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모처럼 햇살이 스며든다. 고추, 가지, 깻잎 등 남은 텃밭 정리하고, 감을 따고 나면 뒷산 여전히 고울 물매화의 마지막 모습을 보고, 가을이 여물어가는 숲 속에 무엇이 더 있을지 늦은 걸음으로 올라가 볼 것이다.

툇마루를 건너 온 새들의 재잘거림, 마루를 지나 스며드는 햇살로 눈부신 하루를 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랫만에 햇살이었다. 한 낮 그 햇볕의 따스함을 그대로 담아 거리에 서는 사람들의 가슴에 온기로 가득하길 소망한다.

백성이 역사의 주인으로 당당했던 그 거리에 다시 그때의 그 백성이 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 홀로 가는 길'
贈李聖徵令公赴京序

누런 것은 스스로 누렇다 하고, 푸른 것은 스스로 푸르다 하는데, 그 누렇고 푸른 것이 과연 그 본성이겠는가? 갑에게 물으면 갑이 옳고 을은 그르다 하고, 을에게 물으면 을이 옳고 갑은 그르다고 한다. 그 둘 다 옳은 것인가? 아니면 둘 다 그른 것인가? 갑과 을이 둘 다 옳을 수는 없는 것인가?

나는 혼자다. 지금의 선비를 보건데 나처럼 혼자인 자가 있는가. 나 혼자서 세상길을 가나니, 벗 사귀는 도리를 어찌 어느 한 편에 빌붙으랴. 한 편에 붙지 않기에 나머지 넷, 다섯이 모두 나의 벗이 된다. 그런즉 나의 도리가 또한 넓지 않은가. 그 차가움은 얼음을 얼릴 정도지만 내가 떨지 않고, 그 뜨거움은 흙을 태울 정도이나 내가 애태우지 않는다. 가한 것도 불가한 것도 없이 오직 내 마음을 따라 행동할 뿐이다. 마음이 돌아가는 바는 오직 나 한 개인에게 있을 뿐이니, 나의 거취가 느긋하게 여유가 있지 않겠는가.

*유몽인柳夢寅(1559∼1623). 조선 중기의 문신·설화 문학가다. 이글은 북인에 속하는 유몽인인 서인인 이정구와의 우정을 회고하고 진정한 우정의 소중함을 담고 있는 '贈李聖徵令公赴京序'의 일부다.

섭정攝政의 시대, 잃어버린 것이 어디 정치에 그치랴. 세상이 하수상하니 꽃도 제 철을 모르고 핀다. 봄 꽃이 가을에 피어 그 붉음을 더하니 보는 이의 마음에 무서리가 내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넓지 않은 뜰을 거닐다 마주친 무엇하나 손길 머물지 않은 것이 없다. 이웃 어르신들의 배려로 새식구 들어와 가장자리에 자리 잡았다.

어제와는 다른 목소리를 내는 이들의 본래 마음은 어제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안다. 계절이 바뀌면 새로운 옷을 입는 것이 당연하다는듯 다른 목소리에 진뜩 힘이 들어 있다. 그것이 본래 제 모습이라고 용을 써도 부자연스러운건 어쩔 수 없다. 그것도 제 살 길 찾는 일이리라.

시간이 필요한 것은 시간에 맡겨두고 제 때 제 일을 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어가는 들녁은 애써 앞당기는 가을의 스산함으로 가득하다. 쑥부쟁이보다 산국의 향기가 더 가까운 것이 이제 가을도 한복판으로 들어선 것이다.

다시 비, 무겁고 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