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쓰기 싫어요!
구스노키 시게노리 글, 다루이시 마코 그림, 전선영 옮김 / 애플트리태일즈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어렸을 때, 괜스레 안경 쓴 사람이 멋있어 보이던 때가 있었습니다. 왠지 지적인 것처럼 보이고, 왠지 있어 보이기까지. 어쩌면, 안경 쓴 사람이 흔치 않던 시대였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그 당시는 넉넉지 않던 시대였기에 눈이 좋지 않아도 안경을 쓸 엄두를 내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었을 것이고, 동네에 tv 있는 집이 많지 않던 시대였기에 눈이 나빠질 환경도 아니었습니다. 이래저래 안경 쓴 친구들이 귀하던 시대였습니다.

이처럼 안경 쓴 사람이 귀한 시대였기에 마음속으로는 ‘나도 안경 한 번 써보면 멋질 텐데...’ 부러워하면서도 겉으로는 그들을 ‘안경쟁이’라고 부르며 놀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던 내가 안경을 쓰기 시작한지 어느덧 30년이 가까워져 갑니다. 사실, 안경을 쓴다는 것, 굉장히 귀찮은 일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안경을 쓰지 않았으면 하는 소망입니다.

그럼에도 눈이 나빠져서 안경을 써야만 한다면 써야겠지요. 그리고 안경을 써야만 하는데도 쓰길 꺼려한다면, 잘 설득해야겠지요.

주인공은 바로 그런 아이입니다. 눈이 나빠져서 안경을 써야만 하는데, 혹 친구들이 놀릴까봐 겁이 납니다. 그래서 안경점 주인의 말도, 부모님의 설득의 소리도 귀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이 안경을 쓰셨네요. 교장선생님도, 다른 선생님들도... 바로 주인공의 마음을 달래주기 위한 선생님들의 배려랍니다.

참 멋진 선생님들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이런 선생님이 계셨으면 하는 바람이 먼저 듭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이런 배려의 자리에 서길 원합니다. 나와 다른 모습의 친구를 놀리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용납하고 포용하는 멋진 친구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레킹으로 지구 한 바퀴 : 중국.중동.아프리카 편 - 이름만 들어도 숨 가쁜 트레킹 & 트레블 명소 무작정 체험기 트레킹으로 지구 한 바퀴 1
김동우 지음 / 지식공간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여행은 언제나 설렌다. 무엇보다 가장 설레며 행복을 느끼는 시간은 여행을 떠나기 전 짐을 쌀 때가 아닐까? 여기에 또 하나의 시간이 있다. 비록 내가 떠나진 않지만, 이미 떠난 이들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며, 또 하나의 꿈을 꾸게 되는 시간이다. 바로 이것이 여행서적들의 매력이 아닐까?

 

『트레킹으로 지구 한바퀴』는 저자가 행복을 찾아 직장을 그만 두고 무모한 도전 세계일주를 행하게 되는 궤적이다. 특히 저자는 도보여행을 꿈꾼다. 그래서 장비를 구입하고 필요한 준비를 행한 후, 과감히 떠난다.

 

이 책을 읽어가며, 여행서적의 매력인 저자와 ‘함께’ 미지의 세상을 걷게 된다. 때론 저자와 함께 차마고도 트래킹 코스를 걷기도 하고, ‘천하제일측’에 앉아 옥룡설산의 풍광에 젖게 되기도 한다.

 

여행의 가장 큰 장점은 작은 것들에서 행복을 찾게 되는 것이 아닐까? 책을 읽는 가운데, 저자와 ‘함께’ 이 작은 행복을 느끼게 된다. 저자가 작은 수지를 맞게 되면, 마치 내가 큰 이익을 얻은 것처럼 기뻐하기도 하며, 반대로 저자가 현지인들에게 당할(?) 때는 마치 내가 손해 본 것처럼 씩씩거리기도 한다.

 

무엇보다 여행서적의 장점은 내가 힘들이지 않아도 좋다는 점이다. 사실 여행은 떠날 때도 행복하지만, 집에 돌아왔을 때가 가장 행복하지 않은가? 그만큼 여행은 힘겨운 또 하나의 수행의 시간이기도 하기 때문. 하지만, 여행서적을 읽어가는 나는 힘들이지 않고, 난이도 상의 트래킹 코스를 너무 쉽게 완주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책을 덮으며, 나에게는 또 하나의 버킷리스트가 작성된다. 웅크리고만 있지 말고, 나 역시 떠남의 축복을 누리게 되길 소망하며...

