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떡이는 물고기처럼
스티븐 C. 런딘 외 지음, 유영만 옮김 / 한언출판사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개론에서는 구본형의 ‘그대 스스로를 경영하라’의 최근 유행하는 논지와는 다른 논지를 가지고 전개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자신이 무슨 일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전제로 각론으로 접근한다. 물론 여기서 ‘여지가 없다’는 의미는 본문에서도 설명하다시피 그만큼 ‘힘들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겠다. 가족을 부양해야 하고 새로운 길을 탐색해야 하는 현실을 끌어안는 절충안 정도라고 할까.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이에는 그다지 마음이 끌리지 않는다. 이를 전제로 펼치는 각론들은 마음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히 설득력을 가진다. 하지만 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더욱더 그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처음의 전제는 없어도 좋다는 생각이다. 자신이 지금 하는 일이 좋아하는 일이긴 하지만 반복되는 일상에 축 처져 의욕을 잃어가고 있다면, 또는 자신의 부서가 ‘유기물 쓰레기 더미’와 같이 침침하게 느껴진다면 한 번 읽고 느껴볼 만한 책이다.

또 저자는 한 가지 딜레마에 빠지고 있는데, 그 대상은 용기와 위험을 무릅쓰는 여장부이다. 저자는 주인공 여성을 남편을 갑작스레 잃고 두 자녀를 부양해야 하는 직업여성으로 설정함으로써 직업의 선택의 여지를 상당히 어렵게 설정한다. 여기에는 현실 앞에서 우리는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각론의 자신의 태도 변화에 있어서는 상당히 위험을 무릅쓰는 용기를 발휘한다. 역시 아무래도 자신이 좋아하는, 잘할 수 있는 직업이어야 그러한 위험을 무릅쓸 용기를 발휘할 수 있는 전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더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겠지. 동시에 나의 능력이 검증 받고 타인에 의해 인정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도 주인공은 경쟁사에서 스카우트 제의가 올 만큼의 능력을 인정 받고 있고 자신도 거기에 자극되고 업되어 위험을 안고 시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 읽은 이 책과 같은 형식의 논픽션 소설인 ‘겅호’라는 책이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겅호는 마음 속에 뭔가를 움직이는 데는 부족한 감이다. 아마도 ‘겅호’가 경영자와 관리자를 위한 책이라며 이 책은 직원와 경영자 모두에게 어필할 수 있어서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reative Thinking - 세상을 보는 글들 9
로저 본 외흐 지음, 정주연 옮김 / 에코리브르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광고 중에 이런 것이 있다.“문제는 창의력입니다. XX Think BIG!”만약 광고주가 이 책을 읽었다면 think alternative나 think different로 바꾸었을지도…이 책의 요점을 한 마디로 하면 창의적으로 생각하려면“고정관념을 파괴하라”는 것이다.우리가 학교에서 교육 받으면서, 또는 사람들과 살아가면서 머리에 붙어버린 고정관념(저자는 이것을 “정신적 감옥”이라 부른다)을 벗어 던지라는 것이다. 창의력을 방해하는 이런 고정관념이 어떤 것이 있고 이를 탈피하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 할지 하는 것이 이 책의 내용이다.그러나 著者가 언급했듯이 우리는 항상 창의적이고 창조적일 필요는 없다.모든 일에 창의성을 발휘해야 한다면 아마 정신병자가 되어버릴 것이다.그럼 언제 창의력이 필요하고 창조력을 발휘해야 할까?창의력을 발휘해야 하는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하는 것이어떻게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를 아는 것보다 더 힘들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마커스 버킹엄 & 도널드 클리프턴 지음, 박정숙 옮김 / 청림출판 / 200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가지 기획이나 제안서를 작성하다보면SWOT분석을 많이 하게 된다.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소들을 나열하고강점과 기회를 활용하고, 약점과 위협요소들에 대한 제거방안을 세운다.그러나 보통 강점과 기회를 살리는 점보다는약점과 위협요소를 제거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일처리 5단계도 장애요인 추출 및 제거방안 수립이 4, 5단계에차지하고 있다.

이 책의 부제가 강점혁명인 것은바로 이런 가치관에 대한 혁명이다.약점 보완에 들이는 노력과 정성을자신의 강점에 투입해 인생의 기쁨을 누리자는 것이다.뇌세포 뉴런과 시냅스를 기본으로 한 생물학적 뒷받침이 흥미롭다.강점혁명을 위해 우선 각자의 강점을 찾는 방법으로strengths finder라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불행히도 경영자료실에서 빌리는 책에는 제공되는 ID가 없어서이 테스트를 받으려면 새로 책을 구입해야 해야 한다.참고로 나의 강점 테마는 순위별로신중함, 사고, 최상주의, 촛점, 분석로 나타났다.
대인관계가 많은 일보다는 혼자서 생각하고 계획하고 분석하는 일이나에게 적합하다는 말씀.각자 한 번 해 보시길..

