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하_누구와 웃을 것인가

이 비장미 넘치는 숭고함과 싸우는 사람들의 무기는 무엇이 되어야 할까? 나는 독재자가 되고 싶어 하는 지도자의 탄핵을 촉구하는 집회에 다시 등장한 깃발들에서실마리를 찾는다.
‘강아지발냄새연구회‘, ‘민주묘총‘, ‘전국 집에누워있기 연합‘, ‘전국 뒤로 미루기 연합‘ 등이 적힌 깃발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집회의 성격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깃발을 준비한 사람 자신의 ‘평범하기 때문에 특별한‘ 정체성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 P53

독재자와 그 지지자들은 자신들 혹은 자신이 지지하는 체제가 웃음거리가 되길 원하지 않아서, 또한 독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독재 시도가 현실적 위협으로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농담은 이제 존재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자신을 웃음거리로 만들기를 바라지 않는자들과 싸우기 위해, 그러니까 그들을 웃음거리로 만들기 위해, 여전히 무기로서의 농담은 필요하다.
여기서 독일의 베스트셀러 작가 페터 슬로터다이크가 논한 ‘키니시즘(kynicism)‘과 ‘시니시즘(cynicism)‘의 구분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 21 슬로터다이크는 현대 이데올로기의 지배적 기능 양식을 시니컬(cynical), 즉 냉소적인 것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계몽주의적 방식의 이데올로기 비판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반면 키니시즘은 고대 그리스어 ‘개‘에서 유래한 키니코스(Kynikos) 학파로부터 따온 명칭으로, 이 - P54

들의 견유주의적 태도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해 슬라보예 지젝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비장한 측면을일상적 진부함과 맞닥뜨리게 해 웃음거리로 만들고 그이면을 폭로하는 게 키니컬한 절차라고 해설했다. 이게 개를 자처하며 알렉산더 대왕에게 볕을 가리지 말고 비키라고 했다는 디오게네스가 기행을 통해 당대의주류들에게 한 일이다. 즉 시니시즘이 ‘세상을 바꾸려노력해 봐야 소용없고, 어차피 사는 건 다 똑같다‘는 정해진 결론으로 간다면, 키니시즘은 권력을 우스운 것으로 만들어 권위의 부재를 증명해 결과적으로 세상을 바꾸는데 기여한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혼모의 탄생> 권희정
[필로미나의 기적] 아일랜드 영화

옮긴이 서문

간략히 정리하면 한국 전쟁 직후 근대 입양은 부계 혈연 질서를 위반했다고 여겨지는 혼혈 아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해리 홀트는 본인의 자녀가 있음에도 한국에서 여덟 명의 전쟁고아를 입양해 간 ‘선행‘으로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정확히 말하면 여덟 명의 혼혈 아동이다. 이후 1960년대 말까지 한국 정 - P15

부는 국내에 있는 ‘모든 혼혈 아동‘을 ‘아버지의 나라‘로 입양 보낼 계획을 세웠고,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하에 많은 경우 어머니에게 길러지고 있던 혼혈 아동을 국외로 내보냈다. 반면 비혼혈 요보호 아동들은 원가족이나 친척을 찾아 돌려보냈고 그가정에 양곡 지원을 해서 키우도록 했다. 따라서 한국의 근대 입양은 실은 혼혈 아동을 국외로 추방하기 위해 시작되었다는 것이 보다 정확한 설명이다. - P16

그러나 1970년대 들어 입양은 오히려 급증한다. 게다가 양곡을 지원하며 요보호 아동을 원가족과 친지에게 돌려보내던 전 시대의 관행은 원가족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고 생모의 존재는 온전히 지워버린 한 아동을 혈연관계가 없는 가정으로 보내는 근대적 입양으로 대체된다. 산업화 · 근대화와 함께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핵가족 중심으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이것을 이상 가족으로전형화하는 ‘정상가족‘의 시대를 우리 모두 의심 없이 추종하고, ‘정상‘의 범주를 벗어난 출산과 가족 만들기를 철저히 억압했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과거 한때 힘겹게 아이를 키우는 불우한 모성으로 재현되던 미혼의 ‘홀어머니‘는 더는 아기를 키워서는 안 되는 부도덕한 ‘미혼모‘가 되었다. - P16