 

자신의 행복을 찾아 과감하게 삶의 방향을 돌릴 줄 아는 ‘무모한 도전’은 언제나 아름답다. 그것만으로 저자는 존경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쉬움이 없진 않다. 여행의 또 하나의 즐거움이란 누군가의 삶을 엿보며, 그 삶 속으로 살며시 들어가 보는 것이 아닐까? 이런 측면에서 본서는 아쉬움을 남긴다. 어쩌면, 이 아쉬움은 독자 한 사람 한 사람이 채워나가라는 숨은 의도는 아닐까? 언젠가는 저자가 있었던 그 자리에 내가 있게 될 날을 꿈꿔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5분 엄마 목소리 - 태교 동화를 읽는 시간, 사랑을 배우는 아이 하루 5분 태교동화 시리즈
정홍 지음, 김승연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5분 엄마 목소리』는 태교를 위한 책이랍니다. 그래서 ‘태교를 사랑하는 엄마 ․ 사랑을 배우는 아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습니다. 사실, 그랬기에 솔직히 책을 약간 무시하는 마음이 없지 않았습니다. 흔히 태교를 위한 책이라면, 좋은 글들을 여기저기에서 모아놓은, 그래서 마치 잡동사니와 같은 책들이 많았거든요. 그런데, 책을 읽어가는 가운데, 내 생각이 전적으로 잘못되었음을 알았습니다.

 

 

이 책은 태어날 아이에게 들려주길 원하는 아빠의 마음이 그대로 담긴 창작동화집이거든요. 게다가 하나하나의 동화는 어찌 그리 예쁜지 모른답니다. 왠지, 책 제목 때문에 아름다운 글들이 손해보고 있다는 생각마저 들었답니다.

 

 

도합 9편의 동화와 3편의 에세이, 그리고 마지막 에필로그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그리고 각 동화는 또 다시, 엄마를 위한 동화, 아이를 위한 동화(짧은 요약으로 보면 됩니다), 엄마의 생각보따리(아이를 향한 엄마의 바램, 기도를 담은 짧은 글)로 구성되어 있구요.

 

 

또 하나의 선물은 각 동화가 시작되는 페이지에 삽입된 예쁜 그림들이랍니다. 그러니 열 개의 예쁜 그림도 감상할 수 있죠.

 

 

그럼, 각각의 동화는 어떤지 간략하게 살펴볼까요?

 

‘거인의 풍선’은 우리가 살아가며 어떤 마음을 품고 살아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좋은 감정으로 풍선을 풀면, 그 풍선이 또 다른 좋은 결과들을 가져오죠. 하지만, 나쁜 감정으로 불면, 아무리 크게 분다 한들, 소용이 없답니다.

게다가 거인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선입견, 그리고 남의 선의를 이용하려는 나쁜 마음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네요. 그럼에도 한결같은 거인의 사랑과 희생은 결국 서로의 마음을 통하게 한답니다.

 

 

‘고고의 오두막’은 자신의 세계에만 갇혀, 자신만의 집을 짓던 비버 고고 할아버지의 이야기랍니다. 그런데, 어느 날 젊은 수달부부가 불청객으로 찾아오네요. 처음엔 너무 싫었지만, 점차 서로를 향해 마음을 열게 되고, 새로운 가족이 되네요. 서로를 향한 마음을 여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배우게 해줍니다. 게다가 누군가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모험을 떠나는 고고 할아버지의 모습은 우리 역시 끊임없이 도전해야 함을 말하네요.

 

 

‘고미의 털’은 자신의 털을 뽑아 누군가를 배려하는 강아지 고미 이야기입니다. 희생과 배려야말로 우리 모두가 간직해야 할 소중한 덕목이죠.

 

 

‘구름 참새’는 자신의 유익만을 쫓을 때, 어떤 끔찍한 일이 벌어지는 지를 보여주네요. 우린 자칫 내 아이만은 누군가의 아이를 밟고라도 위로 올라가고 승리하길 원하는 마음을 품게 되는데, 이 마음이야말로 세상을 끔찍하게 만드는 괴물임을 알게 됩니다.

 

 

‘눈으로 지은 성’에서는 마녀가 등장하네요. 이 마녀는 미움, 절망, 슬픔을 먹고 산답니다. 어두운 마음은 끔찍한 마녀를 더욱 힘 있고 젊게 만들지만, 밝은 마음, 희망은 마녀를 약하게 만들죠. 그렇습니다. 밝은 마음, 희망은 마법조차 이겨낸답니다.

 

 

‘탐험가 아빠와 함께 보낸 어느 특별한 사흘’은 아빠를 탐탁찮게 여기는 아이가 나오네요. 아빠는 언제나 자기주장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그런 아빠야말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멋진 아빠랍니다. 비록 작은 아이, 딸이라 할지라도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존중의 마음을 품는 아빠의 모습, 진정 멋진 모습이네요.

