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삼켜버리는 마법상자 모두가 친구 7
코키루니카 글.그림, 김은진 옮김 / 고래이야기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와 같이 도서관 나들이를 갔다. 이제 아이가 혼자서도 책을 읽어서 책을 도서관에서 읽는 것도 한 방법일 것 같아서 최근에 생긴 어린이 도서관을 갔는데... 아이 보다도 내가 좋아서 어쩔 줄 모르겠다. 그림책 길잡이 책들에서 만나 사 보고 싶다고 찜 해두고 보지 못했던, 혹은 제목이 낯익지만, 정말 재미있을까 싶어 갈등하느라 사지 못했던 그 많은 책들이 다 거기에 있는 거다. 우와!

이 책은 아이가 골라 온 덕에 읽었는데, 아이들의 심리를 잘 살려 이야기 해 주는 책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주인공 아이가 싫어하는 것들, 그것들을 다 삼켜 버려 줄 마법상자를 얻었다. 싫다고만 말하면 모든 것이 그 안으로 다 들어 가는 거다.

빽빽 우는 동생도 싫고, 그런 동생을 구박(?)하는 나를 야단치는 엄마도 싫고, 나를 꾸짖는 선생님도 싫고, 이웃에서 들려오는 시끄러운 소리도 나를 짜증나게 해서 싫다. 그리고는 내가 행복해 져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는 그런 나도 싫다고 말해 버린다.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마법 상자에 당연히 빨려 들어가고. 그 곳에는 내가 싫어했던 많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는 그 곳에서 나는 "미안해."라고 말하게 된다. 모든 것과의 화해!!!

그림은 흑백이라 어둡다. 아이의 심리상태가 그만큼 어둡다는 의미겠지?

싫은 것들과 화해하고 어울려 나가면서 우리 아이들은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 때론 주위의 모든 것들로 인해 속상하고 또 때론 그런 것들을 속상해 하는 나 때문에 속상하겠지만, 그것들을 제대로 이해할 때 한층 더 자라게 되리라 생각한다.

우리 아이는 싫어하는 것이 많지 않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훨훨 간다 옛날옛적에 1
김용철 그림, 권정생 글 / 국민서관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급 장기자랑 시간이 되면 가끔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겠다고 나서는 아이가 있다. 그리고는 바보 이야기를 시작한다. 길을 가다가 얻어 들은 단어를 계속 반복 하다가 결국 그 단어들로 인해 도둑을 물리치거나, 선생님을 골탕 먹이거나... 주위는 소란하고 이야기는 흩어져 집중 할 수 없는데 웃기는 것은 듣는 아이들이 재밌다고 웃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 하는 아이가 저 혼자 재밌다고 웃으면서 이야기 하느라 제대로 이야기를 못한다는 거다.

이 이야기는 아이들이 하는 그런 이야기류와 통한다.

밭일 하는 할아버지, 길쌈 하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돌아오자 할머니는 할아버지에게 이야기 한 자락을 해 달라고 부탁하지만, 아는 이야기가 없는 할아버지는 이야기를 해 줄 수 없다. 그러자 할머니는 "무명 한 필과 이야기 한 자리를 바꿔 오세요."하고 말한다. 할아버지가 하루종일 장에 앉아서 무명 한 필을 팔아보려고 하지만, 이야기 한 자리를 주고 사 가려는 사람은 찾아 볼 수 없다. 돌아 오는 길에 빨간 코 농부 아저씨를 만나 드디어 이야기를 얻게 되는데... 짓궂은 농부아저씨는 마침 지나가는 황새의 몸놀림을 보고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 할아버지는 그 이야기를 외워 할머니에게 들려준다.

"훨훨 온다. 성큼성큼 걷는다. 기웃기웃 살핀다. 콕 집어 먹는다. 예끼 이놈, 훨훨 간다."

마침 도둑님이 이 집에 납시고,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이야기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서(배고파서 누룽지 집어 먹다 야단치는 소리에도 놀라고.) 이 집에는 보통 사람이 사는 게 아닌가 보다며 달아 났다는 이야기.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도둑이 들어왔다는 사실 조차도 모르고 얼마나 재미있게 이야기를 나누시며 좋아하시는지.

권정생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옛날 이야기 한 자락.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즐감 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드와르도 세상에서 가장 못된 아이 비룡소의 그림동화 127
존 버닝햄 지음, 조세현 옮김 / 비룡소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읽은 박기범의 <<문제아>>에서는 문제아가 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아를 바라보는 시선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 책이 시사하는 바가 <<문제아>>와 통하는 것 같다.

세상에서 가장 못된 에드와르도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아이가 되기까지 사람들이 한 일이란, 그를 꾸중한 것에서 벗어나 칭찬한 것 밖에 없다는 것. 긍정적인 칭찬은 아이를 얼마나 격려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잘 이야기 해 주는 그림책이었다.

아이를 밀었는데 그 때 마침 전등이 위에서 떨어져 아이를 다치지 않게 해 주었고, 집안의 잡동사니를 밖으로 던져 버렸는데, 그 때 마침 바깥에 불우이웃돕기를 위한 구호물품 모으는 수레가 놓여 있어 마음씨 좋은 아이가 되었고...

