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의 전화박스 아이북클럽 7
도다 가즈요 글, 다카스 가즈미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크레용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진짜진짜 유명한 책이다.

나도 두 번 정도는 읽은 거 같은데.

지금 읽으니 처음 읽는 느낌이 드는 것이 읽지 않았었나 싶기도 하다.

한 번 읽으면 마음에 스며들어 그 내용이 생각날 법 한데...

너무 유명해서 읽었다 생각하고 있었나? 싶기도 하다.

유명한 동화니 내용은 생략!

우습지만, 갑자기 든 생각은

공중전화 경험이 없는 요즘 아이들에게 이 동화가 어른들이 느끼는 그런 따뜻함을 전해줄까 하는 것.

어느 분이 걱정하지 말라고 하셨다.

문학이 가지는 사회적인 역할 중 하나가 사라지는 감성을 살려주는 것이고

아이들은 경험이 없어도 신선함으로 받아들이고 그 감정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고 말이다.

어른들이 좋아할 만한 동화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21-09-18 0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 읽다 울었어요. 그런데 전화기 얘기 하신 것 생각하니 울 이유가 하나 더 생겼네요.

희망찬샘 2021-09-18 09:57   좋아요 0 | URL
그러셨군요. 읽다가 눈물이 핑 도는 동화들. 그렇게 우리 마음 속으로 들어오네요.
 
팽이 도둑 - 제9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샘터어린이문고 62
서정오 지음, 김효연 그림 / 샘터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정오 선생님은 옛이야기만 쓰는 줄 알았다.

이렇게 어여쁜 동화로 정채봉 문학상 대상까지 받으셨구나!

잔잔한 이야기 세 편을 읽으면서 나는 아이들 세계에서 많이 멀어진 어른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어른들은 왜 이렇게 아이들의 고민을 가벼이 여길까 싶기도 했다.

 

<팽이 도둑>에서 은호가 도둑 맞은 팽이를 찾으려 하자

엄마는 이미 잃어버린 거 어쩔 수 없다 하고 (네 잘못이야!)

그러니 잊어버리라 한다.

선생님은 공부할 시간이 많아졌으니 잘 됐다고 한다.

도둑 잡아 달라는 신고를 받은 경찰 아저씨는 돈 줄 테니 문구점에서 팽이를 하나 사라고 한다.

이 팽이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 은호를 위해 만들어 주신 거라 절대 문구점에서 살 수 없다. 

뻔뻔하게도 가져가 놓고 가지고 가지 않았다고 시침 뚝 떼는 병수 형에게서 어떻게 팽이를 찾을 수 있을까?

어른들과 달리 친구들은 은호의 말을 진지하게 들어주었고, 함께 지혜를 모아 팽이 찾기에 나서 주었다.

팽이 찾기는 성공했냐고?

그러니까... 그건 책 속에서!

 

<누구일까?>에서는 남녀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생각해 볼 만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여자지만 축구를 하고 도끼로 나무 패기를 좋아하는 은수는

남자지만 뜨개질을 좋아하는 순길이와 친구가 된다.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남자니까 어떠해야 하고, 여자니까 어떠해야 한다는 생각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기회가 주어질 것 같아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환한 날>은 사소한 일로 마음이 상한 절친 할머니들을 화해시키기 위한 손주들의 다양한 시도가 돋보인다.

 

우리 어린 시절 이야기 같기도 하고, 요즘 아이들 이야기 같기도 하고.

