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의 시점으로 보는 영화감상법 - 매불쇼 영화 콤비 두 남자의 진검승부
전찬일.라이너 지음 / oldstairs(올드스테어즈)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블로그의 주력 콘텐츠는 책 리뷰지만, 은근 영화 리뷰 수도 꽤 많다. 이 리뷰를 쓰는 시점을 기준으로 책 리뷰가 1,400개 정도인데, 영화 리뷰는 또 980개 정도가 된다. 한창 일 자리를 구하지 못했을 때에는 한 해에만 100편이 조금 넘는 수의 영화를 봤으니, 영화 역시 책읽기와 마찬가지로 내 중요한 취미 중 하나인 건 분명하다. 하지만 최근엔 본 영화 수가 급격히 줄었으니... 한 해에 열 편이나 간신히 보고 있으려나. 나름 새해 계획 중 하나는 영화를 좀 더 자주 보며 즐기자는 것이었는데, 두 달이 벌써 지난 지금 보면 썩 좋은 스타트는 아닌 것 같다.


도서관에 간 김에 집어 온 이 책은, 순수하게 취미를 위해 골라 본 가벼운 책이었다. 유튜브를 통해서 얼굴을 알리고 있는 두 명의 영화 평론가가 영화와 평론에 관해 자유롭게 대화한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 흥미로운 포인트 중 하나는 두 사람의 나이 차가 20년을 훌쩍 넘는다는 것이고, 그럼에도 서로 의견이 대립하는 부분에서는 확실히 대립하고 있다는 것과 동시에 서로를 존중하고 있다는 게 확 와 닿는다는 점.





두 사람은 모두 영화 평론가란, 영화를 좀 더 꼼꼼하고 자세하게 보는 사람들을 가리킨다고 설명한다. 어떤 것을 좋아해서 자주 접하고, 자세히 즐기다 보면 자연히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갖지 못하는 어떤 종류의 심미안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바로 그 점 때문에 종종 평론가들과 일반 대중 사이의 견해가 뚜렷하게 갈리는 지점이 있긴 한데, 그건 평론가가 더 옳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더 자세히 보기 때문이다. 대중은 평론가의 의견을 참고하면서 자신의 입장과 감상을 가지면 되는 것 뿐.


또, 평론가들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기준을 갖고 같은 수준으로 영화를 평가하는 것도 아니라서, 어떤 부분에서는 서로 의견이 극렬하게 대립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신파”라는 주제가 그 중 하나인데, 작품의 전반적인 수준을 여러 층위에서 보면서 그 중 하나에서라도 볼 만한 것이 있으면 인정해 주는 전찬일 평론가는 신파도 비슷한 견지에서 너그럽게 보는 반면, 라이너는 이 부분에 대해 조금은 노이로제적 반감을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전찬일 평론가의 입장이 좀 더 와 닿는데, 나 역시 영화를 만든 이들의 고생을 생각해서 딱 중간보다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시작한다.


책에는 영화를 볼 때 주목해 볼 만한 다양한 요소들에 관해 자세하게 나누는 부분이 등장한다. 가장 많이 보이는 연기만이 아니라, 음악과 음향(은근 음향 쪽은 신경을 많이 안 쓰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어떤 말이나 소리가 아니라 영상에 담기는 그 자체로서의 예술적 요소를 가리키는 미장센까지. 이런 부분들을 굳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좋아하는 영화를 좀 더 즐길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라고 여기면 좋을 듯. 물론 그런 거 다 집어치우고 그냥 재미있으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관점도 가능하다.





어떤 걸 좋아하다보면 자연히 거기에 속한 다양한 작품, 혹은 제품들에 관한 평가를 내리고 싶은 마음이 들기 마련이다. 물론 그런 평가를 내리면서 자신과 같은 안목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을 깔보는 식이 되면 곤란해지겠지만, 여기 나온 것 같은 종류의 대화라면 얼마든지 즐겁게 끼어 들을 수 있지 않을까. 가끔은 싸우는 건가 싶기도 했지만, 전찬일 평론가 쪽에서 대체로 너그럽게 받아주는 느낌이라 여유가 있는 대화가 된 느낌이다.


