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는 벚나무를 심는다. 누가 심으라 하지 않으나 조용히 벚나무를 심는다. 할아버지가 심은 벚나무에 벚꽃이 피는 모습을 할아버지가 볼 수 있기도 하지만, 할아버지는 벚나무가 우람하게 자라는 모습까지 지켜보지는 못한다. 그러나 할아버지에 앞서 다른 할아버지가 심은 나무는 어느새 우람하게 자랐으니, 먼먼 옛날부터 하나둘 심어서 돌보고 아낀 나무들로 숲을 이룬다. 할아버지는 할아버지대로 꾸준히 벚나무를 심고 사랑하며 기쁘게 바라본다. 아이는 할아버지 곁에서 나무를 마주한다. 나무를 쓰다듬고 나무내음을 맡으며 나무꽃을 즐긴다. 어느 날 할아버지는 조용히 눈을 감고, 아이는 눈물에 젖지만 벚나무로 이루어진 숲에서 새봄을 맞이하며 꽃잔치를 떠올린다. 그래, 꽃잔치이지. 할아버지가 물려준 고운 선물을 가슴에 담아야지. 숲을 지키고, 숲을 사랑하며, 숲을 노래해야지. 4347.4.12.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한 줄 책읽기)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할아버지의 벚꽃 산
마쓰나리 마리코 지음, 고향옥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8년 3월
8,500원 → 7,650원(10%할인) / 마일리지 420원(5% 적립)
2014년 04월 12일에 저장
절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7] 물



  시외버스를 타고 멀리 마실을 갑니다. 시외버스는 두 시간 남짓 달리다가 쉼터에서 섭니다. 쉼터에서 아이들 쉬를 누입니다. 물병을 채우려고 쉼터에 있는 밥집으로 갑니다. 물이 있는 곳을 살핍니다. 저기에 있구나 하고 물을 받으려는데, 물을 받는 곳에 ‘음용수’라는 푯말이 붙습니다.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마실물’도 ‘먹는물’도 아닌 ‘음용수’로군요. 이곳에서 물을 받아서 마시는 아이들은 저 글을 읽으려 하겠지요. ‘믈’을 마시려고 이곳에 와서 ‘믈’은 못 마시겠지요. 4347.4.12.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채꽃물결



가을걷이 마칠 무렵
군청에서 경관사업 벌이며
마을마다 논에 유채씨 뿌리라 시킨다.


이장님들은 새벽마다
빈논에 바지런히 땅 갈아 심으라
재촉하는 방송 하며 겨울을 보낸다.


새봄 찾아와 논에
노랗게 꽃물결 일렁인다.


유채씨 받으려는 흙지기 없이
죄 밟아 쓰러뜨리거나 꺾는다.


유채꽃은 한낱
도시사람 자가용마실 구경거리.



4347.4.11.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람타 강의와 얽혀 서울마실을 한다.

곁님 혼자 갈까 하던 길인데

네 식구 함께 움직인다.

 

즐겁게 마실을 하면서

넉넉하고 아름답게

집으로 돌아오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 계획서’를 쓰다 (사진책도서관 2014.4.9.)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어제 ‘도서관 계획서’를 썼다. 마무리지은 계획서를 여러 차례 되읽은 뒤 신안군청 문화관광과로 보낸다. 이 계획서를 어떻게 받아들일는지 모른다. 아하 이렇구나 이렇게 나아갈 때에 아름다운 도서관이 되겠구나 하고 받아들일 수 있고,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이제 우리는 기다릴 뿐이다.


  싱숭생숭한 마음으로 도서관에 간다. 도서관을 쓸고 치우다가 딸기밭으로 간다. 우리 도서관 딸기밭은 씨앗을 뿌려서 돌보는 밭이 아니고, 들딸기 스스로 조금씩 퍼지는 딸기밭이다. 이곳에서 들딸기를 거두어 먹으면서 다 먹지는 않는다. 때를 놓친 녀석이나 조금 작다 싶은 아이는 휙휙 이곳저곳으로 던진다. 씨앗이 되어 흙에 깃든 뒤 이듬해에 새롭게 씩씩하게 자라라는 뜻이다. 그동안 이곳에서 들딸기가 꽤 퍼질 만했을 텐데 좀처럼 퍼지지 못했다고 느낀다. 우리 식구가 이 폐교 자리에 도서관을 들이고 나서야 비로소 들딸기가 이곳저곳으로 퍼진다.


  이 마을 할매 누군가 이곳 들딸기를 훑기는 하는데, 모조리 훑기만 할 뿐 남기지 않고 다 가져가기만 하니 들딸기가 널리 퍼지지는 않았으리라 느낀다. 훑으면서 좀 남기기도 하고 이곳저곳에 던져 놓기도 해야 비로소 두루 퍼져서 이듬해에 훨씬 알뜰히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시골 어르신이 ‘몰라서’ 이렇게 안 할까. 아니다. 모르지는 않으리라. 어느새 버릇이 되었기 때문이다. 시골에서 흙을 보듬으며 아끼는 삶을 꾸린다고 하지만, 가난하며 고된 일에 치인 나날이 있고, 새마을운동 때부터 농약과 비료로 땅을 괴롭히는 농업에 길든 탓이다. 옛날에 어느 누가 씨앗 한 톨 안 남기고 모조리 훑는가. 콩 석 알 이야기가 있듯이, 들딸기를 훑을 적에도 모두 훑지 않는 법이다. 왜냐하면, 사람만 먹지 않으니까. 새도 먹고 쥐도 먹으니까. 개미도 먹고 풀벌레도 먹는다. 들딸기 둘레에는 그야말로 온갖 목숨이 찾아들어 조금씩 배를 채운다. 들판에서 이삭을 조금씩 남겨 새들이 겨울나기 하면서 쪼아먹도록 했듯이, 들딸기도 들짐승이 나누어 먹도록 남기기 마련이다. 까치밥으로 감을 남기잖은가. 그러나, 요새는 까치밥 남기는 시골이 줄어든다. 자꾸 사라진다. 마을에 들고양이한테 밥을 챙겨 주는 분이 있지만, 다 챙겨 주지는 않는다. 들개한테 밥을 주는 분이 있으면, 모르는 척하는 분이 있다.


  하얗게 꽃잔치 이루는 들딸기밭을 바라본다. 딸기꽃을 보니 즐겁다. 우리 도서관이 신안으로 옮긴다면 들딸기알을 한 줌 챙겨서 그곳에도 뿌려야지.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