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 of the Book: A Cliff Janeway Bookman Novel (Paperback)
Dunning, John / Pocket Books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자주가는 Logos에서 건진 John Dunning이라는 작가의 시리즈들 중 하나인 Bookmen Novel의 하나인데, 우연한 기회에 추리문고 섹션에서 같은 시리즈의 작품들과 함께 구한 작품이다.  구매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는데, 우연한 기회에 빼 읽다가 이틀만에 완독을 하게 되었다.  영문이지만, 별로 어려운 단어는 없었고, 작품의 구성이나 flow도 비교적 단순하여 빨리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시리즈의 첫 번째는 아닌 듯한데, 이는 이 작품에서 주요인물들 - 주인공인 Cliff Janeway라는 전직경찰이면서 현재는 rare used book 책방 주인과 Erin이라는 소송전문 변호사 - 의 관계가 이미 다른 작품에서 설정이 되어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리즈의 처음이 아니라고 해도, 작품마다의 relevance가 거의 없어 보이기에, 그냥 읽어도 무방했던 듯. 

 

사건은 단순하다.  Erin과 Cliff는 연인관계이고, Erin은 잠정은퇴 후 다시 Denver에서 소송법인의 hot shot변호사로 일하고 있고, Cliff의 책방에 투자한 파트너이기도 하다.  Erin에게는 Laura라는 베프가 있었는데, 이 문제의 Laura는 Erin의 오랜 sweetheart와 뒤에서 cheat을 하고는 결혼해 버린 뇨자이다.  그리고 현재, Laura는 콜로라도주의 산골마을에서 남편과 세 아이들과 함께 살고있다.

 

그런 Laura가 어느 날, 남편 살해혐의로 체포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Erin을 변호사로 선임하기를 원한다는 소식이 이 사건의 시작이다.  꽤나 쉬운 사건이면서 제한된 배경과 등장인물덕에 쉽게 약 80%까지는 스토리가 가는 방향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런데, 작가가 남긴 최후의 반전은 상당히 예측이 어려웠던 것 같다.  즉 제대로 throw-off했다는 이야기. 

 

이 책을 보면서, Steven Berry의 주인공은 코펜하겐의 서점주인 - 전직 FBI Covert Operative였던 - Cotton Malon이 생각났는데, 아마도 둘 다 서점주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웠기 때문인 것이 하나였고, 다른 하나는, well, 내가 늘 생각하기를 책 애호가나 장서가를 주인공으로 만든 소설이 나오면 괜찮을 것 같다했는데, 이미 나와있으니 더 할 말이 없어진 것. 

 

끝으로 이 책을 보니 콜로라도주 같이 외국인 인구가 적은 곳, 특히 대도시 근교를 벗어난 곳은 역시 살만한 곳이 못된다는 생각을 확인했다.  아마도 매우 못된 부-보안관 Walsh라는 등장인물 때문인데, 이 케릭터는 우리가 생각하는 못된 시골 경찰의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그리고 꽤나 비중있는 조연이다.  읽어보면, 흔하게 생각하는 외국 시골에서의 horror story가 생각날지도 모르겠다. 

 

간만에 기대하지 않은 책에서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었고, 덤으로 지금 보니 내가 가진 책은 hardcover로써 작가의 친필서명이 들어간 first edition이다.  지금보니 원가 25불인데, 헌책 가격으로는 다소 비싼 15불에 판 이유가 이것이었나 싶다.  혹시 모르겠다.  한 20년 정도 있으면 좀 더 비싼 가격이 될런지도.  많지는 않지만, 가끔 구하게 되는 작가의 서명본이 좀 모이면 따로 책장을 하나 마련해서 보관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래그릇 동서 미스터리 북스 153
마츠모토 세이조 지음, 허문순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이초의 작품을 읽은 것이 벌써 6-7작품이 넘은 듯 싶다.  그간 간간히 써왔듯이 본격적인 추리물이라기보다는 사회상을 다룬 르뽀같은 작품들이 더 많다고 생각했었기에, 역시 세이초는 란포나 세이시같은 소위 좀더 정통파 추리물 작가들과는 다르구나 하는 느낌을 가졌다.  뭐, 앞으로도 특별히 이런 생각이 변할 것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최근에 읽은 이 작품은 보다 더 추리소설에 가까운 구성과 내용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해 본다.

 

어느날 철로변에서 발견된 시체는 타살로 판명이 나고 특별수사본부가 꾸려져 모인 clue들로 수사를 시작하지만, 전혀 다른 방향으로 develop되어 종국에는 금방 미결사건이 되고야 만다.  주인공 형사는, 형사 특유의 의무감으로 이를 처음부터 다시 쫒는데, 컴퓨터가 뭔지 일반인들은 알지 못하던 시절, 아니 전화는 교환수를 통해 이루어지던 시절답게, 이들의 수사는 철저하게 '발'에 의존하는 아날로그적이다.  예전에 60년대를 다룬 다른 추리물에서 한 형사가 이야기했듯이 수사는 철저하게 발로 뛰는 것이 이 시대의 공식이었던 것이다. 

