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대 중반, 춘천은 인구가 10만도 안 됐다. 텔레비전 있는 집도 귀하던 그 시절, 나는 여름방학만 되면 동네 애들과 소양강에 가 헤엄치다 오는 게 일과였다. 아마 시내버스란 것도 없었을 것 같은데 만일 있었다 해도 차비 걱정에 탈 엄두를 못 냈을 게다. 우리 동네에서 소양강까지는 십여 리 산길, 동네 애들과 땡볕에 땀을 뻘뻘 흘리며 그 먼 산길을 단지 '헤엄 치고 싶어서' 걸어 다녔다.

그 날도 소양강 변까지 힘겹게 걸어간 뒤 모래밭에 옷들을 벗어놓고는, 강물로 시원하게 뛰어들었다. 우리가 헤엄치는 장소는 외진 곳으로 사실, 수영금지 구역이었다. 요즘이야 경찰서장 이름으로 수영금지 구역팻말이라도 세워놓겠지만 그 시절에는 그런 게 없었다. 그나마 안전하게 물놀이를 하려면 당국에서 관리하는, 소양강 다리 건너 물 얕은 강변까지 가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땡볕에 몸이 지쳐있는 데다가 너무 멀었다.

동행하는 어른도 없이 아이들끼리 다니는 수영금지 구역이라, 언제고 한 번은 사고가 날 수밖에 없었다. 강물이 회오리처럼 빙빙 도는 데도 있고 강바닥을 준설했는지 수심이 갑자기 깊어지는 데도 있던 그 구역.

다른 날에는, 그런 위험한 데를 조심하며 헤엄들 치다가 강변으로 잘 나왔었는데 그 날은 그렇지 못했다. ‘동연이란 아이가 헤엄치는 방향을 잘못 잡았던지 수심이 깊은 데로 휘말리듯 들어가더니 얕은 데로 나오질 못하고 얼마 후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이다. 우리가 놀라 강변으로 뛰쳐나와 우왕좌왕하는데 그 때 부근에서 낚시하던 웬 아저씨가 상황을 알아채고는 바지 입은 차림으로 강물에 뛰어들더니 동연이 모습이 사라진 쪽으로 급하게 헤엄쳐갔다. 평일 낮에도 강가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던 모습으로 봐, 직업도 없이 소일하던 사람 같았다. 그 시절에는 무직자가 많았다.

그 아저씨가 깊은 강물 속에서 동연이를 찾아는 냈으나 이미 움직임 하나 없이 축 늘어진 모습이었다. 내가 난생처음으로 주검을 목격한 순간이다.

얘네 집이 어디냐? 앞장들 서라.”

우리는 옷들을 챙겨 입고는, 축 늘어진 동연이를 두 팔로 안은 아저씨의 앞장을 섰다. 다른 날 같았으면 헤엄치느라 기진한 몸으로 걸어가느라그것도 땡볕 아래 십여 리 산길을 다시 걸어가느라 몹시 고달팠을 텐데 그 날은 그런 느낌도 잊었다. 좁아서 한 줄로 걸어갈 수밖에 없는 산길을 우리가 앞장서고 뒤로 한 어린애 주검을 두 팔로 안은 채 묵묵히 따라오던 그 아저씨.

우리가 나이가 어려서들 무심했는데 사실 얼마나 고맙고 대단한 어른이었던가. 우리와 일면식도 없었음에도 낚싯대도 팽개친 채 두 팔 걷어붙이고 나서서 한 어린애의 주검을 수습해 그 먼 땡볕 아래 십여 리 산길을 동행해 주었으니.

동연이네 집 앞에 이르렀다. 대문이 없었다. 직감이었을까, 우리가동연이 어머니!’라고 부르자 뒤란에서 나타난 그녀는 신발도 흘린 맨발로 허겁지겁 뛰어나오며 울부짖기 시작했다. 낯선 사람의 두 팔에 안긴, 축 늘어진 동연이의 모습에 그녀는 이미 넋이 반은 나간 모습이었다.

 

오랜 세월이 흘렀다. 외동아들을 순식간에 잃고 넋이 나간 모습으로 울부짖던 동연이 어머니 모습도 선하지만…… 낯모르는 아이의 사고에 조금도 망설임 없이 강물로 뛰어들던 그 아저씨 모습 또한 선하다. 어디 그뿐인가. 아이의 주검을 두 팔로 안고서 땡볕의 십여 리 산길을 걸어와 유족에게 전하기까지.

60년대 중반의 춘천은 모든 게 미비했다. 텔레비전은 물론이고 시내버스도 보기 힘들었고, 위험한 강가에서 수영금지 구역팻말 같은 건 더욱이 기대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남의 일이라도 자기 일처럼 여기는 아저씨 같은 분들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그 시절의 춘천을 생각하면 한 아이의 익사 사건이 있었음에도 왠지 그리워진다.

 

(자식을 가슴에 묻고 여생을 살았을 동연이 어머니께 정말 너무 늦었지만, 애도를 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한반도를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이라 자랑한다. 나이 어릴 적에는 자화자찬하는 말인 줄 알았다. 나이가 들자 과연 산자수명한 땅임을 실감한다.