영화 전문가까지는 아니고, 나처럼 영화를 좋아하는 아마추어들이 좀 더 자세하게 영화를 읽어 보고 싶은 생각이 들 때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올해는 확실히 영화를 좀 더 봐야겠다. 꼭 최신영화가 아니더라도 묵혀두었던 보고 싶었던 영화들을 쭈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3-02 16: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B급 감성이라 그런지 영화 평론가가들이 좋아하지 않는 B급 영화가 더 재미있더군요^^

노란가방 2025-03-02 16:59   좋아요 0 | URL
그것도 평론가들마다 다 다른 것 같더라고요. 카스피님도 이 책 한 번 읽어보시면 좋아하실 수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팀 켈러의 유산 - 팀 켈러를 통해 배운 복음과 사역의 열매들
고상섭 지음 / 다함(도서출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팀 켈러 목사가 세상을 떠났다. 그분이 쓴 책들을 몇 권 읽어본 정도지만, 건실한 성경해석자이자, 교회를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하는 사역자라는 인상이 강하게 남아 있었다. 아직 못 읽어본 책들도 많아서, 시간이 되는 대로 한 번씩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차에, 이 책이 손에 들어왔다.


이 책은 말 그대로 팀 켈러에 대한 열혈 팬심을 잔뜩 담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팀 켈러가 남긴 다양한 업적들을 주제별로 정리해 이 작은 책 한 권에 담고 있다. 책 말미에는 팀 켈러가 쓴 책들을 주제별로 정리하고 어떤 순서로 읽으면 좋을지까지 안내하고 있을 정도.






저자가 생각하는 팀 켈러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아마도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다시 한 번 환기시켰다는 점인 듯하다. 그건 자칫 율법주의나 반율법주의로 치우치기 쉬운 기독교 신앙의 중심을 잡아주는 교리이자, 그리스도인이 감당해야 할 다양한 사역의 동인이기도 하다. 팀 켈러는 여기에 근거해 그의 설교라든지, 대사회 사역(정의 사역)이라든지, 신앙과 삶 사이의 다양한 통합을 추구했었다.


이 외에도 팀 켈러의 다양한 사역적 측면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목회를 하다보면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고민들에 관해, 이런 대가가 어떤 길을 갔는지를 살피는 건 분명 도움이 되는 일일 것이다.


다만 책 자체가 팀 켈러가 어떻게 생각했는가, 그가 어떻게 말했는가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팀 켈러라는 인물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라면 조금은 관심 밖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쓴 사람도, 읽는 사람도 일단 팬심이 중요한 책이라는 의미.



전반적으로 책의 볼륨이 작긴 하지만, 각 주제별로 알차게 요약해 담았다는 느낌을 준다. 특정한 부분에 좀 더 관심이 생긴다면, 책 속에 언급된 팀 켈러의 또 다른 책들을 찾아보는 식으로 좀 더 깊이 공부해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권력은 쉬 알아볼 수 있어서 논쟁할 거리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의는 힘을 받지 못한다.

권력은 올바름을 불의라고 부르고

스스로 정당하다고 주장하면서 정의에 도전하는 까닭이다.

이처럼 정의에 힘을 싣기가 어려우므로 권력을 정의롭게 해야 한다.


블레즈 파스칼, 『팡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이 제국의 체계 안에서 일하시는 것을 보는 이들은

결국 급진적 비폭력을 지지하는 이들에게

윤리적 경계가 언제나 명확하지 않으며,

인간 사회에 만연해 있는 사악함은

어려운 결정이 융통성 있는 이상을 요구할 수 있는

복잡한 윤리적 환경을 조성한다고 도전할 수도 있다.


- L. 대니얼 호크, 『하나님은 왜 폭력에 연루되시는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