 

지금보면 DNA조사, 사건장소주변의 무인cctv를 보면 반 이상은 해결이 될 의문점들이겠지만, 어쩌랴, 시대가 시대인 것을.  꾸준하게 인내를 가지고, 동시대 사람의 눈높이에 맞춰 사건을 추리해가다보면 의외로 쉽게 용의자를 식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간만에 약간이나마 추리를 요하는 작품을 읽을 수 있었기에 머리를 식히는 기회가 되었다.  이상하게 동서미스터리 문고의 판이 나에게는 정감있게 보이는데, 이도 다 사들이려면 200권이 훌쩍 넘기에 무리가 있고, 포함된 많은 작품들이 다른 경로로 많이 재출판되었기에 역시 좀 고려해 보아야 한다.  하지만, 이 판본은 어린 시절을 생각나게 하는 추억의 그 무엇인가가 있어 요즘에 나온 좀더 고급한 작가중심의 양장본들보다 더 정감있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를 노린다 동서 미스터리 북스 154
마츠모토 세이조 지음, 문호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이초의 작품들은 elaborate한 가상의 사건보다는 실제로 있었던 일들을 모티브로 하여 만들어졌다고 얼마전에 읽은 것 같다.  그런 점들, 즉 사회적인 이슈들에 대한 관심과 재구성은 세이초를 단순한 추리소설 장르를 넘어선 다큐멘타리 작품을 쓰게 만들기도 했는데, 상당한 호평을 받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또한 이런 세이초의 작품성향은 그를 '사회파'작가라는 일종의 코드로 분류하게 하였고, 지금까지도 이 '사회파'라는 장르는 후학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고 한다. 

 

이전의 작품들은 추리성이 낮아서 가히 사회파라는 이름이 무색하지 않을만큼 현실적이고 사건서술적이었기에 추리소설로써의 재미는 조금 낮은 감이 없지 않았었는데, 동서에서 모아놓은 책들은 그래도 다른 작품들에 비해 추리소설로써의 feature가 더 배어나오는 것 같다.

 

전후 일본의 어느 날.  월급날이 돌아오는 대기업은 당장 부족한 자금조달을 위해 뒷거래로 어음결제를 하여 돈을 빌리는 작업을 하게 되어, 3000만엔짜리 어음을 결제해주고 이에 준하는 돈을 은행에서 빌리기로 한다.  일말의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어음을 결제해준 담당자는, 그러나 돈을 받지 못하고, 전부가 은행의 자리를 교묘하게 빌린 사기사건임을 알게 된다.  작품에서 이야기하기를 흔한 수법이라고 하는데, 일단 이렇게라도 얻어진 어음은 제 3자로 넘어가면 이후로는 bona fide purchase로 인정을 받아 최초의 사기와는 관계없이 현금화가 가능한 모양이다. 

 

이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 일본답게 - 담당자는 자살을 택하고, 책임자는 지방으로 좌천되며, 회사는 신용과 평판을 위해 손해를 감수하기로 결정한다.  어처구니 없는 사기사건은 그렇게 일단락 되는 듯 싶었다.

 

자살한 담당자가 아끼전 부하직원이 하나 있었는데, 순전히 인간적인 이유 - 자신이 은혜를 입었다는 - 로 아마추어의 관점에서 사건을 쫒게 된다.  그러면서 하나씩 둘씩 나타나는 사건의 실체에 전후 일본을 만들어 가던 음지의 이야기 - 우익 폭력단, 어음사기, 연관된 우익 정치인 - 가 나오면서 사건은 점점 더 복잡하게 전개된다. 

 

이 시기의 일본은 전전의 우익과 전후의 우익 폭력단이 세대교체를 하던 모양이다.  그리고 지금보다도 훨씬 더 공공연하게 정치권과 연계한 활동을 한 듯하다.  우리에게는 명성황후 시해로 알려진 현양사라는 - 제국시절의 우익 폭력단 - 조직에 대한 이야기도 잠깐 나오는 등, 사회파의 작품답게 눈을 뜨고 잘 보면 전후 일본의 시대상을 볼 수도 있다. 

