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비 이야기
송진헌 글 그림 / 창비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나 삐비 같은 친구 하나쯤 있지 않을까?

잘 대해주지 않아 미안한 그런 친구 말이다.

잘못 한 거 없이 친구들에게 무시 받는 아이.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까마귀 소년>>이 자꾸 생각이 났다.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지만 모두가 싫어하는 아이.

아이들이 삐비를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책에 구체적으로 나오지는 않아 모르겠다.

보통의 아이들과 다른 점이 있다는 정도?

나뭇가지로 자기 머리를 자꾸자꾸 때리고, 그 가지가 부러지면 또 다른 가지로 자꾸자꾸 때린다는 걸로 봐서.

평범한 보통의 아이는 아닌 거 같다.

혼자서 숲속을 돌아다니는 아이.

아이들은 삐비를 피해 다녔지만, 어느 날 나는 삐비와 친구가 되었다.

함께 있으면 마음 편한 그런 친구.

아이들이 나도 피해 다녔지만 삐비가 곁에 있어 외롭지 않았다.

그러다 학교를 가고.

그리고 모든 것이 달라졌다.

친구들과 함께하기 위해 나는 삐비를 멀리하게 되었고, 모른 척 하게 되었다.

다시 혼자가 된 삐비.

그 삐비가 마음 속에 미안함으로 자리하고 있다.

나에게도 삐비같은 미안함을 가지게 하는 친구가 있다.

아니, 말도 한 마디 해 보지 않았으니 친구가 아닌 지도 모르겠다.

(그 친구가 싫어서 말을 안 한 것은 아니고, 나는 너무 내성적이어서 어릴 때는 학교에서 말 한 마디 안 하는 아이였다.)

부족한 것이 많아서 썩 좋아라 하지 않았던 2학년 땐가? 내 짝이 얼굴만 또렷이 남아 미안함으로 남아 있다.

그 꼬맹이는 왜 이유도 없이 짝에 대한 불편한 마음을 가졌는지?

다른 친구들은 괴롭혀도 나는 괴롭히지 않았던 그 짝에게 자꾸자꾸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이 책은 조금 마음이 찌릿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적 말숙 큰곰자리 54
김유 지음, 최미란 그림 / 책읽는곰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겁보 만보>> 후속작이다.

전작이 사랑을 받은 작품은 후속작을 내는 작가의 마음에도 부담이 있을 거 같다.

시작 단계에서부터 뒷 이야기가 어느 정도 구상이 되었다면 이야기는 어렵지 않게 풀어질 수도 있겠다.

<<겁보 만보>>의 마지막 장면이 열린 결말이어서 좋았다.

독자들이 말숙이 이야기를 마음껏 상상해 볼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그런 재미를 작가님이 앗아가 버렸다.

하지만, 그 이야기가 전작 못지 않게 너무나도 재미나서 나는 작가님께 감사하기로 했다.

사실, 조금 재미없으면 어쩌나? 그래서 전작의 재미까지 앗아가 버리면 어쩌나? 하고 걱정을 했다.

다른 이들은 어떻게 읽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이 책을 참 재미있게 읽었다.

만보가 용기내 마을에 가서 겁보 딱지를 뗀 것처럼

남에 대한 배려가 약한 말숙이가 한 고개, 두 고개, 세 고개를 넘으면서 나누리 마을을 다녀 온 후, 

자기만 생각하던 아이에서 다른 이를 생각하는 아이로 변했다.

이름 때문이기도 하고 얼굴이 하얗기도 해서 백곰이라는 별명을 가진 백고미는

또 어느 마을에 가게 될지 3편을 기다려 보아야겠다.

연수에서 어느 선생님께서 <<겁보 만보>> 읽어주는 동안 이야기 들으며

표지에다 이런 저런 낙서, 아니아니, 줄거리 메모를 하게 하면 좋다고 해서

포토샵으로 바탕 색깔 다 빼서(잉크가 많이 드니까) 학습지를 만들었던 적이 있다.

이 책도 표지 디자인이 같은 형태라 그런 방법도 시도해 보면 좋겠다.

뭐, 1편이 재미있었으니 굳이 읽어주지 않아도 스스로 알아서들 찾아 읽을 거 같긴 하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순구의 웃는 얼굴
이순구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림 작품에 어울리는 시들을 찾아 모아 만든 시집인 거 같다.

이순구의 웃는 얼굴은 미술 시간에 활용하여 수업을 하기도 하는데,

환경 게시판이 화사해져 덩달아 기분이 좋아진다.

눈은 모두 웃는 반달.

입은 함박 웃음 지으며 크게 벌어졌ㄱ, 하얀 이가 보이고 목젖이 보일 듯 혀가 보인다.

주변은 알록달록 꽃으로 둘러싸여 있을 때가 많다.

때로 새가 있기도 하고, 하늘이... 혹은 구름이 있기도 하다.

이 웃는 얼굴과 잘 어울리는 시들은

웃음이고 노래고, 꽃이고, 새다.

그림을 봐서 기분 좋고,

즐거운 노래를 만나 또 기분이 좋다.

웃고 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훈데르트바서의 집
제랄딘 엘슈너 지음, 루시 반드벨드 그림, 서희준 옮김 / 계수나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알록달록 무척 화려하다.

훈데르트바서!

이 익숙한 이름을 어디서 들었을까?

그리고 검색해 보았더니

"나 혼자 꿈을 꾸면 한낱 꿈일 뿐이지만 우리가 함께 꿈을 꾼다면 새로운 현실의 출발이 됩니다."라는 말을 한 분이었다.

도서관카페 어느 선생님이 즐겨 쓰던 말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너무 좋은 말이라서 외워 두었는데 그동안 잊고 있었다. .

이 책은 자연친화적인 훈데르트바서 하우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에 사진도 보여주는데, 나무 속에 들어앉아 있는 집의 모습이 싱그러움을 준다.

훈데르트바서 하우스를 검색하면 다양한 사진으로 그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레 하는 할아버지 - 제34회 샘터상 동화 부문 수상작 마음이 따스해지는 생활 동화
신원미 지음, 박연경 그림 / 머스트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세 개의 딱지가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2014 개정 초등 국어 3-1 교과서 수록작품

-서울시 교육청 겨울방학 추천도서

-제34회 샘터상 동화 부문 수상작

 

2015개정이라는 말은 쓰지만 2014개정이라는 말은 처음 보는 듯.

곧 2022개정이 나온다고 하던데.

여기서 2015라는 것은 교과서가 나오고 있는 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개정을 의미하는 거라 2015개정국어과 교육과정 교과서에 실렸다는 말인 거 같은데, 진짜는 뭐가 맞는지 모르겠다.

최근에 본 드라마 '나빌레라'가 생각나서 비슷한 내용인가 하고 읽어 보았다.

발레를 배우는 손자 손을 잡고 따라간 발레 교실에서

다른 엄마들은 아이가 발레를 복습할 수 있도록 동영상을 찍는데 할아버지는 몸으로 배워 익혀 손자를 가르쳐 주려 한다.

할아버지의 손자 사랑이 진한 감동으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