그래, 동화! 읽으면 몽글몽글 마음이 따뜻해지는 딱 그런 동화! 그래서 다 읽고 나니 참 좋은 동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과서에 실린 <가끔씩 비 오는 날>이 좋아서 동화집을 사서 읽고 이가을 선생님을 마음으로 만났다.
소녀같은 이름에 아주 젊은 분인 줄 알았는데 이 책의 작가의 말을 보니 할머니란다.
할머니가 손녀, 손자들에게 조근조근 들려주는 도깨비 이야기, 얼마나 매력적인가!
아는 듯, 그러나 처음 만나는 도깨비 이야기들.
원유순의 <<마지막 도깨비 달이>>에 보면 도깨비는 사물에 깃든다고 했다.
오늘날 도깨비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이유는 사람들이 더 이상 도깨비를 믿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했다.
이 책에서도 도깨비가 사람이 되려면 ˝이게 뭔 도깨비 조화 속이랴?˝라는 말을 천 번을 들어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도깨비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재미있다.
따라서 이 이야기도 아주 재미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하나밖에 모르는 도깨비 하나>에서는 ‘깜박깜박 도깨비‘가
<수다쟁이 도깨비 와글와글>에서는 ‘흉내쟁이 도깨비‘가
<대장간 도깨비 뚝딱>에서는 ‘우렁 각시‘가 떠오른다.
옛이야기는 그 자체가 새로운 이야기의 씨앗이 될 수 있다.
이 이야기는 이가을 선생님이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에게서 진짜 들었던 이야기일까?
아니면 새롭게 만들어낸 이야기일까?
소리내어 읽어보니 이야기가 더욱 맛깔스럽다.
나도 앞으로 신기한 어떤 일을 만나면
˝이게 웬 도깨비 조화 속이랴?˝하고 말해 볼까?
이 세상에 짠~ 하고 나타나서 녀석이 어떤 조화를 부릴지 궁금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싹 쓸어 빗자루 꿈터 어린이 34
최혜진 지음, 정경아 그림 / 꿈터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근 길에 아이 하나가 쓰레기를 툭 버렸다.

보통 같으면 모르는 척 했을 거다.

그런데, 그 아이와 나의 목적지가 같아서 모르는 척 할 수가 없었다.

"얘,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면 어떡하니?"

아이가 힐끗 쳐다 보았다. 덩치 큰 6학년 아이라 조금 무섭다. ㅜㅜ

고맙게도 줍더라.

그러고 내리막길을 한참 가다가 교문을 들어서고....

그러다 현관문 앞에서 아까 그 쓰레기를 다시 휙 던져 버린다.

아, 이런~

내가 그 뒤를 졸졸 따라오고 있었다는 것을 몰랐던 거 같다.

다시 버리는 거 보니 갑자기 열을 때댕 받아서 애를 붙잡고, 몇 학년 몇 반이냐고 물었다.

가만 생각하니 오지랖이었나? 싶기도 하다가, 그래도 아닌 건 아닌 건데... 하다가. 이것도 직업병인가 싶기도 하다가.

 

이 이야기는 이런 마음을 동화 속에 곱게 담아 두었다.

돌아가신 할아버지는 무엇이든 얼굴에 다 티가 난다고 할머니에게 티나라는 애칭을 붙여 주었다.

그리고 할머니를 위해 빗자루 하나를 남겨 주셨다. 그 빗자루에는 놀라운 마법의 힘이 담겼다.

쓰레기에 빗자루를 갖다대면 쓰레기를 버린 사람에게 되돌아 가는 것.

쓰레기를 함부로 버린 남자 아이, 껌을 버린 여고생, 강아지 똥을 처리하지 않은 예쁜 아가씨.

모두 티나 할머니의 싹쓸어 빗자루 잎에서는 항복할 수밖에.

그런 할머니의 빗자루는 쓰레기 같은 마음까지 깨끗이 쓸어 준다.

손대면은 어릴 때부터 손버릇이 나빴다.

그것 때문에 감옥까지 갔다 왔다.

제대로 살고 싶었지만 그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할머니의 빗자루가 가진 놀라운 힘을 알고 마지막으로 그 빗자루를 훔치려고 한다.

할머니는 지혜롭게 손대면을 어둠 속에서 빛의 세계로 이끌어 주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은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말자, 하는 생각 하나는 품게 되겠지.

재미있게 읽고 준법 정신 하나 얻어 보고.일석이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때문에 광고가 있다.
-주름 빨대 편
-하이힐 편
-도넛 편
영상은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광고가 재미있어서 원인과 결과 수업 동기 자료를 쓴 적이 있다.
이 책도 같은 식으로 수업에 활용해 볼 수 있을 거 같다.
모든 일은 그냥 일어나지 않는다.
오늘의 나를 있게 한 무수한 ‘때문에‘들 덕분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무엇 때문에 이 자리에 있게 되었는지 헤아려 보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1-09-11 1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하루가 모여 1년이 되고 1년이 모여 5년, 10년이 되고...
하루하루의 노력과 성실로 미래에 어떤 멋진 자리에 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하루아침에 그냥 일어나는 일은 없는 법.^^

또는 누구의 덕분으로 도움으로 인해 나은 삶을 살 수도 있겠습니다.

희망찬샘 2021-09-11 12:31   좋아요 0 | URL
공감합니다. 힘들여 사니 열매가 열리는구나! 하는 생각을 요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