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도서관에 반납하러 갔는데....

보고 싶은 새 책들이 뭐 이렇게 잔뜩 들어왔는지.

한참 눈으로만 구경하다가

집에 더 많이 쌓여있는 안 읽은 책을 떠올리고는

결국 빈손으로 복귀.

(집에 와서 세어보니 대충 70권은 되는 듯..;;;)


한참 좀 읽어내서 공간이 좀 생겼다 싶으면

어느 새 사고, 받고 해서 다시 책이 늘어난다.

이거야 말로 오병이어의 재현 아닌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24-12-20 20: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병이어! 설교 때 인용할 거죠? ㅋㅋㅋ
전 책을 워낙에 오래 읽어서 책 빌리는 일은 거의 못하고 있죠.
역으로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책이 뭐 꼭 읽으려고만 해서 사나요? 만지고 보는 것만으로도 좋은...!

노란가방 2024-12-20 20:56   좋아요 1 | URL
크... 만지고 보는 것으로도 좋은..

비니미니마미 2024-12-21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꽂이에 꽂혀있는 것만 봐도 흐믓하죠^^

노란가방 2024-12-21 11:35   좋아요 0 | URL
동네 작은 도서관인데도, 꽤 훌륭합니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만 일에서 구하옵소서
벤저민 T. 퀸.월터 R. 스트릭랜드 지음, 오현미 옮김 / 좋은씨앗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업과 신앙 사이의 연결점을 탐구하는 책은 제법 여럿 나와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도 그런 종류의 책 가운데 하나다. 사실 책 초반의 전개는 여느 책들과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직업, 일이라는 것은 소위 영적인 무엇에 비해 열등한 무엇이 아니라는 강조와 함께(1장), 구약과 신약 속에서 일이 어떤 식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지를 언급한다(2-3장).


이 책의 독특성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건 4장부터이다. 책은 하나님의 지혜이신 예수 그리스도라는 성경의 언급을 우리의 인생 전반에 걸쳐 필요한 지혜로 연결시킨다. 인생에는 출발점과 도착점이 있다. 성경에 따르면, 모든 것의 근원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고, 우리 인생의 목표는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며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이다. 이제 중요한 건 이 출발점과 종착점 사이를 어떻게 걸어 가느냐이고, 이 기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일터라는 공간에서 우리는 성경의 지혜를 구해야 한다. 꽤 흥미로운 논리다.


5장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실현이라는 축으로, 제자로서 사는 것과 일터에서 우리의 역할을 감당하는 것 사이의 연결지점을 살핀다. 흔히 오해되는 것처럼 제자도는 영성에 관한 일일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영역 전체를 포괄한다. 제자는 타락한 세상 속에 살면서, 타락 이전의 모습은 어땠을 지를 지속적으로 탐구하면서 자신이 있는 곳을 회복시켜 나가는 사명을 지닌다는 것.




하나님 나라라는, 기독교 세계관의 중심 주제와 연결되면서 일의 성경적 의미가 무엇인지 잘 정리해 내고 있는 책이다. “일은 소명이라는 장갑에 생동력을 불어넣는 손과 같다”는 저자의 말은 일의 중요성에 관한 저자들의 생각을 잘 보여준다. 소명을 감당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일을 제대로 해 내야 한다.


그런데 오늘날 적지 않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 가운데 담긴 소명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해봤자 되지 않는다는 식의 패배주의에 젖어 있는 것 같다. 성속이원론은 그렇게 현실주의라는 이름으로 우리 안에 날마다 깊은 자국을 남긴다. 이를 타개할 수 있는 건 절망을 이기는 희망, 그리고 그 희망의 목적지인 하나님 나라, 그 나라에 이르기까지 우리를 붙드시는 성령의 사역에 대한 강조이다. 여전히 하나님 나라는 우리 시대에도 중요한 주제인 것 같다.


작고 얇아서 부담이 적다. 이 주제에 관해서 처음 시작한다면 이 정도 책으로 시작해 보는 것도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람에게 투자하지 못한 결과는 이미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기술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 기술이 우리 대신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할 때 우리는 쉽게 조종당한다.

그래서 알고리즘이 우리를 분류하고 추적하고 분열시키는 방식,

즉 서로 다른 뉴스를 보여주고, 서로 다른 대출 상품을 판매하며,

이웃과는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을 깨닫지 못했다.

기업가는 스스로 발명한 기술을 비판하기를 꺼리고,

정치인은 수학적 정교함이 부족해 기업가들의 책임을 묻지 못하며,

일반 대중은 기술과 수학의 관계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는 걸

우리는 목격한다.


프랜시스 수, 『참회의 수학』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