‘아기 퍼가기 시대‘란 미혼모를 병리적 모성으로 규정하고, 그들이 출산한 아기를 중산층의 결혼한 부부 가정으로 입양 보내는 일이 ‘아동복지‘라는 이름으로 실천되던 때였다. 이 시기 동안 수십만 명의미혼 임산부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입양을 강요하는 문화와 제도에 포획되어 아기를 포기했다. - P17

미국의 ‘아기 퍼가기 시대‘를 이야기하는 이 책의 옮긴이 서문을 한국 태생의 해외 입양인 아담 크랩서의 이야기로 시작한연유는 바로 근대 이후 실천된 한국에서의 입양은 미국의 ‘아기 퍼가기 시대‘의 사회복지 지식과 실천과 긴밀하게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 P18

안타깝게도 한국 사회는 서구의 ‘아기 퍼가기 시대‘의 미혼모와 그 자녀에 대한 지식과 실천에 너무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우리가 그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혼모 자녀를 대거 입양 보낸 이유가 산업화의부작용으로 미혼모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거나 핏줄을 중시하는 유교 문화 때문이라는 설명이 우리 사회에서 더 이상 유통되지 않도록 하는 데 이 책이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미혼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이 철저히 억압되고 그자녀를 입양으로 분리한 것은 바로 근대의 결혼 제도 밖의 재생산권 억압과 관련된 문제이며, 서구 ‘아기 퍼가기 시대‘의 사회복지 지식과 실천이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력이 컸다는 점이충분히 조망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 P19

1부 1장 ‘아기 퍼가기 시대’

미국 사회에서 미혼모는 가장 멸시받는 소수자 계층일 것이다. 작정하고 처벌하려는 입법 관계자들의 권력 남용의 표적이 되며, 풍기문란을 개탄하는 도덕주의자들의 희생양이 된다. 학생이나 사회인들의 웃음거리가 되고... 가시가 돋친 말들은 혼외 자녀 출산에 책임 있는 두 명 중 오직 한 명, 즉 미혼모에게만 향한다. 미혼부에 대한 비난은 거의 없다. 그들은 미혼모보다 더 많은 혼외 아이를 만들어 낼수 있음에도 말이다.
알렉스 포인세트(Poinset 1966: 48)

‘아기 퍼가기 시대‘는 대체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부 1973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비공개 영아 입양이 시행되던 이시대는 낙태가 합법화된 ‘로 대 웨이드‘ 판결이 난 해를 즈음하여 공식적으로 끝난 것으로 여겨진다.‘ 역사상 이토록 많은 미혼모가 갓 낳은 아이를 입양 보낸 전례는 없다. - P38

아일랜드의 사례는 2013년 아카데미상 후보에오른 「필로미나의 기적Philomena에 잘 나타난다. 이 작품은 아일랜드의 가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세탁 공장이자 미혼모 시설이었던 곳에 수용된 미혼모 필로미나가 아들을 강압적 방식에의해 비공개 입양을 보내야 했던 실화를 영화화한 것이다. - P39

한편, 1940년대에는 심리적 결함이 있는 미혼 여성이 사생아"를 임신한다는 관점이 등장한다. 당시는 매우 성애화된 사회였으나 피임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었고 피임 도구를 구하기도 어려웠다. 이러한 시대 미혼 임신은 더 증가했다. 심리학 및사회복지 전문가들 사이에서 미혼모를 돕는 가장 좋은 방법은출산후 바로 그 아기를 입양 보내는 것이라는 관점이 지배적이되었다.
쿤젤(Kunzel 1993)에 따르면, 이때가 사회복지 전문가들의미혼모에 대한 관점이 "유혹당하고 버려진" 불쌍한 여자에서 "정신박약"이거나 "성적으로 방종한" 여자로 전환된 때이다. - P41

아기 퍼가기 시대‘는 백인 미혼모에게서 태어난 백인 아기를 결혼한 백인 부부에게 손쉽게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특별한조건들, 사회 구조, 그리고 기준으로 특징지어진다. 당시 미혼모가 놓였던 사회적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 P43

1부 2장 도움의 손길은 사라지고

미국아동복지연맹의 지침서는 입양 기관이 준수해야 할 실천방식을 제시했고, 당시 신종 직군에 속했던 입양 복지사들은처음에는 이에 동의하는 분위기였다. 10년도 되지 않아 입양 정책은 급변하지만, 1940년대까지 엄마와 아기를 함께 돌봐 주는것을 원칙으로 했음은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P47

