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가 떠나던 길에 道德經을 써주게 된 전설

 

1

노자가 나이 七旬이 되어 노쇠하였을 때

물러가 뒤고 싶은 생각이 이 스승을 사로잡았다.

왜냐하며 이 나라에는 善이 다시 약화되고

惡이 다시 득세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신발 끈을 매었다.

 

2

그리고 필요한 것을 챙겨 짐을 꾸렸다.

아주 작았지만, 그래도 이것저것 몇 개 되었다.

이를테면 그가 저녁이면 언제나 피우던 담뱃대,

그가 언제나 읽던 작은 책.

눈대중으로 어림잡아 흰빵 조금.

 

3

산맥 속으로 길이 접어들자 그는

다시 한 번 산골짜기의 경관이 즐거워 모든 것을 잊었다.

이 노인을 태우고 가는 황소도

신선한 풀을 씹으며 좋아했다.

아무리 천천히 걸어도 괜찮았기 때문이었다.

 

4

그런데 네째 날 한 巖門에 이르자

稅吏 한 사람이 그의 길을 막았다.

"세금을 부과할 귀중품이 없습닌까?" - "없소."

황소를 몰고 가는 童子가 말했다. "이 분은 많은 사람들을 가르치신 스승이셔요."

이렇게 하여 통관절차는 끝났다.

 

5

그러나 그 사나이은 기분이 아주 좋아져서

또 물었다. "이 분에게 무엇을 좀 얻어들은 것이 있느냐?"

동자가 말했다. " 흐르는 부드러운 물이

시간이 가면 단단한 돌을 이기는 법이니라.

强한 것이 柔한 것에게 진다는 뜻을 당신은 아시겠지요."

 

6

저물어 가는 햇빛을 허송하지 않으려고

동자는 이제 황소를 몰았다.

그리하여 셋이서 한 그루 검은 소나무 옆을 동아 사라지려 할 때

갑자기 그 사나이가 흥분하여

소리쳤다. "여보시오, 어이! 잠깐만 서시오!

 

7

그 물이 어떻게 됐다는 겁니까, 노인장?"

노인은 멈추어 섰다. "그것이 당신에게 흥미가 있소?"

사나이는 말했다. "나는 한갓 세리에 지나지 않지만

누가 누구에게 이긴다는 것인지, 그것이 나의 흥미를 끕니다.

당신이 그것을 아신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8

나에게 그것을 써 주십시오! 이 동자더러 받아 쓰도록 해 주십시오!

그런 것은 혼자서 가지고 가버리면 안됩니다.

저기 우리 집에 종이와 먹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녁 식사도 있습니다. 나는 저기 삽니다.

자, 이만하면 약속이 되겠습니까?"

 

9

어깨 너머로 노인은 그 사나이를

내려다 보았다. 기워 입은 웃옷에 맨발.

이마에는 주름살이 딱 한 개.

아, 노인에게 다가선 그는 어느 모로 보나 勝者는 아니었다.

노인은 중얼거렸다. "당신도 흥미가 있다고?"

 

10

이 겸손한 청을 거절하기에 노인은

너무 늙은 것으로 보였다.

왜냐하면 그는 큰 소리로 이렇게 말했기 때문이다. "무엇인가 묻는 사람은

대답을 얻기 마련이지." 동자도 말했다. "벌써 날씨도 차가와지는데요."

"좋다, 잠깐 머물렀다 가자."

 

11

그 賢人은 타고 있던 황소의 등에서 내려

이레 동안 둘이서 기록했다.

그 세리는 식사를 갖다 주었고 (이 기간 동안은 내내 밀수꾼들에게도 아주 목소리를 낮추어 욕을 했다.)

그리하여 일은 끝났다.

 

12

어느 날 아침 세리에게 동자는

여든 한 章의 기록을 건네주었다.

약간의 路資에 감사하면서

그들은 그 소나무를 돌아 암문으로 들어갔다.

