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아의 꾸짖음을 달게 받을 작정으로 서간문을 시작합니다.
글이란 내가 얼마나 구린지 본격적으로 생각하면서도, 용기를내 자모를 맞추고 문장을 만들어 자신을 변호하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망의 정도는 자아의식의 정도에 비례한다 - P155

115 역주: 소크라테스에 있어서 ‘죄가 무지‘인 것은 소크라테스적인 이해는 근본적으로 ‘지행합일‘을추구하기 때문이다. 즉 만일 내가 올바른 것을 알고 있다면 올바른 것을 행할 것이며, 따라서 내가 올바른 것을 행하지 못한다는 것은 올바른 것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만일 내가 선한 행위를 알고 있다고 해도 그 선한 행위를 실천하지 않는다면 사실은 그것을 참으로 알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에게 있어서 ‘죄의 원인은 무지‘인 것이다. 물론 키르케고르는 ‘무지가 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고려하기보다는 ‘무지가 곧 죄인 것처럼 고려하고 있다. 그 이유는 죄란 곧 진리를 알지 못하는 상태 그 자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 P169

정신의 생활 속에는 정지상태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는본래 상태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이 활동 중에 있다.  - P180

 사실상 참된 목사는 참된 시인보다 훨씬 드문 법이다 - P196

셰익스피어가 맥베스로 하여금 다음과 같이 말하게 한 것은 과연인간의 심리를 꿰뚫고 있는 거장다운 말이다. "죄로 인하여 생긴 일은 오직 죄에 의해서만 힘과 강함을 얻는다" (3막 2장), 이 말이 의미하는 것은 죄는 그 자신의 내부에서 일관된 것이며 악이 그 자신 속에서이처럼 일관된 것이기 때문에 죄가 그 안에서 힘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 P205

이런 의미에서 파우스트』에서 악마메피스토펠레스가 "절망하는 악마만큼 비참한 것은 없다"144라고 한말은 아주 적절하다. 왜냐하면 여기서 절망한다는 것은 회개나 은총의 말을 듣고 싶을 정도로 악마가 약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P210

인간이 신에게 가장 가까이 가려고 한다면 신으로부터 가장 멀리떨어져 있어야 한다.  - P219

인간이 신에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은 인간적인 명성이나 인간들 사이의 신망을 통해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신은 비천한 인간이 무엇인지를 보여 주신 것이다.  - P245

그리스도는 호위하는 사람도 자신을 보필하는 종도 없이 스스로 천한 종의 모습으로 이 지상에 내려왔다. 그렇지만 좌절의 가능성 (아아,
이것이 그리스도의 사랑 안에서 얼마나 그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을까!)이 그리스도와 바로 그의 곁에 서 있던 자 사이에 절대적인 심연을 만들고 있다. 이런 좌절의 가능성은 예전부터 그리스도를 둘러싸고 있었고, 또지금도 그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좌절하지 않는 자는 믿음을 가지고 예배를 드린다
그런데 신앙의표지인 예배는 예배받는 자와 예배드리는 자 사이에 무한한 질적 차이를 가진 심연이 입을 벌리고 있음을 표현해 주고 있다. 신앙에 있어서도 좌절의 가능성이 변증법적인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 P2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키르케고르가 왜 오랫동안 빛이 꺼지지않은 지성인지 이 책으로 알 수 있었다 믿음의 반대되는 말은 믿지 않음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절망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절망한 사람만이 구원에 다가가고 있다. 신앙적으로도 철학적으로도 유용한 가르침이다. 마치 체르니를 연습하듯 구성진 문장들의 파도에 정신을 집중하며 읽을 필요가 있다. 뇌가 유쾌발랄해지는 느낌!
(주석에도 할 수 있다면 별점 만점을 주고싶다)

*다만 여성이 지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본질이 조용함,온순함,헌신이라는 문장에서 시대적 한계가 느꼈다. 그래도 그의 다른 책들을 더 읽어보고싶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6-03 13:5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믿음의 반대지만 구원에 가까워질 수 있는 절망이란 말. 참 좋네요 미미님. 뇌가 유쾌발랄해진다니!!! 미미님 표현에 제 뇌도 유쾌발랄해집니다 ㅎㅎㅎ

청아 2022-06-03 14:04   좋아요 2 | URL
와! 세창출판사의 발견이기도 해요 미니님~♡ 번역이 매끄러워서 키르케고르의 사상을 접하기에 최상의 조건이었던거 같아요. 감탄을 일으키는 문구가 많아서 읽는 자체가 행복이었습니다ㅎㅎ🤗

scott 2022-06-03 15:0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키에르케고르가 세상에는 세가지 인간의 유형이 있다고 합니다 거미-개미-나비! 미미님은 나비🦋양서를 찾아 다니능 >ㅅ<

청아 2022-06-03 15:40   좋아요 2 | URL
오오 나비 좋아요!!ㅋㅋㅋ
🦋 스콧님의 해석이 더
탁월합니다🦋 👍👍

페넬로페 2022-06-03 15: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지 않아도 제목이랑 작가를 아는 유명한 책이잖아요.
좋다고 하시니 저도 읽어보고 싶어요.
믿음의 반대는 절망이다.
오늘의 화두로 받았어요
생각해 보겠습니다^^

