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르륵 뱃속여행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14
닉 아놀드 지음, 김은지 옮김 / 주니어김영사 / 199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앗 시리즈는 펼쳐들면 그 재미를 알지만, 보기에는 구조가 복잡해 보이고 글이 많아 보여서 책을 펼쳐들기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것 같다. 하지만 인내하고 읽으면 얻는 정보들이 많다. 그래서 공부 잘 하는 초딩 남학생들이 앗 시리즈에 열광한다는 말이 나왔나?

이 이야기는 우리 몸의 소화 기관과 소화작용에 대해 다루면서 음식물로 인한 여러 질병들도 함께 다룬다.  

중간중간 나오는 괴이한 이야기들이 우리 역사 속에 있었다는 사실도 무척 놀랍다. 시체를 훔친 의사 베살리우스 이야기(법으로 금지된 시체를 해부해 보려면 어쩔 수 없었다는...) 안티몬이라는 독약을 환자들에게 먹이는 걸로 치료룰 했던 의사 네드 워드 이야기, 장티푸스 메리라는 용어를 사전에 올린 메리 말론 이야기! 그녀는 장티푸스 보균자이면서 요리사로 일함으로써 많은 이들에게 장티푸스를 전염시킨 장본인. 그녀 때문에 죽은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는 안타까웠다. 비타민의 효능과 결핍으로 인한 질병들(괴혈병에 관계된 이야기)에 관한 이야기도 무척 흥미로웠다. 곁들인 이야기들 중 신기했던 이야기는 코끼리의 이빨이 4개고, 평생 6번 새로 난다는 사실, 악어는 필요할 때마다 이빨이 새로 난다는 사실, 또 상어는 이빨이 빠지면 더 많은 이빨이 그 자리에 난다는 사실도 재미있었다. 이빨(이)은 소화의 시작이라는 사실은 다 알고 있으리라.  

잘 먹고 잘 소화하는 시키는 것은 건강생활을 위해서는 필수다. 이것이 잘 이루어져야 우리 몸의 고장을 막을 수 있으니 말이다.  

결론, 고른 영양 섭취로 우리 몸을 지켜 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 장수풍뎅이가 되다니! - 곤충학자가 쓴 생태 다큐 동화 오솔길 시리즈 3
김정환.조윤경 지음, 유진희 그림 / 사파리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계곡에 놀러 가자는 아이를 꼬셔서 등산을 나선 아빠. 가는 길에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를 잡아서 키우자고 꼬신다. 아이는 그 말에 혹해서 나서 보지만, 날은 덥고 목은 말라 짜증은 나는데 나타나라는 장수풍뎅이는 콧배기도 안 보인다.  

집에 와서 재배상자 셋트를 사자는 쪽으로 결론을 내니 아이는 장수풍뎅이의 습성에 대해 검색에 들어간다. 애벌레끼리 같이 놔두면 잡아 먹는다는 둥, 수컷 두 마리를 같이 두면 싸운다는 둥, 1령, 2령, 3령 애벌레까지 있다는 둥, 먹이는 어떤 걸 주어야 하는지 등을 검색한다. 어떤 정보에는 나무도막에 바나나를 묻혀 두면 좋다 하고 어떤 것은 안 좋다고 하니 어떤 게 맞는 말이냐며 쫑알쫑알! 

장수풍뎅이를 잡으려면 밤에 산에 올라야 한다는 정보를 보고는 아빠는 손전등을 들고 산에 가 볼까 하고.  (사실, 이런 행동들은 정말이지 장수풍뎅이에게는 미안한 일이다.)

곤충학자인 아버지의 곤충 사진 촬영을 따라 나선 민수, 더군다나 그 민수가 장수풍뎅이가 되어 버린 일은 어린 친구들에게 곤충들에 대한 다른 마음을 생각하게 해 준다.  

이 책을 통해 장수풍뎅이의 습성도 알게 되고, 다양한 종류의 딱정벌레들을 알 수 있게 된다. 딱정벌레의 그림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어 그림을 보는 재미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곤충카드까지 덤으로 붙여져 있다.  

