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마음 - 시인 문태준 첫 산문집
문태준 지음 / 마음의숲 / 2009년 7월
구판절판


입은 날카로운 도끼와 같아서 그 몸을 스스로 깬다고 했습니다. 입으로 여러가지 악한 말을 하면 도리어 그 도끼의 말로써 스스로 몸을 해치고 말 것입니다. 말을 할 때가 있는가 하면 침묵을 지켜야 할 때가 있습니다. 적절한 침묵은 우레와 같다고 하지 않았는지요.-21쪽

나는 빈 그릇에 담긴 물이었으면 합니다. 물이 빈 그릇에 담기더라도 빈 그릇을 상처내지 않는 것처럼, 그것은 고통이 생겨나지 않는 일이라는 것을 오늘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이 마음이 하는 '둥근'일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60쪽

그러고 보면 우리의 몸 가운데 가장 바쁘고, 가장 배려 깊고, 가장 은유적인 것이 손입니다. 손은 그래서 바쁘고, 손은 그래서 만능입니다. 늙어도 손이 가장 일찍 늙습니다. 이 현란한 디지털시대에도 손은 묵묵히 가장 큰 역할을 가장 고전적인 방식으로 합니다. 손은 밀치기보다는 끌어들이는데 더 씀씀이가 큽니다. 당신도 아마 밀어내는 일보다는 당겨서 받아안는 일에 당신의 손을 더 많이 사용했을 것입니다.-140쪽

좋은 선물은 받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간곡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빈 병에 담은 들꽃이나, 무늬가 없는 아주 평범한 하얀 커피잔이나, 향기가 없는 종이 카네이션이나 겉으로는 볼품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 선물을 가꾼 사람의 마음은 세속의 저울로 무게를 가늠할 수 없는 것입니다. 선물을 가꾼 사람의 마음은 산처럼 크고 바다처럼 깊기 때문입니다.-172쪽

우리는 우리 삶의 설계사요, 건축가입니다. 우리가 열정으로 혼신의 힘을 쏟을 때 우리의 미래는 찬란한 꽃을 개화합니다. 모든 결과는 당신이 선택합니다.-2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엽 감는 새 4 - 새잡이꾼 편 2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1994년 9월
구판절판


눈물은 연이어 줄줄이 달빛의 하얀 물 웅덩이 속에 소리를 내며 떨어져서 빛의 일부처럼 빨려 들어갔어요. 눈물은 떨어질 때에 공중에서 달빛을 받아 결정처럼 아름답게 빛났죠, 그리고 문득 보니 내 그림자도 역시 눈물을 흘리고 있었답니다. 눈물의 그림자도 또렷하게 보였어요. 태엽감는 새님은 눈물의 그림자를 본 적이 있나요? 눈물의 그림자는 아무데나 있는 그냥 예사로운 그림자가 아니에요. 전혀 달라요. 그것은 어딘가 다른 먼 세계에서 우리의 마음을 위해서 특별히 오는 거랍니다.-2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엽 감는 새 3 - 새잡이꾼 편 1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 문학사상사 / 1995년 12월
구판절판


틀림없이 시간이라는 것은 ABCD 하는 식으로 순서대로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이리로 왔다가 저리로 갔다가 하는 모양이에요.-18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엽 감는 새 2 - 예언하는 새 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1994년 9월
구판절판


태엽 감는 새는 주변의 나뭇가지 위에 앉아 조금씩 세계의 태엽을 감는 거요. 끼이이이익, 하는 소리를 내면서 태엽을 감소. 태엽 감는 새가 태엽을 감지 않으면 세계는 움직이지 않아요. 하지만 아무도 그것을 알지 못하오. 세상 사람들은 모두 훌륭하고 복잡하고 거대한 장치가 빈틈없이 세계를 움직인다고 생각하오. 하지만 그렇지 않소. 사실은 태엽 감는 새가 여러 장소로 가, 가는 곳곳마다에서 조금씩 조그마한 태엽을 감아 세계를 움직이고 있는 거요. -238쪽

뭔가 중요한 것을 결정할 때는 먼저 어떻게 돼도 상관없는 것부터 시작하는 편이 좋아. 누가 봐도 알 수 있고, 누가 생각해도 알 수 있는 정말로 시시한 것부터 시작하는 거야, 그리고 그 시시한 것에 충분히 시간을 들이는 거라구.(중략) 그러한 것에 시간을 투자하면 할수록 뒷일이 제대로 풀려 가는 것을 알기 때문이지.-280~2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엽 감는 새 1 - 도둑까치 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1994년 9월
구판절판


한 인간이 다른 한 인간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과연 가능한 일일까?
즉, 누군가를 알기 위해 오랜 시간동안 진지하게 노력을 거듭하면 상대의 본질에 얼마만큼 가까이 갈 수 있을까? 우리들은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상대에 관하여 그에게 정말로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고 있는 것일까?-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