방탁자, 뒤주, 장롱, 궤짝 등의 가구재로도 사용했다. 또한,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해인사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법보전, 강진 무위사, 부여 무량사, 구례 화엄사의 기둥은 전부, 혹은 일부가 느티나무로 훌륭한 건축재로도 사용 되었다.


정월 보름을 하루 앞 둔 오늘 느티나무 아래 당산제를 모신다.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것이다. 하여, 며칠전부터 금줄을 치고 부정한 것을 막고 정갈한 마음으로 한해의 안녕을 비는 것이다. 가만히 나무 앞에 서 두손 모아 합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사시나무'
봄철 달걀모양의 푸른잎이 하늘거리는 바람에 쉴사이 없이 흔들린다. 햇빛이 반사되는 잎에선 반짝바짝 빛이 난다. 늘씬한 키에 은빛나는 수피로 주목받기에 충분하다.


은사시나무가 더 주목받는 계절은 겨울이다. 낙엽 떨구고나서 맨 몸 그대로를 드러내며 겨울 숲에서 자신의 존재를 한층 부각시킨다. 눈이라도 오면 오히려 더 드러나는 나무다.


사시나무와 은백양 사이에서 생긴 자연잡종을 은사시나무라하고, 인공잡종은 현사시나무라고 한다. 한국전쟁 이후 헐벗은 산을 숲으로 가꾸기 위해 빨리크는 나무로 선정되어 심었다고 한다.


필요에 따라 심었지만 그 효용성이 사라져 천덕꾸러기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도로를 지나다보면 군데군데 무리지어 있는 나무를 보는 마음에 안타까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