1학기 활동으로 자유탐구 주제를 선택하고 나름 연구 하면서 결과를 발표하는 내용이 있었다. (과학) 4학년 아이들에게 근사한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지만, 아이들 중에는 초란의 삼투압 실험을 하는 아이들도 있었고, 개미집을 관찰하는 아이들도 있었다. 꼬마 과학자로서 겪어 보는 시행착오! 그 시행착오가 소중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 중 한 아이가 콩벌레를 기르겠다고 하면서 아침협의회 시간에 "여러분, 콩벌레가 많은 곳을 아신다면 제게 알려 주십시오." 한다. 아이들의 콩벌레 사냥, 새롭게 구성되는 콩벌레 탐구팀들. 그저 바라만 보는 것이 탐구가 아니니 어떤 환경에서 사는지, 무엇을 먹는지, 번식은 어떻게 하는지 그 습성에 대해서도 알아보라며 책도 하나 권해 봤지만, 아이는 그저 콩벌레가 귀엽다(?)며 쳐다 보느라 바쁘다.  

콩벌레는 다른 곤충으로 변하는 애벌레의 일종일까? 그게 궁금하던 차, 이 책 137쪽에서 만난 정보는 새롭다.  

딱정벌레들의 공연 마지막 선수로 남은 먹가뢰가 사람들이 뿌려 둔 살충제 때문에 죽고 만다는 내용인데 호랑하늘소 의사가 이렇게 말하는 대목이 있다. "정말 괜찮은 친구였는데.... 사람들에게 콩벌레라고 불리더니 결국 살충제 때문에 죽고 말았군. 사람들에게 큰 해를 끼치지도 않는 곤충이건만."  

공벌레, 콩벌레, 쥐며느리, 그리고 먹가뢰. 이들의 상관관계를 찾아 보고 싶어 검색창에 쳐 보아도 어떤 답을 얻을 수 없었다. 내가 아는 콩벌레(흔히 공벌레라고 한다.)와 작가가 말하는 콩벌레가 다른 것인가 보다는 결론만 얻었다.  

잘 생긴 먹가뢰의 사진을 보시려면  이곳으로 고고씽 ---> http://blog.daum.net/squirrel56/8721458?srchid=BR1http%3A%2F%2Fblog.daum.net%2Fsquirrel56%2F8721458 

아이들이 읽기에 참 재미있을 환경동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양물감 2010-07-21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곤충 좋아하는 우리 한솔이에게 보여주고싶네요. 동화라서 아직 더 있어야 읽을 수 있겟지만요. 얼마전에는 길에서 콩벌레를 보고, 제가 발로 툭 차서 동그랗게 몸을 마는 모습을 보여줬더니 한솔이도 하고 싶다고 콩벌레가 몸을 풀기를 기다리는데 안푸는거예요...흐흐흐...기다리다 포기했지요.

희망찬샘 2010-07-21 15:07   좋아요 0 | URL
한솔이가 읽기엔 아직 일러요. 제법 길이가 있어서 저학년에게도 비추! 희망이도 책만 쳐다보며 날 보내다가 이제서야 읽었어요. 중학년 이상 보면 좋을 것 같아요.
 
우등생 해법수학 2-2 - 2010 우등생 해법 시리즈 2012년-2 32
최용준.해법수학연구회 엮음 / 천재교육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해야 할 것은 많지만 2학기 예습도 놓칠 수 없기에 선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등생 해법국어 4-2 - 2010
천재교육 편집부 엮음 / 천재교육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2학기 교과서를 미리 봐야 하는데, 교과서도 아직 안 나오고... 예습 차원에서 선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같은하늘 2010-07-20 0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기저기 해법을 많이 보시네요. 저는 계속 동아를 보았었는데...
해법이 좋은지 한번 살펴봐야겠어요.^^

희망찬샘 2010-07-20 06:26   좋아요 0 | URL
다른 책을 보지 못해 비교는 못 하지만, 괜찮다 생각하며 봅니다.
 
