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전 세계 2천만 명이 읽은 화제의 작품. 작품 소개 한 번 화려하다. 무슨 책이기에 2천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읽었으며, 또 그렇게 유명한 책인데 왜 난 한 번도 이름을 들어본 적이 없을까 하는, 약간은 쓸데없는 생각으로 뽑아든 책이다.
책의 내용을 한 마디로 설명하자면, 매우 사색적으로 쓴 책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단어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양한 상징도 들어있는데, 그 가운데는 성경에 나오는 멜기세덱이 초반부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기도 한다.
저자는 ‘연금술’이라는 언뜻 현대인들의 이성과는 전혀 반대의 것을 테마로 삼아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있다. 연금술이란 금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의미한다. 분자와 원자가 밝혀진 마당에, 아니 그 보다 작은 전자와 양성자, 중성자의 세계, 가상의 물질인 쿼크의 세계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왠지 허무맹랑하게 들리는 연금술이 먹혀들어간다니, 한 번쯤 생각해보고 넘어가야 할 문제다.
더욱 놀라운 것은 저자의 기발한 상상력이다. 저자는 주인공이 연금술을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자아실현이라는 가치를 말하고자 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인공인 산티아고는 늙은 왕(멜기세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을 통해 자아실현의 꿈을 갖게 되고, 이를 위하여 피라미드가 있는 이집트로 여행을 떠난다. 그 가운데 여러 사람들을 만나지만, 그 사람들 각각은 자아실현을 방해하는 온갖 종류의 추상적인 것들을 형상화시켜놓은 존재들이다. 결국 최종적으로 산티아고는 그러한 방해요소들을 극복하고 자아를 실현한다는 내용이다.
그야말로 뉴 에이지 계의 『천로역정』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각 인물이 상징하는 바가 있다는 것이나, 여행이라는 모티브, 그리고 그 끝에 얻게 되는 성취라는 유형 모두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 나오는 그대로이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존 번연은 신앙, 믿음의 우월을 주장하는 반면, 코엘료는 자아실현의 가치를 고양시키고 있다는 점일 뿐이다.
유네스코의 ‘영적 집중과 상호 문화 교류’ 프로그램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는 저자의 이력에서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듯이, 작품 전체에서 뉴 에이지 적인 냄새가 매우 짙게 느껴진다. 물론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을 인간 스스로의 능력(사색, 자기 발견, 꿈꾸기 등과 같은)에 전적으로 의존한 것으로 보는 코엘료의 시각은 동의하기 어렵다. 시오노 나나미도 말했지만, 역사에는 뛰어난 능력과 배경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운’을 얻지 못해서 실패했던 군상들이 얼마나 많은가. 단지 개개인의 노력으로만 그것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떤 면에서 너무 순진한 사람이다. (믿지 않는 사람들이 말하는) 운, 혹은 신의 섭리가 역사(세계사적인 역사뿐만 아니라, 개인의 역사에 있어서도)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저자는 이 점을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해 버렸다.
현실은, 단지 사색하고, 고민한다고 해서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을 만큼 녹녹하지가 않다. 인간이란, 그 자체로서는 너무나도 불안정하고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점이 오랜만에 어린왕자 풍의 이야기를 읽었음에도 만족감에 푹 빠지기 보다는 아쉬움이 남는 이유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