선이라는 것은 그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지만, 아직 도덕성이 발달하지 못한 아이들에게는 과정과 아울러 결과도 좋아야지 선이라는 인식이 있을 것이다. 결국 에드와르도가 행한 것은 결과로 인해 선이 되어 버렸는데... 항상 느끼지만, 존버닝햄의 동화는 생각을 깊이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책은 아이들에게 이야기 하는 책이라기보다는 어른들에게 이야기 하고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에게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 주어 그들의 긍정적인 발전을 도와 주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겁쟁이 빌리 비룡소의 그림동화 166
앤서니 브라운 지음, 김경미 옮김 / 비룡소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빌리는 걱정 많은 아이다. 모자 때문에, 신발 때문에, 구름 때문에, 비와 커다란 새 때문데... 한없이 걱정이다.

할머니 댁에서 잠을 자는 날은 걱정이 더 늘어난다. 그런 빌리에게 할머니는 걱정인형을 주시며 너의 걱정을 잠 들기 전에 이 걱정 인형에게 다 이야기 하고는 베개 아래에 넣어 두고 자라고 말씀 하신다. 그리하여 빌리는 편안한 잠을 잘 수 있었다. 그런데, 또 얼마 후 자신의 걱정 때문에 걱정하느라 잠을 못 잘 걱정인형이 걱정이 되는 거다.

그래서 생각 해 낸 것이... 걱정인형을 위한 걱정인형 만들기!^^

걱정인형은 중앙아메리카의 과테말라에서 시작되어 지금은 널리 퍼져 있는 상태라고 한다.

나의 걱정을 대신 해 줄 걱정인형이라. 참 재미있는 생각이다. 정말로 아이들이 이 인형으로 인해 많은 위안을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걱정해서 해결 될 일 같으면 걱정을 할 필요도 없다고 엄마는 항상 말씀 하셨다. 해결 되지 않을 일 같으면 걱정해도 소용없다고 하셨다. 하지만, 내 생각에도 나는 걱정이 좀 많은 편인 것 같은데... 오늘 나도 걱정인형을 만들어 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왕조실록 : 조선 시대를 담은 타임캡슐 신나는 교과서 체험학습 10
신병주 지음, 김영수.김순남 그림 / 스쿨김영사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첫페이지에는 유네스코에서 인정한 세계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 세게무형유산이 사진과 함께 잘 소개 되어 있네요. 4학년 교과서에 나오지요. 이렇게 보니 또 새롭군요.

일단 정리 한 번 하고요.

세계문화유산-종묘, 수원화성, 창덕궁,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 석굴암과 불국사, 해인사장경판전, 경주역사유적지구

세계기록유산-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심체요절, 훈민정음

세계무형유산-종묘제례와 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조선의 역사를 오늘날 우리에게 알려주기 위해 얼마나 철저하게 기록되고 보관되었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먼저, 27대 왕 중에서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의해 씌여진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제외된다는 사실도 알았고요, 왕조차도 사관이 써 놓은 사초를 함부로 볼수 없었기에 사관들은 자신의 일에 대한 자긍심이 무척 대단했다는 것, 대학자 정약용이 사관에 임명되었던 기록이 그러한 사실을 적어 두는 책인 <<한권록>>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 초초, 중초, 정초의 단계를 거쳐 실록이 완성된다는 것과 초초와 중초는 세검정에서 세초(씻기)를 하여 말려 다시 종이를 재활용했다는 사실도 알려주네요. 전쟁으로 인해 유실 될 뻔한 실록을 지키기 위해 애쓴 오희길, 손홍록, 안의 같은 분께 감사를 드려야겠고요. 실록이 보관되어 있는 사고에 한 번 가 보고 싶은 생각이 드네요. (정족산 전등사, 적상산 안국사, 태백산 각화사, 오대산 월정사를 찾아 보면 된대요.) 책이 상하지 않도록 신경 쓴 뛰어난 보관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소개 되어 있어요. 두 번 쓰인 실록도 있다네요.(현종실록과 현종개수실록, 경종실록과 경종수정실록,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당파간의 이해관계 때문이었다죠.) 그리고 실록에 실려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몇 가지 소개 되어 있어요.(홍길동, 의녀 장금, 코끼리 이야기, 독도 이야기, 청계천 공사 이야기, 자연재해 이야기...) 또 연산군과 광해군은 실록대신 일기라고 씌여져 있고, 단종은 일기라는 제목이 붙었다가 이후 다시 실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이 일(사냥하다 말에서 떨어진 일)은 기록하지 말아라고 하라." 했다가 그 말까지 기록으로 남긴 태종과 아버지의 태종실록을 보려다 거절당한 세종의 이야기도 있군요.

여러 가지 정보를 잘 소개 받았습니다. 아이들에게 들려 줄 재미있는 이야기들 몇 가지 건지게 해 준 참 유익한 책이네요. 책은 얇지만, 왠지 손이 잘 가지 않았는데, 이제 교과서 체험학습 시리즈에 차례차례 손을 뻗아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