청아 2022-06-03 15:21   좋아요 3 | URL
동서문화사 책을 가지고 있었는데 세창이 훨 읽기에 편해요. 페넬로페님도 좋아하실것 같아요!! 읽으면서 ‘재독해야지‘하고 마음먹었습니다. 예시도 잘 들어주어 이해하기에 수월했어요*^^*

새파랑 2022-06-03 16:2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젠 철학까지 전문가 미미님~!! 전 읽었으면 졸았을거 같은데 미미님은 유쾌발랄해지셨다니 역시 천재~!!

청아 2022-06-03 16:35   좋아요 2 | URL
새파랑님은 소설 저보다 훨 많이 읽으시잖아요*^^* 이 책은 누구나 왠만하면 잠이 다 깰꺼예요ㅎㅎ논리적인데 쉽게 써있어요👍

다락방 2022-06-03 16:2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예전부터 읽어야지 마음 먹었던 책인데 이번 기회에 사야겠어요.

청아 2022-06-03 16:39   좋아요 1 | URL
오 다락방님! 강추입니다. 로쟈님이 강의에 이 책 선택하셔서 세창으로 샀는데 술술 읽혀요.*^^* 주석도 재밌고 유용했어요. 키르케고르 대단합니다😆

독서괭 2022-06-03 21: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여성이.. 헐.. 뭐 그는 2022년에 지성 넘치는 한 여성이 자기 책을 읽으며 뇌가 유쾌발랄해지는 경험을 할 줄은 생각도 못 했겠지요😋 담아둡니당~

청아 2022-06-03 22:12   좋아요 2 | URL
괭님의 센스에 키르케고르에게 서운했던 맘 다 풀렸습니당ㅎㅎㅎ
저 부분 빼고는 다 감탄이었어요 책값이 사악한게 단점이네요😅
 

내가 탐구하고있는 작가와 화가들처럼 그들도 우리가 아닌 사람, 우리의 것이아닌 삶을 헤아려봄으로써 우리가 누구인지를 헤아려보고자 하는 것이다. (내가 헤아려보고자 하는 것은 왜 우리가 이런 식으로 우리 자신을 헤아려보는가이다.) - P79

"우리는 언제나 다른 사람의 방식으로 행복해지기보다는 차라리 자신만의 방식으로 비참해지기를원한다." 

해즐릿의 이 말은 프로이트를 연상시킨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행복이 아니다. "습관과 선호로인해 자신의 일부이고 수천 개의 회상, 결핍, 고통을 통해 우리에게 소중한 것이 된 자신의 취향과 역량에 꼭 맞는 행복을 원한다."  - P80

엠프슨은 프루스트가 매듭짓지 않은 질문을계속 이어간다. "한 장소(환경, 정신상태)에서의 삶은 언제나 견딜 수 없는 것이 된다. 두 장소에서의 삶은 환희가 된다. 그렇다면 이런 바람직한 전환은 둘이라는 숫자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믿어야 할까? n+1개의 장소에서 사는 것은 n개의 장소에서 사는것보다 무조건 더 가치가 있을까?" 

엠프슨의 글은 우리가 어디에서 사는가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그는 우리가 말하고 쓰는 방식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우리는 왜 의미로 흘러넘치는 단어들을좋아하는 걸까? 왜 어떤 사람들은 평생 그런 단어들을 발굴하는가? 엠프슨은 이렇게 결론 내린다. "프루스트의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그는 스타일에서 얻는 즐거움을 바로 그렇게 풀면서묶는 이중성으로 계속해서 설명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논리적으로 통합된 것들은 구문에서 하나로 묶인다.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인 가치 이론을 제외하면 n+1 이 보다 더 가치가 있다고 믿어야만 한다." - P83

논리적 주장의결혼식에 은유의 밀월이 축복을 내리면 그 결과로 태어난 후손은 우리를 묶는 동시에 풀어준다. 구속하는 동시에 해방한다. 단어가 그러하듯이, 자녀가 그러하듯이. - P84

내가 갈 수도 있었던 다른 길들을 상상하는 것은 나를 위한더 많은 삶들을 상상하는 것이다. 이것과 저것, n+1, 나는 이 세계 안에서 또 다른 세계, 내가 거의 만질 수 있고 거의 맛볼 수있는 세계를 본다. 그 다른 세계는 이 세계의 일부다. 그림자가 사물의 일부이듯, 기억이 인식의 일부이듯, 꿈이 일상의 일부이듯. - P85

내가 부족하다고 느낀 것은 환상일 뿐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그러나 나는 이렇게 응수할 것이다. 당신은 우리가 실제로 사는삶이야말로 대부분 환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가 뭐라고 노래했더라? "나는 달을 보고 있을 거예요. 하지만 당신을 보고 있을 거예요." - P86