 

그래도 내가 읽은 이전의 작품들보다는 좀더 본격적인 추리를 요하는 것 같아, 서술적인 문체에도 불구하고 '추리'의 재미를 느끼면서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울과 몽상 - 에드거 앨런 포 소설 전집
에드거 앨런 포 지음, 홍성영 옮김 / 하늘연못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에드거 엘런 포의 작품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익숙하게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검은 고양이' - 수많은 아류작이나 동류작품들과 혼동되기는 하지만, 포의 작품이 가장 유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 - '모르그가의 살인' - 후대 명탐정의 모티브가 된 오귀스트 뒤팽이 등장하는 - '어셔가의 몰락' 등등이 많이 알려져 있고, 이들을 포함한 단행본의 숫자도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예전에 영문판으로 구했던 포의 전집을 그대로 번역한 것이 바로 이 '우울과 몽상'인데, 포의 모든 소설을 모아놓은 것이다.  이를 다시 환상, 풍자, 추리, 공포의 네 장으로 나누고 이에 맞는 소설들을 각각의 항목하에 분류해 놓았기에 각각의 작품이 어떤 장르로 나뉘어지는 지도 알 수 있다 (물론 이 분류를 전적으로 신뢰하지는 않지만 말이다). 

 

작가의 연보와 평론까지 합하면 800페이지가 훌쩍 넘기에 책값도 만만치 않았지만 - 무려 28,000원 - 다행스럽게도 깨끗한 중고카피를 반값에 구할 수 있었다.  온라인상으로는 조금 다르겠지만, 알라딘 중고매장에는 여러 카피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으니 기회가 되면 한번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어쨌든, 추리/공포 뿐만 아니라, 포의 일생을 지배한 그의 mysterious한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사료급 모음집으로 생각된다.  포의 황당한 생의 결말만큼이나 난해하고 어려운 작품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처음 접하는 것들이어서 신선한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홈즈의 에피소드 중 오귀스트 뒤팽의 추리를 과학적이지 못한 것으로 비판하는 부분이 있는데 - 아마도 코난 도일의 의견이었기지만 - 이는 전적으로 fair하지 않다는 것을 '모르그가의 살인'을 다시 읽으면서 생각했다.  뒤팽과 화자의 조합은 훗날 홈즈와 왓슨으로 대표되는 2인조의 원형을 제시하고 있고, 특이 이들의 shut-in 성향 또한 홈즈가 고스란히 이어받기에 이런 점만으로도 홈즈는 뒤팽에게 감사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포가 만든 토양에 뿌린 씨가 활짝 피어난 것이 코난 도일의 221-B Baker Street이라고 믿어지기 때문이다.

 

PS. 7-13-2012: 오늘 갑자기 떠오른 생각. '포, 그 자체'라는 제목을 모르는 사람이 보면, 맛블로거의 글로 착각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ho, 그 자체'로 말이다.  내가 Pho를 좋아하기는 하지만서도...

 

PS2. 7-13-2012: '우울과 몽상'이 base로 했다는 영어판 Poe의 컬렉션에는 노이자트님이 지적하신 '아서 고든 핌의 모험'이 들어있다.  그 뿐만 아니라, Poe가 쓴 시도 모두 모아놓았다.  난 이걸 다른 버전으로 2권인가 가지고 있는것 같은에, 엊그제 사무실 근처의 Barnes & Noble에서 재고세일하는 걸 보았다.  몇 권 더 사놓았다가 서친들께 선물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오늘까지는 생각으로 그친 채 남아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사르 2012-07-06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hut-in 이 포를 이해하는 키워드 중 하나일까요? 포 작품을 읽기는 했을텐데 기억에 남아있는게 없네요. 세이초 작품을 마저 읽고 나서, 포 작품도 읽어봐야겠어요. 이번엔 제대로, 말이죠.

transient-guest 2012-07-07 01:47   좋아요 0 | URL
뒤팽이라는 창조물도 결국은 포의 사유의 하나라고 생각하면 그럴 수 있겠지 싶어요. 뒤팽과 홈즈는 많이 닮은 케릭터라고 봐요 - 홈즈 = 뒤팽 2.0이라고 하면 좀 이상할까요?

제가 리뷰를 쓰기 시작한 이유인데요, 나이가 드니까 책을 읽고나면 금방 내용을 잊어버리더라구요. 그나마 이렇게 조금이라도 남겨놓으면 좀더 머릿속에 남아있는 것 같아서 계속 정리하게 되네요.

포의 전집으로 쭉 읽어보셔요. 느낌이 또 다를 듯.

