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望月 망월

未圓常恨就圓遲 미원상한취원지

圓後如何易就虧 원후여하이취휴

三十夜中圓一夜 삼십야중원일야

百年心思摠如斯 백년심사총여사

달을 바라보며

둥글기 전에는 어여 둥굴기만 바라더니

둥근 뒤에는 어찌 그리 쉬이 기우는가

서른 밤 중에 둥글기는 단 하룻 밤인걸

평생에 마음 쓰는 일들 다 이와 같구나

*조선사람 구봉 송익필(宋翼弼, 1534~1599)의 시다.

달을 보는 것이 사람 사는 일을 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 절정의 순간 만을 바라보며 달려온 시간이 둥근달을 기다리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하룻밤이면 기우는 것을.

화양연화花樣年華를 바라는 마음도 이와 다르지 않다.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정점은 만개한 때 만이 아니다. 역경 속에서 꽃을 준비하고 꽃을 피워 열매 맺고 지는 모든 순간이 다 화양연화라 보아야 한다. 생명이 어느 한순간만이 주목받아야 할 이유가 없는 것과 다르지 않다.

긴 겨울이 만들어 낸 복수초가 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맞이는 몸보다 마음이 급하다지만

걸음을 끌고가는 것은 문턱을 넘는 발걸음일지도 모른다.

몸을 움직이는 것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일이다.

이끼에 맺힌 물방울이 봄을 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침엔 눈이라도 오려나 싶었는데 이내 구름이 걷히면서 햇살이 좋다. 한줌의 볕도 소중한 이때라 빛을 받아 눈에 들어오는 모든 것이 소중하고 반갑다.

겨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들을 눈으로 확인하는 시간이 이른 봄이다. 새순이 돋아나고 꽃눈에 생기가 도는 일을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에 온기가 돈다. 겨울을 잘 건너온 모든 생명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가 아닐까 한다.

미선나무의 꽃눈이 꾸물거리며 기지개를 켠다. 나도 따라 겨우내 여몄던 옷깃을 풀어 본다. 가슴을 열어 깊은 호흡이 필요한 때다.

비로소 아린芽鱗이 열리는 소리를 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은 빛과 온기로 온다. 언땅이 몸을 녹여 틈을 내주면 어둠 속에서 세상을 꿈꾼 새싹들이 꿈들대며 고개를 내민다. 이를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이 햇살의 부드러운 온기다.

상사화相思花. 지난 가을날의 지독했던 그리움이 새로운 몸짓으로 내일을 연다. 이를 축복이라도 하듯이 안부를 묻는 햇살의 위로가 가득하다. 다시 찬란하게 피어날 그날을 향해 멈추지 못하는 길을 나선다.

매화 몇송이 피었다고 봄이 온 것은 아니라지만 그 꽃이 피어야 봄은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과 봄

밤과 낮

볕과 그림자

공간과 시간

당신과 나

경계는 서로를 품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