1부 3장 ‘전문가‘의 등장

1930년 전국 플로렌스 크리텐튼 미션 산하에는 약 62개의 시설이 있었는데, 당시 이들의 정책을 재평가하면서 미혼모의 집정책도 시간이 흐르는 가운데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한다. 합법적 입양기관들이 등장함에 따라 입양은 더욱 실현 가능한 선택이 되었고 미혼모 시설은 아기를 기르려는 미혼모들을 지지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대학 졸업장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이 더 많이 현장에 투입되었으며 그들은 기존에 있던 미혼모 시설 종사자들을 대체했다(Baumler2003.8.2.). - P55

게다가 1950년대가 되면 사회복지사들은 미혼모들이 "질병을 앓고 있다고 보기 시작했다.

우리는 미혼모 또는 친모에 대해 상당히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그들은 나쁜 사람들이 아니라 아픈 사람들이란 것을.. 자신에게 닥친 다른 문제를 회피하는 방편으로 임신을해버리고 미혼모가 된다. 그러한 그들을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성숙한 방법으로 도와야 한다. 미혼모가 출산한 아기를 포기하고 입양 보내도록 하는 것도 그들을 도와주는 하나의 방법이다. (Littner 1956:31)

1950년대 말에 접어들면, 한 걸음 더 나아가 미혼모를 문젯거리이자 사회 부적응자이며 처벌이 필요한 존재라고 보는 시각이 출현한다. - P59

성인이며 권력을 가진 사회복지사가 취약한 미혼 임산부에게 가하는 이러한 종류의 압력과 강압은 빈번했고 대체로 매우효과적이었다. 사회복지사 바브라 코스티갠의 1964년 연구를보면, 사회복지사들은 당시 미혼모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 아기를 입양 보내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과 미혼모가 입양 복지사와 더 많이 접촉할수록 아기를 포기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복지사와의 접촉 빈도가 떨어지는 것은 양육 결정과 관련성이 있었고, 입양 담당자는 미혼모가 궁극적으로 아기를 포기하지 않으면 그것을 ‘실패‘로 간주했다. - P61

1부 4장 비합법적 모성

심리학 교수이자 여성학자인 필리스 체슬러는 관습을 따르지 않는 것을 죄악시한 점을 지적하며 엄마로부터 아기를 빼앗은 것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 질문한다.

만약 미혼모의 유일한 죄가 관습을 따르지 않은 것이라면, 엄마의 양육권을 박탈하고 아기를 빼앗아 가는 것은 국가, 가족, 또는 아동 중 누구를 위해서인가? 누구를 위한 이익이 작동하고 있나? 미혼모가 어머니로서의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은 양육능력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가부장적 질서를 위반했기 때문이다. 결국 ‘부모의 권리‘란 사실 ‘남성‘의 권리를 포장한 말이다. (Chesler 1986:361)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에 대하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61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음, 이항재 옮김 / 민음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호프의 이야기에는 과장되지 않은 삶의 현실이 있다. 그저 하루를 살아가고 체념하고 인내하는 사람들이 있다. 어찌할 바를 모르는 인생이 있다. 특별하지 않지만 자꾸 읽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y-Crazy Stacey: A Graphic Novel (the Baby-Sitters Club #7) (Paperback)
Ann M. Martin / Scholastic Inc.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ike 가족(자녀가 무려 8명?!)의 여름휴가에 베이비 시터로 가게 된 Stacey와 Mary Anne. 해변에서 매력적인 구조요원에게 사랑에 빠져 시터 일을 게을리하는 Stacey. Mary Anne과의 갈등. 짝사랑의 파국. 화해. 새로운 만남. 여름 바닷가의 추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녹색평론 2024년 겨울호 - 통권 188호
녹색평론 편집부 지음 / 녹색평론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촌을 식민지화하는 도시민의 삶을 살고 있음을. 도시로 전기를 보내기 위해 농촌에는 머리 위 고압선과 송전탑을 건설하고 도시의 산업폐기물 등을 처리하기 위해 농촌에는 소각장과 매입장을 짓고. 이게 식민지가 아니고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