말해 보라! 사람이 이보다 더 겸손할 수 있는가?

 

13

그러나 그 이름이 책에서 유달리 눈에 띄는

이 현인만 찬양하지는 말자!

왜냐하면 현인으로부터는 그의 지혜를 빼앗아 내야하는 법이다.

그러므로 그 세리에게도 감사해야 한다.

그가 바로 노자에게 지혜를 달라고 간청했었던 것이다.

 

1937/38년

 

베르톨트 브레이트 시선 [살아남은 자의 슬픔], 김광규 옮김, 한마당, 1990, 92~97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콩 2005-06-05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전설같은 시가 좋다. 재미있고.. 수업시간에 활용해도 좋을 듯 한데 방법을 한 번 고민해봐야지... 갑자기 전공공부가 하고 싶다..
 

앞으로 일어날 전쟁은

 

앞으로 일어날 전쟁은

첫번째 전쟁이 아니다. 그 이전에도

이미 여러 차례 전쟁이 일어났었다.

지난 번 전쟁이 끝났을 때

승전국과 패전국이 있었다.

패전국에서 하층 서민들은

굶주렸다. 승전국에서도 역시

하층 서민들은 굶주렸다.

 

베르톨트 브레이트 시선 [살아남은 자의 슬픔], 김광규 옮김, 한마당, 1990, 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들이 아무것도 배우려 하지 않는다고 나는 들었다

 

당신들이 아무것도 배우려 하지 않는다고 나는 들었다.

추측컨대, 당신들은 백만장자인 모양이다.

당신들의 미래는 보장되어 있다. - 미래가

당신들 앞에 환히 보인다. 당신들의 부모는

당신들의 발이 돌멩이에 부딪히지 않도록

미리 준비해 놓았다. 그러니 당신은

아무 것도 배우지 않아도 된다. 당신은 지금 그대로

계속해서 살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시대가 불안하여, 내가 들은 대로,

어려운 일이 생긴다 하더라도,

당신에게는 만사가 잘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 지를

정확하게 말해 줄 당신의 안내자들이 있다.

어떤 시대나 타당한 진리와

언제나 도움이 되는 처방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그들은 모든 요령을 수집해 놓았을 것이다.

 

당신을 위하여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있는 한

당신은 손가락 하나 움직일 필요가 없다.

그러나 만일에 사정이 달라진다면

물론 당신도 배워야만 할 것이다.

 

 1932

 

베르톨트 브레이트 시선 [살아남은 자의 슬픔], 김광규 옮김, 한마당, 1990, 72~73 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

                                                - 베르톨트 브레히트

 

나도 안다, 행복한 자만이

사랑받고 있음을. 그의 음성은

듣기 좋고, 그의 얼굴은 잘 생겼다.

 

마당의 구부러진 나무가

토질 나쁜 땅을 가리키고 있다. 그러나

지나가는 사람들은 으례 나무를 못생겼다 욕한다.

 

해협*의 산뜻한 보우트와 즐거운 돛단배들이

내게는 보이지 않는다. 내게는 무엇보다도

어부들의 찢어진 어망이 눈에 띌 뿐이다.

왜 나는 자꾸

40대 소작인 처가 허리를 꼬부리고 걸어가는 것만 이야기하는가?

처녀들의 젖가슴은

예나 이제나 따스한데.

 

나의 시에 운을 맞춘다면 그것은

내게 거의 오만처럼 생각된다.

꽃피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동과

엉터리 화가**에 대한 경악이

나의 가슴 속에서 다투고 있다.

그러나 바로 두번째 것이

나로 하여금 시를 쓰게 한다.

 

* 스웨덴과 덴마크 사이의 해협.

** 히틀러를 지칭.

베르톨트 브레이트 시선 [살아남은 자의 슬픔], 김광규 옮김, 한마당, 1990, 107~10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빈집 - 기형도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