대단한 무지개 안경 미래의 고전 18
박윤규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아주 가끔씩 아이들에게 이런 일기 주제를 낸다.  

"도깨비 방망이가 있다면 어떤 소원을 빌어 볼래?" 

"지니가 나타나서 소원 3가지를 들어 준다면 어떤 소원을 빌어 볼래?" 

아이들의 삶의 무게는 어른들과 끈이 닿아 있는데, 그 짐이 무거운 아이들일수록 답변은 심각하다.  

내게 그런 기회가 있다면 나는 과연 어떤 소원을 빌어볼까? 

도깨비 방망이는 아니지만, 도인을 찾아나선 삼촌 따라 떠난 길에서 대단한 호빵맨은 기똥찬 무지개 안경을 발견한다. 사람 몸 속을 볼 수 있는 투시경, 먼 거리도 다 볼 수 있는 천리경, 사람의 마음을 알아볼 수 있는 진심경, 인연이 맞나 안 맞나를 살펴 볼 수 있는 인연경... (빨투, 노인, 초지, 파진, 보천-빨간색은 투시경, 노란색은 인연경, 초록색은 지혜경, 파란색은 진심경, 보라색은 천리경)

사모하는 담임 선생님은 돈 많은 치과 의사 선생님이랑 곧 결혼할 건데, 별로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대단한이 무지개 안경으로 살펴 본 결과 몸 속의 병이 깊고 그것은 인연이 아닌 짝을 만났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백분률 미강이(모든 것을 백분률로 따진다.)와 사슴벌레 은비(잘 꼬집는다.)를 따라 우연을 가장하고 선생님 병문안을 따라 나선 대단한. 거기에 창규가 합세하여 조직(?)이 하나 결성되는데.  

고전을 면치 못 하고 있는 부모님의 치킨집도 대단한의 무지개 안경 덕에 새 메뉴를 개발하게 되고, 선생님의 행복을 원하며 시작 된 아이들의 탐정놀이(치과 의사는 과연 좋은 사람일까?)도 무지개 안경 덕을 보게 된다. 결국 치과 의사는 좋은 사람이긴 하지만, 선생님의 인연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오고, 선생님 또한 이를 곰곰히 생각하게 된다. 선생님과 당랑삼촌(대단한의 삼촌)의 우연한 만남은 조금 신파같은 느낌이 들긴 했으나 글을 읽는 재미를 감칠 맛 나게 해 주었고, 아이들의 티격태격 또한 나름 흥미로웠다.   

"쳇, 이거 나한텐 별 쓸모가 없어요. 투시경도 인연경도 내 것은 볼 수가 없잖아요." 괴짜 할아버지는 침대를 더 심하게 꿀렁거리면서 대답했다. "자신을 아는 것이 가장 큰 공부인데 그걸 함부로 가르쳐 주면 되겠냐." 나는 내친김에 궁금증 하나를 더 털어놓았다. "미래를 보는 미래경은 없어요? 그거 있으면 진짜 좋을텐데." 괴짜 할아버지는 다시 침대를 꿀렁거리면서 대답했다. "그거 알아서 좋을 거 하나 없당." "왜 안 좋아요. 미래를 알면 허탕은 안 치잖아요." "아는 순간 미래는 변해. 미래는 확정된 게 아니거든. 사람의 의지로 변화시킬 수도 창조할 수도 있지. 무궁한 변화와 발전이야말로 인간의 최고 가치인데, 그게 확정되면 되겠냐."  

대단한 무지개 안경이 생긴다면 내 인생은 어떻게 달라질까? 이룰 수 없는 꿈을 꾸어보게 하는 멋진 시간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같은하늘 2010-07-20 0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른책들의 신간을 보셨군요. 이 책 재미날것 같던데...ㅎㅎ

희망찬샘 2010-07-20 06:26   좋아요 0 | URL
네. 재미있더라구요. 읽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