초반에 나는 시가 의미의 직전까지 가는 한껏 고조된 경험을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제 나는 시가 흔하면서도 고립된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절정의 경험도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가 시를 이해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한 가지(유일한 한 가지는 아니다)는 고립으로부터의 탈출이다. 난해한 시를 읽으면서 정신적폐소공포증에 빠진다. 조각난 생각들이 머릿속을 꽉 채운다. 그러나 시를 이해하기 시작하면 공간이 열리고, 빛이 들어오고, 빛과 함께 다른 사람들이 들어온다. - P89

조지 엘리엇은 "예술은 삶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삶 자체가 아니라 삶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경험을 증폭하는 방법이자 개인의 운명이라는 한계를 넘어 동지인 인간과의 접점을 늘리는 방법이다." 엘리엇의 장편소설은 그녀가 삶에서 그런 상상의 여정을 이어가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얼마나 중요하다고 믿었는지를 보여준다. 또 그녀는 바로 그런 이유로 예술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믿었다. "화가이건, 시인이건 소설가이건 예술가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가장 큰 혜택은 우리의 공감 범위의 확장이다." - P97

우리는몰입하는 동시에 거리를 둔다. 이런 춤을 추는 동안 독자의 몰입도가 결정된다. - P98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2-06-02 1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나는 자신을 헤아려 보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네요.

요즘은 생각 자체를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청아 2022-06-02 11:07   좋아요 1 | URL
메타인지라고도 하던데
독서는 자신을 헤아리는
최적의 조건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요! 요즘 부쩍 그러네요😅

scott 2022-06-03 00: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는 몰입하는 동시에 거리를 둔다.]

맞습니다

그 거리 사이에는
이런 물건
╔══╗♫ *´”)
║██║ ¸.•´¸.•*´¨) ¸.•*¨) ♫ ♪
║(O)║ (¸.•´ (¸.• ♫ ♪
╚══╝
스맛! 폰 ^^

청아 2022-06-03 07:43   좋아요 1 | URL
스맛 폰 제꺼보다 훨
예쁜데요?!!*^^*
 

내가 될 수 있었던 사람은 내 욕망뿐 아니라 내 한계도 드러낸다. - P35

제임스는(헨리 제임스) 작가가 무엇을 하지 않았는지를 알아야만 그 작가가 실제로 쓴 소설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고 믿었다. - P37

살지 않은 삶은 중년의 관심사다. 살지 않은 삶이 있으려면 먼저 삶을 어느 정도 살아야만한다. 미래에 다른 삶을 살 가능성들이 거의 사라졌다고 느낄 때면 어김없이 과거에 선택하지 않은 길들을 떠올리게 된다. 존 치버 John Cheever가 어두운 숲 속에서,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몰라 잠시 멈춰 선 것은 그가 인생의 중반에 다다랐을 때였다.


중년에는 불가해함이, 당혹스러움이 있다. 이 시간 내가가까스로 알아낸 것은 일종의 외로움이 전부다. 눈에 보이는 이 세계의 아름다움조차 무너져 내리는 것 같다. 그렇다. 사랑조차도 뭔가가 잘못되었다는, 어디선가 길을잘못 들었다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언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알 수 없고, 알아낼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지도 않는다. - P47

신이 사랑이 넘치는 존재라면 그런 신이 당신을 속속들이 안다고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될 수 있다.  - P52

과거는 때로는 색과 모양이 제각각으로 비치는 어지러운만화경으로, 때로는 흑백사진으로, 때로는 냄새로, 때로는 피부를 따라 흐르다 마음을 옥죄는, 어디서 밀려왔는지 모를 감정의파도로, 때로는 얼굴에 번지는 작은 미소로 다가온다. 역광을 받은 텅 빈 도로처럼 아주 선명하게 다가오는 경우는 드물다. 이것이 신이 등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신을 등장시킨 덕에 당신은자신이 살아온 삶에 비현실적인 확신을 갖고, 당신이 살지 않은삶에 그보다 더 비현실적인 확신을 가질 수 있다. - P56

"명예를 위해 살았으니, 아놀로와 나란히!
라파엘로가 기다리고 있소. 신께로 올라가리 셋이 함께"
당신을 위해서라면 그렇게 했을 것이오. 적어도 그랬을 것같소.
아니었을 수도"


ㅡ브라우닝 - P75

그렇게 브라우닝은 우리에게 안드레아와 루크레치아 사이의거리, 현재의 안드레아와 안드레아가 될 수 있었던 사람 사이의거리를 재게 만든다. 브라우닝이 이런 거리를 만들어낼 때 사용하는 주요 도구, 브라우닝의 붓과 팔레트는 은유와 행의 길이, 어조와 운율이다. 브라우닝의 액자는 극적 독백이다. 이 형식은 브라우닝이 발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P75

아무리 뛰어난 화가라도 안드레아의 목소리와 루크레치아의 침묵을 그려내지 못한다.
그리고 안드레아와 안드레아가 될 수 있었던 화가 사이의 거리도그려낼 수 없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