살고 있는 데에서 조금만 가면 해발 1000미터 안팎의 산이 있으며 항상 강물이나 내가 흐르는 산자수명한 땅 한반도.

그 때문일 게다. 무심은, 우리나라에서는을 평범하게 표현하지 않았음을 깨달았다.

 

부산에 산복도로(山腹道路)’가 있다. 산의 중턱을 지나는 도로라는데, 분명 산을 사람의 몸처럼 여겨 중턱 부분을 배로 비유한 말이다.

그런가 하면 '산허리'란 말도 있다. 이 또한 산을 사람의 몸처럼 여겨 허리처럼 중간쯤 되는 산의 지점을 가리킨다. “산중턱에 걸려 있는 달보다 산허리에 걸려 있는 달이란 표현이 훨씬 맛있다.

산자락이란 말도 있다. ‘자락옷자락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 옷이나 피륙 따위의, 아래로 드리운 넓은 부분이다. ‘산자락이란 산이 평지에 드리운 넓은 지대를 표현한 말인 것이다.

산등성이란 말도 있다. 사람이 엎드려 있으면 등이 나온다. 산을 엎드려 있는 사람처럼 본 데서 나온 말이 산등성일 게다.

 

을 아기자기하게 표현한 우리말이 더 있을 듯싶다. 우선은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적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개는 자기 음식 앞에서 잠시도 경계의 눈빛을 거두지 않는다만일 개가 음식을 먹을 때 당신이 다가간다면 금세 으르릉거리며 허연 이빨들을 다 드러낼 것이다. 자기 음식을 지키려는 개의 욕심일 것 같아 나는 그 모습이 딱해 보였다. 마음 편히 음식 한 번 먹지 못하다니 얼마나 불쌍한가.

 하지만 요즈음 다른 생각이 들었다. 개가 음식 먹을 때 경계의 눈빛을 거두지 않는 것은 적에게 방심의 기회를 주지 않으려는 본능일 거라는 생각이다. 음식 섭취는 모든 생명체의 존재 방식이다. 음식 섭취가 이뤄지지 못하면 그 생명체는 유지되지 못한다. 동물이 음식을 대하는 순간 온 신경을 집중해야 하는 까닭이다.

그렇기에 그 순간은 적에게 기습의 호기(好機). 동물이 음식을 먹는 순간 잠시도 방심할 수 없는 건 그 때문이다. 야생동물의 생태를 찍은 영화를 보면 보잘 것 없는 먹이에 다가가는 순간에도 사방을 살피며 경계하는 야생동물의 모습이 역력하다.

 

그러에도 불구하고음식을 먹을 때 경계심이 없는 동물이 있다. 애완견들 중에 있다. 그건 오랜 세월 인간들에게 길들여져서 순치된 결과다. 따라서, 음식을 먹을 때 가까이 다가가도 별 일 없는 애완견이 있다면 그 애완견은 생명체로서의 존재방식마저 잃은 딱한 경우다. 나는 단언한다. 동물의 야성 정도(程度)는 그 동물이 음식을 먹을 때 얼마나 주위를 경계하느냐로 결정된다고 말이다

그렇기에 사람이 음식을 먹을 때 다른 사람들과 대화는 물론 그 음식을 나눠먹기도 하며 조금도 경계하지 않는 것을 나는야성에서 그만큼 멀리 떠나온 모습이라고 여긴다. 그런 모습을 우리는문화라 부르지 않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이라든가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이라는, 담화의 천편일률적인 첫인사말을 바꿔보는 게 어떨까? 세월이 흐른 뒤 결코 국민과 친애하지 않았거나 국민을 존경하지 않았음이 드러나는 경우들이 잦아서 이제는 거부감마저 들기 때문이다. 차라리 그냥 국민 여러분이라고 담화를 시작하기를 감히 제안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한테는 고명딸이 하나 있다.  

그 딸이 다섯 살 때 K는 하루 시간을 내 동물원에 데려갔다. 동화책의 동물들 중 곰을 제일 좋아하는 딸한테 실제로 보여주고 싶은 아비 마음에서다. 과연, 동물원에 입장하자마자 두리번거리며 곰부터 찾는 딸애. 마침내, 곰을 발견하더니 좋아라 소리치며 달려갔다.

곰은 관람객들의 안전을 위해 철장 안에 갇혀있었다. 철장 가까이 다가가 곰을 보던 딸애가 돌연 코를 두 손으로 틀어막으며 소리쳤다.

“아, 똥냄새!

철장 안의 곰은 자기가 싸 놓은 배설물에 방치돼 있어서 온통 악취 덩어리 같았다. 게다가 똥파리들까지 성가시게 주위를 날아다녔다.

 

세월이 많이 흘러 고명딸은 어느덧 처녀로 자라났다.

세상은 만만치 않다. 수시로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괴로워하는 딸애를 보며, 아비는 이런 생각을 한다.

그런 괴리는 네가 다섯 살 때 곰을 직접 봤을 때부터 시작되었지, 아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