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냥을 재밌게 읽었다.
아이들에게 소개하니 인기만점!
책을 샀다는 아이들이 하나둘 늘었다.
1편 재미있게 읽고 2편 읽었는데, 더 재미있었다.
그래서 3편은 제법 기다렸다.
이번에 책 나왔다는 소식에 어찌나 반갑던지.
세트 구매를 하고, 깜냥도 한 마리 키우게 되었다. 알라딘 굿즈는 굿!!!
깜냥 3편의 재미는 기대의 크기가 큰 탓인지 극적이지는 않았지만 깜냥은 여전히 사랑스러웠다.
만약 고양이를 키우게 된다면 이름을 깜냥이라 할까보다. 하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퍼 능력 토끼 슈퍼 능력 시리즈
한영미 지음, 최현묵 그림 / 꿈터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슈퍼 능력 새우'에 이어 '슈퍼 능력 토끼'가 탄생했다.

전작은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라는 속담에서

이번 작품은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도 놀란다.'는 속담에서 가지고 왔다.

자라에게 속아 용궁을 다녀 온 토끼. 꾀를 발휘하여 목숨은 구했는데, 언제 다시 자라가 나타날지 몰라 노심초사다.

솥뚜껑만 봐도 자라인가 싶어 깜짝깜짝 놀란다.

그에게 어떤 마음이 필요할까?

자기를 찾아나선 자라에게 다시 잡혀 간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말라붙은 똥도 자란가 싶어 무섭고,

솥뚜껑도 자란가 싶으니 어쩌면 좋은가!

이런 토끼를 보고 다른 토끼들은 더 이상 대장 토끼가 아니라며 수군거리기 시작했다.

그렇다. 용궁에 다녀 온 그 토끼는 대장 토끼였던 거다.

더 이상 집 안에만 틀어 박혀서 다른 토끼들의 놀림감이 될 수 없기에

대장 토끼는 용기를 내어 보았다.

정면돌파만이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거 같았다.

정면돌파를 하려면 자라가 있는 곳을 찾아가 보는 것이 좋겠다.

그렇게 바다로 향한다.

그곳에서 많은 자라를 만났고, 자신을 찾아 헤매는 자라에게 다른 토끼들도 변을 당하지 않도록

자라의 모습을 그려서 알리려고 마음 먹는다.

용기 내어 보니 솥뚜껑이 무섭지 않은 게 아니라 자라도 무섭지 않다.

대장 토끼는 능력치를 잔뜩 올려서 슈퍼 능력 토끼가 되었다.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두려움을 키울 것이 아니라 정면승부에 도전해 볼 것.

슈퍼 능력 토끼에게 한 수 배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 방망이 옛이야기 그림책 까치호랑이 2
정차준 글, 한병호 그림 / 보림 / 199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면책이다. 도깨비와 개암 이야기. 1은 착한 농부 이야기고 2는 심술쟁이 이야기다. 두 이야기는 가운데서 만난다. 양면책의 가운데 페이지는 주로 동그라미를 그리면서 장면의 회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혹부리 영감도, 젊어지는 샘물도 이런 식으로 양면책을 만들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 시장 내책꽂이
나윤하 지음, 이준선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이익이 아닌 모두의 이익을 원하니 소원이 이루어지는 거 같다. 오래된 물건들에 깃드는 도깨비, 그 도깨비가 어떤 소원을 들어줄지 모를 일.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 잡는 학교 징검다리 동화 11
김리리 지음, 김이조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만들고 싶은 이야기는 이미 다 나와 있는 거 같다.

깜박깜박 도깨비 이용해서 이야기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생각을 했는데

여기 그 책이 딱 있는 거다.

작가는 <<만복이네 떡집>> 이야기를 가지고 작가 강연회를 갔는데 시골 학교 아이들이

뭐든 다 가진 만복이를 부러워하는 걸 보고 미안했다고 한다. 

그 아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줄 동화를 지어야겠다고 생각하고 만든 동화가 이 동화라고 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책이니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면 좋겠다.

부모를 잃은 어린 도깨비 깜복이(이름도 잘 지으셨지!)를 돌봐주었던 분들이 이제는 할아버지, 할머니가 되었다.

뭐든 깜박깜박하는 깜복이가 걱정인 할아버지, 할머니는 혼자 남겨진 깜복이가 외롭지 않았으면 해서 학교에 보내기로 한다.

학교라는 곳이 깜복이에게는 즐거운 장소가 아니다. 규율과 통제 속에서 꼼짝마!는 영 재미가 없었던 것.

깜복이는 자기를 대신할 허깨비를 만들어 학교에 보내고,

그 사실을 눈치 챈 짝꿍 단오를 위해 단오의 허깨비를 만들고

또 그 사실을 눈치 챈 춘길이를 대신할 춘길이 허깨비를 만든다.

그리고 그 아이들은 허깨비 덕에 학교에 가지 않고 신 나게 논다.

선생님은 말 잘 듣는 허깨비 아이들을 가르치지만 가르치는 재미가 없다.

(이 말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있다. 가끔은 엉뚱한 아이들이 수업을 생기있게 도와준다.)

마지막에 선생님도 허깨비를 만들어 달라고 아주 오래 된 곰 인형을 들고 오신다는 결말.

할아버지, 할머니는 깜복이에게 친구가 생겨서 안심을 한다.

참 잘 만들어진 이야기구나! 감탄을 한다.

도깨비가 가진 특성을 이야기 속에 참 잘 녹여 두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