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004)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물빛에 핀

꽃이

좋아

돌아갈 수 없네

 

   

북산 김수철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조선 19세기, 종이에 수묵담채

 

번잡한 도시를 벗어나고 싶은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가 보다. 경치 좋은 자연에 터를 잡고 시간에 따라 자연의 변화를 실감하면서 살고자 하는 것이 소망처럼 되어버린 현대 사회에서 이런 곳에 사는 사람들은 부러움의 대상이 되곤 한다. 요즘 내가 사는 곳에는 아침 안개가 자욱한 것으로 가을이 깊어 감을 알게 된다. 햇살이 번지면서 사라지는 안개를 보며 우리 사람들의 삶 또한 시간 앞에서 안개와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김수철의 하경산수도깨끗하고 밋밋하고 슴슴하다라고 본 오주석의 말을 넘어서는 표현을 찾기 힘들 정도다. 시골마을의 넉넉한 여름 풍경이 그대로 담겨 있다. 딱히 시선을 붙잡는 곳 없이 시원하기만 하다. 다만, 바위의 덩치에 사람 사는 곳이 눌린 느낌이 들뿐 그것마저 자연의 아름다움으로 다가온다.

 

몇 번이나 낚시가 물려 돌아갈까 생각했지만(幾回倦釣思歸去)

이번엔 또 물풀에 핀 꽃이 좋아 한 해를 더 머물겠네(又爲 花住一年)

 

참 세상에 이런 핑계가 있다. 서재 창틈으로 엿보이는 글 읽은 선배가 이따금 시골생활을 무료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그래서 올해는 대처로 돌아갈까 생각을 했지만 이번에 그만 물풀에 핀 꽃에 마음을 뺏겼단다. 이게 턱없는 소리라는 걸 누가 모르겠는가? 건너편 갈대숲이 강바람에 나부끼는 소리며, 집을 둘러싼 교목이 드리우는 넉넉한 그늘, 그리고 아침 저녁 아련하게 들리는 뱃노래 가락에 속병이 단단히 든 인물이 아니란 말인가?”

 

제시를 보는 오주석의 이야기 그대로다. 하지만, 핑계는 사람의 마음이 만들어 내는 것 아니겠는가? 딱히 이유를 댈 수 없는 것도 이런저런 핑계 삼기에 좋은 것이 주변에 마음 붙잡는 자연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그저 먼 산 바라보며 마음 다독이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있기에 말이다.

 

*북산 김수철은 생몰을 알 수 없지만 19세기에 활동한 화가다. 산수와 화훼를 잘 그렸다고 한다. 조선시대 화가들 중 비교적 늦게 알려진 인물이라고 한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03)‘야묘도추도(野猫盜雛圖)’

 

 

어이할꼬!

도둑고양이 잡으려다

우리 영감 먼저 잡겠소

 

그림이든 사진이든 순간의 포착이 생동감으로 살아나게 마련이다. 한가로웠을 한낮의 어느 시골집에 한바탕 소동이 일어났다. 혼비백산이다. 도망가고 쫓아가고 넘어지고 따라가는 장면을 기가 막히게 포착하고 화폭에 담았다.

 

야묘도추도’(野猫盜雛圖)'들고양이(야묘)가 병아리() 훔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은 김홍도, 신윤복과 함께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불린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이 그렸다. 긍재 전신첩에 실려 있는 그림으로 종이에 수묵 담채다.

 

어린 시절 내가 살던 시골집에 한번은 봤을 것만 같은 장면이라 친근감이 앞선다. 고양이, 어미닭, 병아리의 움직임도 생동감 있지만 무엇보다 남자의 품이 그럴 듯하다. 탕건이 벗겨지는 것도 마루에서 넘어지는 것도 아랑곳없이 들고양이에게로 모든 관심이 쏠려 있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그림에서 오주석은 이 장면의 압권으로 마나님을 주목한다. 병아리쯤이야 별거 아닌데 귀하디귀한 서방님이 다칠세라 야단이다. "어이할꼬! 도둑고양이 잡으려다 우리 영감 먼저 잡겠쏘!!!"

 

주제가 요란하다 보니 그림의 구성요소들도 어디라 초점이 없이 화폭 전체에 널브러져 있다. 그러나 자세히 뜯어보면 구도가 치밀하기 그지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흐르는 시선이다. 뜰이 살구나무 가지도 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시선은 바로 마나님은 영감을 보고, 영감 앞에는 암탉이 있고, 암탉은 다시 들고양이를 쫓고, 고양이는 영감을 놀리듯 뒤돌아본다. 떨어지는 탕건조차 이 중심선 위에 놓여 있다.”

 

야묘도추도를 통해 오주석이 본 김득신은 맺힌 데 없이 쓱쓱 그어댄 붓질로 생동감을 살렸고, 특히 잔가지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툭툭 쳐 넣어 봄날의 움트는 생명력을 시사한 솜씨가 단원 김홍도와 어금버금하다고 평한다.