 

 

‘도시의 등대지기’는 사람들이 꿈을 찾을 수 있도록 비춰준답니다. 오늘 우리들이 살아가는 세상 역시, 꿈을 비춰주는 이가 있겠죠. 무엇보다 엄마, 아빠야말로 여러분들의 꿈을 비춰주는 ‘사랑의 등대지기’랍니다. 문제는 여러분 마음속에 ‘참 꿈 씨앗’이 있느냐는 거죠. 참 꿈 씨앗은 내 꿈을 말하는 것이 아니랍니다. 자칫 우리는 내 욕망을 꿈으로 착각하죠. 참 꿈 씨앗은 남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랍니다. 이것이야말로 참 꿈 씨앗임을 보여줍니다.

 

 

‘레이디 캔’은 꿈, 희생, 가능성을 말합니다. 무엇보다 지금 이 순간의 아름다움을 채워나가는 것이야말로, 참 꿈임을 말한답니다. 여러분! 지금의 아름다운 순간들이 모여 내일을 만든답니다. 오늘 여기의 작은 것들을 무시하면 내일 역시 아름답지 못한 법이죠.

 

 

마지막, ‘씨앗도둑’은 희망, 꿈, 기쁨을 나누는 아이의 이야기입니다. 자신의 욕심에 의해 자신도 몰래, 씨앗도둑이 되어야만 했던 아이가 누군가에게 희망과 꿈, 기쁨을 심어주는 씨앗을 전하는 아이로 변하게 되네요. 우리 모두 아름다운 씨앗을 심는 자들이 되면 좋겠네요.

 

 

이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우리 아이들의 마음속에 예쁜 씨앗으로 자라나길 소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blog.aladin.co.kr/704570193/70732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미 안에 또다른 미미 문원아이 18
소중애 지음, 장지선 그림 / 도서출판 문원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미미는 고아입니다. 어렸을 때, 자신을 주어온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할머니도 미미도 눈에 질병이 있습니다. 미미는 이 눈의 질병 때문에 사람을 똑바로 쳐다보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쉽게 오해를 사게 되고, 버릇없는 아이로 낙인찍히기도 합니다.

 

 

미미는 바보가 아닙니다. 미미의 마음속엔 똑똑한 미미가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똑똑함을 겉으로 잘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미미는 바보로 인식됩니다.

 

 

미미는 항상 배가 고픕니다. 어쩌면 사랑이 고픈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미미에게 도움을 주는 아이가 있네요. 바로 수연이라는 아이인데, 최고 부자인 독고안과 외동딸이랍니다. 그런데, 이 수연이가 미미를 돌봐주는 것, 사실 진심은 아닙니다. 그저 자기만족이랍니다. 부잣집 아이가 가난하고, 어리숙한 아이를 돌봐줌으로 사람들에게 칭찬받게 됨을 즐기는 겁니다. 비록 꼬마 아이이지만, 이런 모습, 오늘 우리 주위에 적지 않습니다. 참 사랑을 실천하기보다는 자기만족을 위한 사랑의 겉 행위들이 적지 않습니다. 어쩌면 어리숙한 미미 안에 담긴 또 다른 미미를 통해, 이런 모습도 우리에게 고발하고 있지 않나 여겨집니다.

 

 

또 하나의 중요 등장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선생님들입니다. 특히 4반 선생님은 미미를 괴롭히며 즐거워합니다. 선생님은 지식을 가르치는 기술자가 아닙니다. 선생님은 아이들의 영혼까지 책임질 줄 아는 스승이 되어야 합니다. 선생님은 인격적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못하네요. 이 동화를 쓴 소중애 선생님 역시 오랜 세월 교편을 잡고 있는 선생님입니다. 선생님의 손끝에서 자기반성이 나오고 있지 않나 여겨집니다. 우리 아이들이 인격적 스승을 만나는 축복이 있다면 좋겠습니다.

 

 

바보 같은 미미는 끝내 바보 같은 결정을 내립니다. 부잣집에서 살 수 있는 기회가 왔음에도 가난한 할머니의 품을 찾아 돌아갑니다. 왜냐하면, 미미는 결코 바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 그것은 사랑임을 미미는 알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미미 안에 또 다른 미미』의 모습이며, 오늘 우리들이 찾아야 할 나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한 가지만 더 생각해본다면, 이야기 가운데 나오는 개복이라는 친구가 있습니다. 이 친구는 말이 늦습니다. 학교 안에서는 선생님들에게 미미와 함께 바보로 불리는 아이입니다. 하지만, 이 둘이 함께 뭉칠 때, 행동력이 생깁니다. 작은이들의 연대가 소중함을 암시하고 있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