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감동깊게 읽은 이들이 많다.

그림책이지만 글자가 무척 많은 이 책을

아이들이 읽기에는 조금의 인내가 필요하기도 하다.

하지만 일단 읽고 나면 그 묵직한 울림에 오래도록 여운을 간직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 이와 관련한 이야기 몇 편을 만났다.

 

 

하나는 아래 기사다.

 

https://news.v.daum.net/v/20210327155355927

 

또, 환경 관련 책을 읽는 중 만난 이들의 이야기도 뭉클했다.

중국의 지아 웬치와 지아 하이샤가 서로 도와 나무를 심는 이야기를 만났다.

웬치는 세 살 때 두 팔을 잃었고, 하이샤는 두 눈을 잃었는데 둘이 힘을 합쳐 나무를 심어 허허벌판을 울창한 작은 푸른 숲으로 가꾸었다고 한다. (길아저씨 손아저씨 이야기 같기도 하다.)

또, 케냐 최초의 여성 박사인 왕가리 마타이는 1977년 그린벨트 운동을 통해 케냐의 나이로비에 일곱 그루의 나무 심기를 시작으로 1986년 아프리카 전역으로 이 운동을 확산시킨 후 2004년에 이르러 30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는 아프리카 여성 최초의 노벨평화상 수상자이기도 하다고 했다.

지구를 아끼고 지키려는 사람들의 작은 실천이 오늘도 우리를 일깨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집엔 할머니 한마리가 산다
송정양 글, 전미화 그림 / 상상의집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이 제목을 보고 깜짝 놀랐다.

아무리 노인 경시가 하늘을 찌른다고 하지만,

어린이 책에 붙은 제목이 이래도 되는가 하고 말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니 여기서 할머니는 사람이 아니라 '개'였다.

그러니까 '한 분'이 아니라 '한 마리'였던 거고.

프랑스였던가?(나라이름은 정확하지 않다!)

얼마 전 읽은 기사에 코로나로 인해 반려동물의 인기가 치솟고, 실제로 많은 가구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맞아들였는데,

일상을 다시 회복하면서 그 동물들이 다시 버려지고 있다고 했다.

아이들은 동물을 좋아하고, 소유하고 싶어한다. 

키우게만 해 주면 목욕도 다 시키고 똥도 오줌도 다 치우겠다고 조르던 아이들도

이내 그 일을 엄마에게 미루는 경우가 많다.

조카는 사춘기 시절 개를 키우게 해 달라고 단식 투쟁을 벌였고,

언니는 그걸 이기지 못해 푸들 한 마리를 가족으로 받아 들였다.

아들 둘 엄마는 그렇게 '까미'의 엄마가 되었고, 우리 딸래미로 키우고 있다.

동물을 키운다는 것은 엄청난 책임감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나' 보다 나이가 두 배나 많아서

똥도 아무 데나 싸고 더 이상 귀엽지도 않은 할머니 개 보다는

친구네에서 이제 갓 태어난 흰둥이 강아지가 가족이 되었으면 싶은 마음에

할머니 한 마리는 '나'의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아기였던 나의 위험을 엄마에게 알려 구해 주었던 할머니는

마지막까지 나를 지켜주었다.

내 목숨을 두 번이나 구해주고 무지개 다리를 건넌 할머니. 

아이들에게 이별은 먼 이야기다.

특히 죽음은 만나더라도 쉽게 실감하기가 어렵다.

나도 어릴 때 외할머니가 돌아가셨지만, 오래 앓으셔서 그런지 슬픔이 뭔지 잘 몰랐다.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은 동물을 가족으로 맞아 들이는 것에 대한 책임감에 생각해 볼 수 있을 거 같다.

그렇게 관계맺음으로써 가족이 되고, 가족으로서 맞이하는 이별이 갖는 슬픔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거 같다.

오랜 시간 함께한 할머니를 보내게 된 아빠의 슬픔을 위로하는 '나'는 이별을 통해 조금 자랐다고 보아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우비빔밥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89
이갑규 그림, 김주현 글 / 마루벌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돌멩이 수프>>도 생각나고

<<구리와 구라의 빵 만들기>>도 생각나고,

<<손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도 생각난다.

읽으면서 음식 만들기 하면 좋을 책 한 권 추가요!

도서관 방학 행사 때 책읽기와 함께 요리 활동도 해 보면 그 재미가 좋은데

요리를 주제로 목록을 엮어 보는 것도 재미있다.

