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3.27. 꿈누리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지난 3월 18일에 받은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석벌글(3교지)을 열흘 동안 손질하고 다듬어서 펴냄터로 넘겼습니다. 여느 꾸러미가 아닌 낱말책이기에 글손질을 더 천천히 꼼꼼히 낱낱이 하기는 했으나, 열흘 동안 온힘을 쏟노라니, 3월 27일 저녁에 누리글월을 띄우고서 이내 드러누웠습니다. 한참 달게 꿈누리를 누볐습니다.


  석벌손질이 끝이 아니니, 넉벌손질하고 닷벌손질을 더 해야지요. 다만, 석벌까지 손질하면서 고개는 넘은 셈이니, 앞으로는 틀린글씨를 찾는 데에만 마음을 쓰면 되리라 여깁니다.


  바깥일을 보기 앞서는 집안일을 여러모로 추스릅니다. 저잣마실도 다녀옵니다. 이다음 일거리를 헤아리고, 이튿날 들려줄 이야기꽃을 곱씹습니다. 차근차근 나아가면 모든 실마리를 풀듯 우리 꿈씨앗을 싹틔우면서 즐거우리라 봅니다. 지난 2016년 봄에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을 달포 즈음 글손질을 매듭지을 적에는 바깥일을 하나도 안 하고서 살림돈을 이웃님하고 언니한테서 빌렸습니다. 2024년 봄을 돌아보면, 그때보다는 살림돈이 조금 나으나 간당간당했습니다. 다 지나가는 일일 테지요. 이제 짐을 꾸려서 시골집에서 경기 부천으로 달려가야겠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662 :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 크고 작게

→ 큰갈래와 작은갈래로


분류(分類) : 1. 종류에 따라서 가름. ‘나눔’으로 순화 2. [논리] 유개념의 외연에 포함된 종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나누다 : 1. 하나를 둘 이상으로 가르다 2. 여러 가지가 섞인 것을 구분하여 분류하다 3. [수학] 나눗셈을 하다 4. 몫을 분배하다 5. 음식 따위를 함께 먹거나 갈라 먹다 6. 말이나 이야기, 인사 따위를 주고받다 7. 즐거움이나 고통, 고생 따위를 함께하 8. 같은 핏줄을 타고나다



  한자말 ‘분류’는 ‘나눔’으로 고쳐쓰라고 뜻풀이를 합니다. 그런데 우리말 ‘나누다’를 ‘분류’로 풀이하는군요. 국립국어원 낱말풀이는 엉터리입니다.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는 겹말입니다. “크고 작게 나누어”로 고쳐쓸 노릇입니다. 뒷말은 “나누어 정리했다”로 맺기에 “크고 작게 나누었다”로 손질할 만하고, “큰갈래와 작은갈래로 묶었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각종 해양 쓰레기를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정리했다

→ 온갖 바다 쓰레기를 크고 작게 나누었다

→ 숱한 바다 쓰레기를 큰갈래와 작은갈래로 묶었다

《우리가 바다에 버린 모든 것》(마이클 스타코위치/서서재 옮김, 한바랄, 2023)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654 : 하고자 하는 목표



하고자 하는 목표를

→ 하고자 하는 뜻을

→ 겨누는 곳을

→ 바라는 바를


목표(目標) : 1.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 ≒ 표목 2. 도달해야 할 곳을 목적으로 삼음. 또는 목적으로 삼아 도달해야 할 곳 3. 행동을 취하여 이루려는 최후의 대상



  무엇을 ‘한다’고 할 적에는 무엇을 ‘바라본다’는 이야기요, 어느 길을 간다는 뜻입니다. 이때에 ‘하다’는 한자말 ‘목표’하고 맞물립니다. “하고자 하는 목표”는 겹말이에요. “하고자 하는 뜻”이나 “하고자 하는 일”로 고쳐씁니다. 또는 “겨누는 곳”이나 “바라는 바”나 “이루려는 길”로 손질할 만합니다. ㅅㄴㄹ



하고자 하는 목표를 잘 봐야 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하고자 하는 뜻을 잘 봐야 한다고 빗대는 말

→ 겨누는 곳을 잘 봐야 한다고 비기는 말

→ 바라는 바를 잘 봐야 한다고 이르는 말

《제주어 기초어휘 활용 사전》(강양봉·김순자, 한그루, 2021) 6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653 : 동네 이장



동네 이장님

→ 마을지기


동네(洞-) :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洞內)

이장(里長) : 1. 행정 구역의 단위인 ‘이’(里)를 대표하여 일을 맡아보는 사람 2. [역사] 조선 시대에,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에 관한 일과 그 밖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 이임



  한자말 ‘이장’은 ‘마을지기’를 가리킵니다. “동네 이장”은 겹말이에요. 수수하게 ‘마을지기’라 하면 됩니다. 또는 ‘마을어른’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생산자가 동네 이장님일 수도 있고

→ 지음이가 마을지기일 수도 있고

《선생님, 채식이 뭐예요?》(이유미, 철수와영희, 2022) 6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말꽃 책수다


― 때. 2024.3.28. 목. 18:30 ∼

― 곳. 경기 부천 〈빛나는 친구들〉



우리말이 어떻게 ‘꽃’으로 피는가 하는 이야기를 펴는 자리입니다. 책 하나를 사이에 놓고서 수다판을 누립니다. 책집으로 오셔서 책을 장만할 수 있습니다. 부천여고 곁에 있는 〈빛나는 친구들〉로 마실하는 분은 이야기를 누리고, 말빛을 누리고, 생각을 틔우면서, 봄내음을 물씬 즐길 만합니다.


“우리말꽃 책수다”를 함께하는 분한테는, 숲노래 씨가 손으로 쓴 노래꽃(동시)을 한 자락씩 받을 수 있습니다. 전남 고흥에서 시외버스를 타고서 서울을 거쳐 부천으로 나아가는 길에 쓴 노래꽃을 누리실 분은 사뿐사뿐 마실하셔요.


3월 모임에서는 〈빛나는 친구들〉 이름에서 앞자락을 딴 ‘빛’이라는 낱말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4월 모임에서는 ‘동무(친구)’라는 낱말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엮어냅니다. 우리말 ‘빛’하고 ‘동무’에 어떤 수수께끼하고 밑동이 깃들었는지 궁금하다면 기쁘게 만나서 수다꽃을 피워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