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섬의 유일한 법조문이 "누구도 특권을 누려서는 안되고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간주된다"라는 내용. - P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혐오스럽게 짓지 않을게요."
자식의 유골을 업고 떡을 돌리는 어머니가 이렇게 말해야 하는 현실이 가슴 아프다. - P99

그땐 몰랐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나는 두 문장 사이에 전혀 인과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까웠다. 사람들은 ‘알기 때문에‘ 떠났다. ‘안다는 것’과 ‘감당한다는 것‘ 사이엔 강이 하나 있는데, 알면 알수록 감당하기 힘든 것이 그 강의 속성인지라, 그 말은 그저 그 사이 어디쯤에서 부단히 헤엄치고 있는 사람만이 겨우 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신영복은 ‘아름다움‘이 ‘앎‘에서 나온 말이며, ‘안다‘는 건 대상을 껴안는 일이라 했다. 언제든 자기 심장을 찌르려고 칼을 쥔 사람을 껴안는 일, 그것이 진짜 아는 것이라고. - P102

특수학교 설립은 정의가 아니다. 애초 학교가 경쟁하는 곳이 아니라 진정한 배움의 장이었다면, 그리하여 학교가 모든 학생을 차별 없이 받아들였다면 특수학교는 필요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아홉을 가진 사람이 하나를 가진 사람의 것을 마저 빼앗아 열을 채우고 싶어 할 때, 선심 쓰듯 내놓는 타협이 바로 특수학교다. 그런데 그마저도 가로막힌 밤, 엄마들이 묻는다.
"그럼 어떻게 할까요?"" - P109

시간이 흘러 언니는 깨달았다. 누군가의 삶이 다른 사람의 삶을 이유로 갑자기 사라져버릴 수 있다면 남아 있는 삶 역시 온전히 그 자신의 것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언니 혜영은 말한다.
"혜정이와 같이 살기 위해서는 두 개의 시간이 필요하다. 하나는 나의 시간이고 하나는 혜정이 언니의 시간이다. 혜정이를 시설로 보낸 대가로 얻어진 시간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살아갈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 진짜 나의 시간을 찾고 싶다."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는 사랑했던 것들을 불멸화하려는 노력이라고 했는데, 나의 글쓰기가 정말로 그랬던 것이다. - P16

집으로 터덜터덜 돌아오는 길에 나에겐 보이고 그에겐 보이지 않는 세상에 대해 생각했다. 그에겐 보이고 나에겐 보이지 않았던 세상에 해 두 시간 동안 열심히 듣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우리는 같은 시대, 같은 공간을 살아가고 있지만 그와 나는 아주 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보고 경험하고 있었다. - P20

‘시선‘이라는 아주 강력한 것이 나를 따라온 것이었다. 너무나 다행이었다. - P24

나는 죄책감이란 것이 ‘먼저 달아난 사람’의 감정인 줄로만 여겼는데 그것이 ‘누군가를 구하려다 실패한 사람’의 것일수록 더욱 고통스럽고 지독할 수 있음을 알았다. 실은 죄에 대한 책임감이 아니라 누군가의 마지막을 목격한것에 대한 책임감일 것이다. - P51

이곳 광화문까지 오는 데 15년이 걸렸다. 우리는 2001년 ‘이동권을 보장하라‘며 중증장애인들이 맨몸으로 막아섰던 그 지하철과 버스를 타고 여기까지 왔고, 2007년 사람답게 살고 싶다고 한강대교를 네 발로 기어 쟁취해낸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해 여기까지 왔으며, 2009년 ‘탈시설 권리’를 요구하며 시설과 세상 사이의 아득한 낭떠러지에 놓았던 그 징검다리를 딛고 여기까지 왔다. 무지개를 만나려면 비를 견뎌야 한다. 나는 그것을 저항하는 중증장애인들 속에서 천천히 몸으로 배웠다. 이번 비는 참으로 길다. - P59

수십년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삶에 어떤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일상이 열렸다는 것, 그것은 인생이 시작되었다는 뜻이다. 방 바깥으로 나온 그들은 동네를 구경하고 햇살을 만끽하고 장미꽃을 샀다. 니체를 읽고 연극 무대에 올랐으며 사랑하고 욕망했다. 그렇게 그들은 자기인생의 주체가 되었다. 활동보조서비스는 내가 아는 가장 아름다운 제도이다. - P61

그리하여 그들이 조금 더 불편해지기를 바랐다. 세상은 딱 그만큼 나아질 것이다.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대의 자유라는 궁궐은 끝없이 확대되는 화석연료 사용이라는 토대 위에 세워져 있다"는 것이다. - P167

그때 하느님이 이르시되, "인간을 우리의 형상대로, 우리의 모습을 따서 만들자. 그리고 인간이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땅 위의 모든 야생동물과 모든 기어다니는 것들을 지배하게 하자."(창세기 1:26) - P169

요컨대 성서의 창조 이야기는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가 한계나 제약 없이 살고자 하는 욕망이라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 P171

위에서 간단히 살펴본 바와 같이, 창세기는 인간에게 주어진 힘을 제대로 행사하는 일과 자유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 피조물들의 안녕에봉사하는 길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