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나무가 시간을 쌓아 품을 키우고

그 힘으로 꽃을 피운다.

시간이 만들어 놓은 돌을 깎아

간절함을 세웠다.

나무와 탑이 서로의 시간 앞에 경의를 표한다.

사람들이 합장하는 이유와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의 기운이 닿아

쌓인만큼 마음껏 펼쳤습니다.

움츠린 가슴을 펴야

비로소 봄인게지요.

당신이 나의 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박하고 단정하고 때론 천연덕스럽기도 하다. 더군다나 우아함 속에 화려함까지 갖추고 있다.

좋아하는 꽃을 이런저런 사연으로 찾아다니지만 그중에서도 애써 놓치지 않고 찾아보는 모습 중 하나다. 막 피어나는 중이지만 자신의 상태를 온전히 드러낸다.

같은 꽃을 보더라도 마음 상태에 따라 다른 느낌이다. 사람이 달라지면 그 감흥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 다른 이의 시선을 보는 이유 중 하나다.

너나 나나 속내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은 버거울지도 모른다. 그래도 어쩌랴 엿보이는 마음이야 달리 도리가 없기에 감당할 수밖에 없다.

짧은 시간에 주고 받은 이야기가 제법 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든 생명의 그 본성은 붉다. 꽃들이 화려한 색과 몸짓으로 봄을 불러온다지만 그것은 다 서막에 불과하다. 봄은 언땅을 뚫고 올라오는 새순의 붉음을 보아야 비로소 시작된다. 봄을 새로운 희망으로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독 봄앓이가 서럽도록 아름다운 것은 붉은 생명의 속내가 꿈틀대기 때문이다. 붉은 생명의 기운이 생동하는 작약의 새순이다. 내가 봄을 맞이하는 근본으로 삼는다.

내 속이 붉은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구소한도 九九消寒圖

옛 선비들은 추운 겨울 동짓날에 창호지에 흰 매화꽃 81송이 (9×9=81)를 그려 벽이나 창문에 붙여놓고 다음날부터 하루에 한 송이씩 빨갛게 색칠을 했다.

그로부터 81일 되는날 빨갛게 칠한 매화꽃이 완성될때쯤이면 창밖에는 진짜 매화가 꽃을 피워 봄을 알려주었다. 비로소 겨우내 함께했던 소한도를 걷어내고 뜰 앞에 핀 매화를 맞이했으니 일상을 사는 멋이요 풍류가 아니였을까 싶다.

구구소한도는 다양한 형태로 즐겼는데 그중에는 9획으로된 9글자를 하루에 한획씩 쓰면 81일후에 홍매화가 피는 봄이 오는 것이다. 이때 쓰인 글자가 정전수유진중대춘풍 亭前垂柳珍重待春風으로 정자앞 뜰에 수양버들은 진중하게 봄바람이 불어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뜻이다.

춥고 긴 겨울동안 한송이씩 붉은꽃을 피우며 봄에 대한 희망을 키워갔으리라. 겨울 지나면 반드시 봄은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