아쉬운 점은 그 활용성을 주로 기업체제 환경에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아마도 저자가 기업을 대상으로한 컨설팅에 목적을 두고 있는 듯...그리고 현재의 환경에서 강점을 활용하자는 논지는 강점혁명이라는 부제에어울리지 않게 다소 소극적이라는 생각이 든다.최근 쿠라바야시 히데미츠의 싫은 일은 절대로 하지 마라 역시 같은 논지의책이다. 대신 좀 더 적극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책으로강점을 발견해서 이에 맞는 직업으로 전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C 제약경영
정남기 지음 / 대청(대청미디어) / 1999년 11월
평점 :
절판


어떤 사람의 생각이나 개념을 이해하려면 같은 사람의, 또는 같은 주제의 책을 3권만 읽어라.경영자료실에 우연히 들렸다가 제목만 언듯보고 TOC?TOC?? 어디선가 본듯한 약어에 집어들은 책이다.원문 The Goal의 성공에 힘입어 제약조건이론을 우리나라 사람이 배우고직접 쓴 책이다. The Goal을 읽으면서 경제자원투입량 등 잘 모르는 경영용어에 고개를 갸우뚱한 적이 있다면, 또는 읽긴 읽었는데.. 뒷부분의 서술이잘 이해가 안 가는 분에게 적합한 책이다. TOC를 예제를 통해 하나하나 설명하고 있다.나는 무엇보다 2. TOC의 일반 시스템 관리 단원이 맘에 들었는데..TP(Thinking Process)가 설득력이 있으면서도 실무에서도 크게 도움이되었다. 또 일처리 5단계와도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어서 SK인에게는 특히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P를 순서대로 간단히 소개하면...

1. CRT - 현재 발생하는 문제들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낸다. => 입체적 Location 파악
2. EC(개인적으로 제일 맘에 드는 사고전개 방식) - 상호 윈윈의 해결책을 모색한다.
=> KFS 도출3. FRT - EC로부터 나온 해결책을 통해 문제의 해결을 시뮬레이션해 본다. => 목표수준 설정4. NBR - 부정적인 부작용들에 대해 고려한다. => 장애요인 도출
5. PT - 문제 해결의 중간 목표를 잡는다.6. TT -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도출한다. => 장애요인 제거방안 및 실행 방안

한 번 읽어보시면 정말 일처리 5단계랑 비슷하구나라고 느끼실 겁니다.여기에 구체적으로 머리 속에서 사고를 진행하는 과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특히 EC(구름증발기)는 감히 협상의 법칙이라고 이름 붙여도 손색이 없을만큼쉽고 유용합니다. 실제 서로 추호의 양보가 없는 회의에 한 번 써 보시지요.톡톡퇴는 해결책으로 해결사가 되실 수 있을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oal (더 골)
엘리 골드렛 외 지음, 김일운 외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근본적으로 인간의 어떤 행위의 목적은 무언가를 획득하는데 있다.기업에서의 개인의 활동은 기업에 돈을 벌어주는데에 있고,내가 가정을 꾸려나가는 것은 가정의 행복을 얻기위함이다.또 공부를 하는 학생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그 행위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그 행위의 효과성은 아웃풋창출, 재고, 운영리소스라는 세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아웃풋창출은 원문에서는 현금창출율(throughpu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행위의 목적이 돈 이외의 확장된다고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아웃풋창출이라는 용어로 변경했다.아웃풋창출이란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원이 시스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예를 들어 기업이라면 돈이, 가정이라면 행복이, 학생이라면 새로운 지식을 말한다.재고란 아웃풋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고 시스템 안에 쌓여있는 자원을 말한다.끝으로 운영리소스란 재고를 아웃풋으로 창출하기 위해 시스템 밖으로 나가는 자원을 말한다.

경영이란 아웃풋창출을 늘리고 재고와 운영리소스를 최소화하는데 있다.아웃풋창출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제약요인(특수한 상황에서는 병목자원)을 찾아이 제약요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이것이 이 책 ′더 골′의 주제인 제약요인(TOC;Theory of Constraints)이다단, 제약요인의 생산성 향상이 전체에 영향을 주기위한 가정은각 프로세스는 상호간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종속사건(dependent events)와 실제 세계의 수치는 평균수치의 편차내에서 변동될 수 있다는 통계적 변동(statistical fluctuation)이라는 두 가지 가정에 근거한다.즉 이 두가지가 가정되지 않는다면 이 이론은 쓸모가 없다.

이를 위해 저자 골드윈은 CRT(Current Reality Tree)라는 문제 도출 방식을 고안했는데,이것은 현재 발생하는 우디(UDE; UnDesired Effects)가 상호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으며이 이론에 따라 제약요인의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타당한지를 검토하는 방법이다.(이 책에는 없는 내용)이 책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직관적으로 찾아내는 문제의 해결책들을왜 그런 해결책이어야 하는지를 수치적으로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공장에서 차례로 공정을 돌리는데 어느 한 공정의 생산성이 무척 떨어져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그러면 공장장은 한정된 자원을 통해 어떤 해결책을 내리라 생각되는가?당연히 제일 저조한 생산공정에 투자해 생산성 재고를 꾀할 것이다. 이것은 직관적 해답이다.그런데 왜 다른 공정이 아닌 그 공정이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밝히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볼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