노이에자이트 2012-07-07 2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에는 <아더고든 핌의 모험>은 없군요.이게 포의 유일한 장편이죠.

transient-guest 2012-07-08 08:50   좋아요 0 | URL
제목이 낯이 익네요. 이건 따로 구해서 읽어야 할 것 같네요. 아니면 다른 출판사에서 나온 포 컬렉션에 있는지 찾아봐야 하겠어요.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 시대의 지성, 청춘의 멘토 박경철의 독설충고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로 오랜만에 좋은 가이드를 만난것 같다.'  읽는 내내 그런 생각을 했고, 많은 밑줄을 긋게 만든 책이다.  어떤 가식도, 군더더기도 없이, 때로는 조금 보수적이기도 하지만 - 사실 50을 바라보는 이라면 어느 정도는 당연하기까지 하겠지만 - 정말이지 단백질 음식으로 말하자면, 닭 가슴살을 먹는 듯한, 아니 최근의 운동경험으로 비춰보면, 생선회를 먹는 듯한, 그런 느낌으로 내용을 곰씹어 갈 수 있었다.  그만치 영양만점의 책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너무도 좋은 이야기들로 가득하여 아직 짧은 나의 글솜씨 - 라고 하기도 민망하지만 -로는 총체적인 내용정리와 감상을 적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된다. 

 

간략하게 chapter별로 보면

 

1. 나를 찾아가는 시간 - 익숙하지 않은 것들을 접하고 그 속을 헤메이는 것, 이에 의한 방황은 살아있다는, 아니 내 삶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증거.  이를 통해 꾸준히 그리고 싶이 성찰하여 자신의 본질을 찾아, 궁극적인 삶의 목표를 향해 나아갈 것.  그리고 그럴 때, 그 과정 중 몰입하고 존재할 수 있다는 것.  끝으로 이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 힘과 자원의 갈무리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2. 세상과의 대화 - 좋은 말을 쓰고, 좋은 생각을 담고, 진실을 외면하지 말며,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참 지식인으로서의 본분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자본주의의 극을 달리게 만든 신자유주의의 물결은 우리 모두가 대항하여 돌려낼 부조리라는 것.  개인의 욕심만 채우는 것이 아닌 진정한 행복은 다수의 삶의 행복속에 진정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이야기 했다고 생각한다.

 

3. 나를 감동시키는 자기혁명 - 큰 목표의 실현은 매우 작은 일상의 소소한 나쁜 습관을 고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남은 속일 수 있어도 자기자신은 속일 수 없는 법.  만약 아침에 늦잠자는 습관, 마구잡이식 음주, 유흥의 습관을 고치지 못하면, 아니 자기 방 정리조차 할 수 없다면, 절대로 크고 먼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  내가 건진 큰 교훈.  항상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고, 이런 것들이 모여 큰 목표로 향하는 과정을 이룬다.  바다가 처음부터 바다가 아니고, 작은 물줄기들을 개울에서 강으로, 그렇게 모여 흘러 바다를 이루듯이.

 

4. 자기혁명을 위한 배움과 성장 - 지식과 지혜를 얻는 학과 습을 하지 않으면 진정한 배움을 이룰 수 없고, 이를 위한 공부의 척도는 결국 시간 대비 몰입에서 결정 - 즉 공부의 quality가 quantity보다 중요하다는 이야기.  독서 역시 마찬가지.  깊이 읽어 소화를 해내고, 자신만의 성찰을 통해 저자의 진정한 이야기, 의도와 만나라는 것.  그리고 그것을 자기만의 것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진정한 배움이 된다.  즉 책을 읽는 행위는 일차적인 학의 단계라면, 이를 읽고 토론과 사색을 거쳐 무엇이가 배출해 내는 행위, 먹어내고 흡수하는 그 행위가 습의 단계.  지식을 쌓고 성찰과 소화를 통해 지혜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것.

 

5. 미래를 여는 변화와 도전 - 시대의식의 부재.  반복되는 좌절로 인한 체념적 운명론이 사회를 덥고 있는 세태에 대한 우려와 이를 벗어나기 위한 시민의식의 성숙에 대한 이야기.  읽다보면 과거로 회귀하고 있는 것은 정치와 경제 뿐만이 아니라 교육까지 포함된다는 것, 아니 그런 의미에서 교육론과 관점의 후퇴는 심히 우려할 수준이 된다는 생각을 하게 하였다.  대학이 아니 박사과정까지도 더 이상 '배움'을 위한 것이 아닌, '기업이 원하는 취업형'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이 되어가고 있으니까.  이는 19-20세기의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던 적당히 배우고 적당히 말 잘 듣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일 뿐, 21세기를 주도할 새로운 시대형의 인재양성을 위한 것이 아님.  그러나 재벌과 정치인 입장에서는 이런 '우민'형 인재가 최고일 듯.

 

이런 좋은 책을 읽고도 이 정도밖에 써내지 못하는 것은 전적으로 내 머리와 글이 모자란 탓이다.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책은 읽고나서의 정리가 그리 매끄럽게 나오지 않고, 특히 내용을 총 정리하는 부분은 능력이 매우 부족한 부분같다.  일단 책을 깊이 읽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과 함께, 읽고나서 많이 잊어버리는 것도 큰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그저 노력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