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비 - 장영수

 

우리는 고무신으로 찝차를
만들었다. 미군 찝차가
달려왔다. 네가
내리고.

미군들이 쑤왈거리다가 메이비,
하고 떠나고. 그리하여 너는
메이비가 되었다.
미제 껌을 씹는 메이비. 종아리 맞는
메이비.

흑판에 밀감을 냅다 던지는
메이비. 으깨진 조각을 주으려고
아이들은 밀려 닥치고.
그 뒤에, 허리에 손을 얹고 섰는
미군 같은 메이비.

남자보다 뚝심 센 여자애보다
뚝심 센 메이비. 여자애를 발길로
걷어 차는 메이비.

지금은 비가 내리고.
어느 틈엔지 미군들을 따라
떠나 버린 메이비.

바다 건너 가 소식도 모를
제 이름도 모르던 메이비. 어차피
어른이 되어서는 모두가 고아였다.
메이비. 다시는 너를
메이비라고 부르지 않을 메이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6-03-23 2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하루꼬짱, 메이비를 그리며

전후 초등학교 교실의 풍경은 과연 어떠했던가요. 아마도 이 시 「메이비」가 매우 상징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전쟁으로 말미암아 기존의 사회제도와 도덕윤리, 가치관이 붕괴되고 낯설고 새로운 모습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지요. 그중에 하나가 바로 일본적 감수성이 물러나고 대신 미국적인 상관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동안 반백 년 가까이 사람이름만 하더라도 에이꼬짱, 하루꼬짱, 마사오상 불리던 것들이 퇴조하면서 대신 쑈리김, 쟈니윤이니 꺼삐딴리니 하는 서양식, 특히 미국식 이름들이 낯선 모습으로 생활속에 끼어들어오기 시작했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50년대 전후 시대의 쪼무래기 아이들이 미군 찝차를 따라 다니며 ‘할로, 할로!’, ‘오케이’, ‘?c코렛’하며 손 내밀던 모습이 새삼 아프게 떠오릅니다. 바로 그때 ‘메이비’가 난데없이 등장한 것이지요. 해방 후 미군이 이땅에 주둔하면서 그들이 아무렇게나 뿌린 씨가 바로 메이비로 자라난 것입니다.
메이비라뇨? 아마도 그것은 영어의 ‘may be' 즉 ‘어쩌면 그럴지 모른다’, ‘잘 모른다’라는 불확실한 삶 또는 예측불가능한 인생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일 겁니다. 그만큼 전후 폐허와 상처 속에서 다시 시작된 국민학교 교실의 풍경은 시대상만큼이나 복잡하고 짐작하기 어려운 모습이라는 뜻이지요. 그렇게 벼 속에 피처럼 섞여 떠돌던 ‘메이비’들, 그 혼혈아들은 〈바다 건너 가 소식도 모를/제 이름도 모를 메이비〉들이 되어 어디론가 떠나가 이제는 민들레처럼 뿌리내리고 살고 있지 않을까 생각되는군요. 사실 생각해보면 그 많던 이땅의 전쟁 고아 친구들도 모두 메이비가 아니었을까요. 아니 우리 모두가 〈어른이 되어서는 모두가 고아가 되는〉것이기에, 그것이 또한 나의 또다른 모습이기에 이제 다시 메이비라고 누구를 멸시할 수는 없을 게 분명합니다. 새삼 이제는 그 어딘가에서 자식들 낳고 잘 살고 있을, 또는 불행해져 있기도 한 그 시절 메이비 친구들이 새삼 그리워지는 것도 그런 연유가 아닌가 합니다.

- 김재홍: 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
 

봄 꽃

                       - 함민복

 

꽃에게로 다가가면

부드러움에

찔려

 

삐거나 부은 마음

금세

 

환해지고

선해지니

 

봄엔

아무

꽃침이라도 맞고 볼 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샘 2006-03-24 2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도 꽃침 한참을 맞았습니다.
꽃망울 침도 화안합니다.

해콩 2006-03-26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뎌 본격적으로 꽃침을 맞을 수 있는 시점! 이 세상 마지막 봄을 맞은 것처럼 그렇게 환하게... ^^
 
 전출처 : 글샘 > 내 대신 매 맞는 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 문 정 희




학창 시절 공부도 잘하고 

특별 활동에도 뛰어나던 그녀 

여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입시에도 무난히 

합격했는데 지금은 어디로 갔는가 


감자국을 끓이고 있을까 

사골을 넣고 세 시간 동안 가스불 앞에서 

더운 김을 쏘이며 감자국을 끓여 

퇴근한 남편이 그 감자국을 15분 동안 맛있게 

먹어치우는 것을 행복하게 바라보고 있을까 

설거지를 끝내고 아이들 숙제를 봐주고 있을까 

아니면 아직도 입사 원서를 들고 

추운 거리를 헤매고 있을까 

당 후보를 뽑는 체육관에서 

한복을 입고 리본을 달아주고 있을까 

꽃다발 증정을 하고 있을까 

다행히 취직해 큰 사무실 한켠에 

의자를 두고 친절하게 전화를 받고 

가끔 찻잔을 나르겠지 

의사 부인 교수 부인 간호원도 됐을 거야 

문화 센터에서 노래를 배우고 있을지도 몰라 

그리고는 남편이 귀가하기 전 

허겁지겁 집으로 돌아갈지도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을까 

저 높은 빌딩의 숲, 국회의원도 장관도 의사도 

교수도 사업가도 회사원도 되지 못하고 

개밥의 도토리처럼 이리저리 밀쳐져서 

아직도 생것으로 굴러다닐까 

크고 넓은 세상에 끼지 못하고 

부엌과 안방에 갇혀 있을까 

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정환경조사서

박용주

 

 새 학기가 시작되어

가정환경 조사서의 편모슬하 결손가정 난에

동그라미 쳐지는 걸 보면서

언제나 슬픈 생각을 갖습니다

 

사회생활엔 다스림이 필요하고

잘 다스리기 위해선

개개인을 나누어

알기쉽게 표시한다지요

 

자가 전세 셋방으로 나누고

피아노 승용차로 나누고

아버지의 직업으로 나누어서

우리들의 이마에

화려한 배경과 좋은 환경과

문제가정의 스티커를 척척 붙여 주지만

 

우리가 만든 조건이 아닌데도

우리의 등급처럼 매겨져야 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배우러 학교에 오나요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나는 까닭에

가정환경 조사서를 금과옥조로 여긴다며는

우리는 심은대로 싹날뿐인

콩 팥이 아닌 것을

 

콩으로 심어질지

팥으로 심어질지 모르기에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가꾸기에 달렸다 믿고

날마다 찾아가는 배움터인데

가정환경 조사서를 가슴에 붙이고

교실에 앉는다면

우리는 무엇때문에 학교에 가나요

 

-바람찬 날에 꽃이여 꽃이여, 장백, 1990.2.

 

박용주

1973년 광주생

1988년 전남대 5월문학상 수상

1989년 풍양중학교 3학년 당시 시집 발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3-08 00:0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