 

그림을 읽어가는 맛은 이렇게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우선하는 것은 자신의 감정일 것이다. 그 모든 구성요소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그 그림만의 감성이 자신과 만나 공감을 일으키는 지점이 그림을 보는 멋과 맛의 절정이 아닌가 싶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월하정인도(月下情人圖)’

 

두 사람 속은

두 사람만 알리라

 

참으로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누군가를 밀애를 읽고 누군가를 김명원을 읽으며 또다른 이는 달을 보고 천문학을 이야기 한다. 신윤복의 월하정인은 국보 135호로 지정된 혜원전신첩에 들어 있는 그림이다. 신윤복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월하정인은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우리 옛그림 중 하나다. 간송미술관에 소장 중이다.

 

월하정인에 대한 오주석의 이야기를 이렇다.

조각달이 낮게 뜬 밤 한껏 차려 입은 남녀가 담 모퉁이에서 밀회를 한다. 무슨 일일까? 다소곳하게 쓰개치마를 둘러쓴 여인은 수줍음 반 교태 반 야릇한 정이 볼에 물들었다. 그윽한 눈길을 건네는 사내는 오른손에 초롱 들고 왼손으로 허리춤을 뒤적인다. 내노라하는 장안의 한량인 사내의 가족신은 코와 뒤축이 따로 옥색을 댄 호사스런 것이다. 한편 여인은 치마를 묶어 올려 하얀 속곳이 오이씨 같은 버선 위로 드러났다. 함께 갈 수 없는 길, 그러나 마음만은 님 품안에 있다. 달빛이 몽롱해지면서 두 사람의 연정도 어스름하게 녹아든다. (달도 기운 야삼경 / 두 사람 속은 두 사람만 알지(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

 

많은 사람들이 두 사람의 관계에 주목한다. 어떤 관계일까? 오주석은 여기에서 김명원을 불러온다. 김명원(1534~1602)은 임진왜란 당시 정승을 지낸 사람으로 화류계에서 놀기 좋아했던 사람이라고 한다. 김명원이 신윤복의 그림에 불려온 이유는 그가 남긴 시 속에서 찾는다.

 

창 밖은 야삼경 보슬비 내리는데 窓外三更細雨時

두 사람 속은 두 사람만 알리라 兩人心事兩人知

나눈 정 미흡해서 날 먼저 새려 하니 歡情未洽天將曉

나삼 자락 부여잡고 뒷기약만 묻네 更把羅衫問後期

 

신윤복의 월하정인을 보며 오주석은 남녀간의 사랑에 대한 속내를 읽는다. 단연코 키워드는 밀애다. 밀애라고 해서 현대인의 풍속도에서 말하는 불륜을 꼽을 필요는 없어 보인다. 사랑하는 사람 누구나 자신의 속내를 드러내기에 어설프며 주저하게 된다. 상대방이 몰라주는 그 속내 때문에 복잡하기만 하다. 예나 지금이나 상대를 향한 마음은 이렇게 은밀한 달빛아래서 깊어지는 것이리라.

 

오주석은 내가 우리그림의 세계를 알아 가는데 나침판과 같은 사람이다. 오주석의 우리그림에 대한 애정과 열정이 우리그림에 대해 문외한이었던 나로 하여금 그의 해설을 통해 하나씩 하나씩 마음으로 알아간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1)오주석이 사랑한 우리그림

 

미술사학자 오주석은 나의 스승이다. 내가 그를 만난 것은 그가 우리그림을 해설한 책을 통해서다. 이미 작고한 사람이기에 만날 수도 없었다. 하지만 그의 책을 읽어갈수록 만나고 싶은 마음은 간절해졌다. 마음과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 하여, 이른바 사숙이라는 관계를 혼자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그저 혼자 좋아하는 것으로 그의 이름으로 발간한 모든 종류의 책을 구해 읽고 모아두었다. 내 책장 가장 가까운 곳에 소중히 보관 중이며 자주 꺼내 본다.

 

오주석(吳柱錫)은 열정적으로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미술사학자다. 단원 김홍도와 조선시대 그림을 가장 잘 이해한 미술사학자라는 평가 받는 그는 한국 전통미술의 대중화에 앞장선 사람이다. 아쉽게도 2005249세로 생일 마쳤다. 오주석은 그림뿐 아니라 음악도 사랑한 사람이다. 클래식 기타를 능숙하게 연주하는가 하면 피아노, 첼로에 우리 악기 거문고까지 연주하며 삶의 깊이를 더하고자 열정적으로 살아간 사람이다.

 

오주석은 우리 옛 그림 안에는 우리가 지금 이 땅에 사는 이유, 그리고 우리인 까닭이 들어 있는데, 우리는 여전히 내가 사랑하는 우리그림 하나 대기가 힘들다고 하면서 전국을 돌며 우리 미술의 아름다움에 대해 강연을 해왔다. 그는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知之者 不如好之者 好知者 不如樂之者)"는 옛말을 인용하며, "감상은 영혼의 떨림으로 느끼는 행위인 만큼 마음 비우기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2004년 가을 다시 그를 배워간다는 마음으로 그를 아끼던 사람들에 의해 사후에 발간된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그림속에 담긴 그림이야기를 다시 만나고 싶다. 오주석의 이야기가 중심일 것이다. 그가 해설한 그림 이야기를 통해 우리 옛 그림을 만나며 느꼈던 내 이야기를 조금 더할 뿐이다. 이 가을이 깊어가는 동안 그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내 마음은 한없이 행복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