지금은 주 5일 수업이지만

처음 발령 난 학교에서는 토요일에도 학교를 갔는데,

이후, 2, 4주가 토요휴엽일이라 격주로 등교를 했었다. 

그런 날은 학교 급식이 없으니 아이들과 함께 비빔밥 같은 거 만들어 먹기도 했었는데...

이 책 읽다가 그 시절로 혼자서 타임머신 타고 다녀오게 된다.

이야기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대며 싸우던 동물들이

비빔밥으로 대동단결하였더라는 이야기.

밤 사이 꽁꽁 숨겨둔 음식을 여우가 가져갔다는 사실을 알고

돼지, 야옹이, 개, 닭, 토끼는 물어물어 여우가 사는 곳을 찾아 나선다.

모두는 엄청 화가 난 상태다.

여우가 사는 곳을

물고기는 잎이 바늘처럼 뾰족뾰족한 나무 아래 산다고 했고

호랑이는 늘 푸른 나무가 있는 곳에 산다고 했고

학은 거북 등처럼 꺼칠꺼칠한 나무 옆에 산다고 했고

거북은 봄이면 노란 가루가 떨어지는 나무 아래 산다고 했고

오리는 솔방울이 주렁주렁 달린 나무 아래 산다고 했다.

(여기서 이 나무는 무슨 나무게? 하고 수수께끼 한 개 내고 싶어진다. 답이 너무 쉬운가?)

씩씩거리는 동물들에게 여우는 기막힌 음식을 대접하겠다고 하고는

쨘~ 하고 비빔밥을 내어 놓는다.

고슬고슬한 밥 위에 올려진 각양각색의 나물들. 그리고 참기름 한 방울까지 똑!

음식은 마음을 너그럽게 해 주는 마법같은 힘이 있다.

음식과 관련한 기억은 따뜻할 때가 많다.

이렇게 완성된 비빔밥은 길안내를 도운 동물들까지 모두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하다.

그러면서 으르렁 동물들도 서로에게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된다.

우리가 왜 그랬던가 말이다!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기한 씨앗 가게 미래그림책 128
미야니시 다쓰야 글.그림, 김수희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씨앗을 심고 주문을 외운다.

"씨씨씨! 앗앗앗! 신통방통 씨앗! 씨앗!"

그러면 무럭무럭 나무가 자라고 순식간에 열매가 열린다.

그 열매는 씨앗을 닮았다.

그래서 처음 씨앗을 심을 때 어떤 열매가 열릴 것인지 상상해 보는 재미가 있다.

나 혼자 상상해 보면서 맞추었다고 신 나했는데

어린 독자들도 그렇지 않을까?

꼬마 돼지는 너구리 아저씨에게 신기한 씨앗을 받아 기분좋게 가던 중

도넛 나무에서 열리는 달콤한 도넛보다도 쫄깃한 돼지를 더 먹고 싶은 늑대를 만난다.

꼬마 돼지는 어떻게 하면 이 위험을 피할 수 있을까?

울퉁불퉁 씨앗이 무언가 큰 도움을 줄 것 같다.

도움을 제 때 받으려면 주문을 잊지 말아야겠지?

"씨씨씨! 앗앗앗! 신통방통 씨앗! 씨앗!"

늑대가 나타난 장면부터 어떤 일이 일어날지 뒷이야기 상상해 보기로 이야기 나누어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음엔 너야 비룡소의 그림동화 61
에른스트 얀들 지음, 노르만 융에 그림, 박상순 옮김 / 비룡소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아용 도서.

그림책의 내용은 아주 간결하지만 마음에 든다.

왼쪽 면은 글자, 오른쪽 면은 그림이다.

글자 수가 적어 여백미가 느껴진다.

아파 보이는 동물 5마리가 의자에 앉아 있다.

문이 열리면 하나가 나오고 하나가 들어간다.

다섯이었는데 넷이 남고, 다시 셋이 남고, 둘이 남고, 그리고 마지막 하나가 남는다.

하나-둘-셋-넷-다섯!

그렇게 헤아려 볼 조그만 아가들이 떠오른다.

둥글둥글 의사선생님이 마지막 아이까지 잘 고쳐 주시겠지?

이 그림책을 읽을 너댓살의 아가들은

장난감이 아프지 않도록 소중하게 다루어야겠다고 느끼게 될까?

그러고 보니 희망찬이 어릴 때 가지고 놀았던 장난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콩순이가 갑자기 그리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