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별꽃'
푸른 하늘의 별이 땅으로 내려와 피었단다. 사람의 곱디고운 싱성이 만들낸 꽃이다. 작고 여린 것이 겨울을 이겨내고 환하게 웃는다.


두해살이풀이다. 전 세계에 두루 분포하며, 마을 부근이나 길가의 축축한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꽃은 3-4월에 가지 끝에 피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꽃이 진 후 밑으로 굽었다가 열매가 익으면 다시 곧추선다. 꽃받침잎은 5장이다. 꽃잎은 5장, 깊게 2갈래로 갈라지며, 꽃받침잎보다 조금 짧다.


별꽃은 쇠별꽃보다 크기가 작으며 암술대가 3개로 암술대가 5개인 쇠별꽃과 뚜렷이 구분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옛날에는 풀 전체를 소금과 함께 볶아서 치약 대용으로도 써 왔다.


인간의 우주를 향한 꿈을 담은 것일까? '추억'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귀나무'
붉은 왕관의 꽃이 유난히 반짝였다. 하지만 꽃보다 다른 무엇에 주목하여 귀하게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 나무가 그렇다. 꽃보다 잎이다.


자귀나무는 콩목 콩과의 식물이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관상수로 심기도 한다. 열매로만 본다면 아까시나무와 구별이 쉽지 않다.


두 잎을 맞대고 밤을 보내는 특징 때문에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이로부터 안방 창가에 심어두면 부부 금술이 좋아진다는 말이 유래되기도 한다.


꽃은 6~7월이면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달리며 기다란 분홍 수술이 술처럼 늘어져 매우 아름답다. 열매는 콩과 식물답게 콩깍지 모양이다. 금세 떨어지지 않고 겨울 바람에 부딪혀 달가닥거린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신경쇠약·불면증에 약용한다.


역시 나무잎에 주목하여 '가슴이 두근거림', '환희'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롱나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마음을 닿듯 슬그머니 손으로 만진다. 붉고 햐얀 왕관을 준비하는 긴 겨울의 몸통에 물이 오르고 있다. 표피가 아름다운 노각나무, 모과나무, 버즘나무 등과 함께 저절로 만져보게 된다. 내 손의 온기가 전해지기를...


중국이 원산지인 낙엽지는 중간크기의 나무다. 주로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추위에 약하기에 남부지방에 많으며 가로수로도 심는다.


수고 5~6m 정도로 구불구불 굽어지며 자란다. 수피는 옅은 갈색으로 매끄러우며 얇게 벗겨지면서 흰색의 무늬가 생긴다. 줄기를 간지럽히면 간지러운듯 가지가 흔들어진다. 그래서 간지럼 나무라고도 한다.


꽃은 새 가지 끝에 여러 송이가 모여 핀다. 보랏빛을 띤 짙은 분홍색인데 흰 꽃이 피는 것도 있다. 꽃이 지고 난 뒤에 둥근 열매를 맺고 익으면 여섯 갈래로 갈라진다.


꽃에 주목하여 자미화(紫薇花), 백일홍(百日紅), 만당홍(滿堂紅)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꽃이 오래도록 피기 때문에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부른다. '부귀'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피마자'
아주까리라는 이름으로 더 정겹다. 정월대보름 달빛이 환한밤 불놀이에 태웠다. 찰밥에 나물로 먹었던 기억 속 식물이다. "열라는 콩팥은 왜 아니 열고 아주까리 동백은 왜 여는가"하는 강원도 아리랑의 한구절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인도·소아시아·북아프리카 원산으로 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이다.


피마자는 아주까리라고도 하는데 그 씨를 말하며 잎은 피마엽,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피마유 또는 피마자유라고 한다. 기원 전 2000년 무렵부터 인도에서는 피마자 씨 기름을 등불의 기름으로 썼으며, 약으로도 썼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씨 세 개가 들어 있다. 씨에는 얼룩무늬가 있다. 이 씨로 기름을 짠다.


머리를 단장할때 쓰여서 그럴까? '단정한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개불알풀'
옹기종기 모여 하늘 바라보는 모습이 앙증맞다. 다소 민망한 이름을 얻었는지만 이름보다 훨씬 멋진 모습이 당당하다. 늦봄에 핀다는데 이젠 때를 가리지 않고 한겨울에도 볼 수 있다.


유럽·아시아·아프리카에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많이 자란다. 길가나 빈터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 부분이 옆으로 뻗거나 비스듬히 서고 윗부분이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짙은 색깔의 줄이 있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열매는 편평한 심장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파지며 양끝이 약간 뾰족하고 그물 무늬가 있다.


개불알풀의 종류 중 크다고 붙은 이름이다. 열매가 개의 불알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봄까치'라는 이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봄에 비교적 일찍피어 봄을 알리는 꽃이라는 의미의 꽃말은 '기쁜 소식'이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