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 또 놓쳤다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정승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과학시간에 오염이 심한 런던 근교의 숲에서 색깔이 변한 나비종류에 관해서 배웠을 것이다.원래는 날개가 하얀 색이었던 나비가 환경오염으로 탁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변종이 나타난 것이다. 공기오염으로 거무스름해져버린 나무껍질에 흰나비가 앉는다면 눈에 확 띄기 때문에 나비의 천적들에서 잡아 먹힐 가능성이 훨씬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무색에 맞추어 몸의 색깔을 변화시키는 돌연변이가 시작된 것이다.
이처럼 생물들은 주위환경속에서 자신의 모습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최소한 한가지씩은 지니고 살아간다. 그것만이 스스로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이 책 등장하는 숲 속의 사냥꾼인 사마귀는 뭇 곤충들을 두려움으로 떨게 만드는 길쭉하고 날카로운 발톱을 지닌 곤충이다.그런데 이 무법자 사마귀도 두꺼비한테는 꼼짝을 못한다. 두꺼비한테 잡히자 잡아 먹히지 않으려고 다른 곤충을 잡아 받히겠다며 두꺼비를 꾀기도 한다. 하지만 보호색이나 자신을 방어할 무기를 지니거나 천적의 무늬를 지닌 곤충들을 보고 놀라서 기절하거나 도망치기 바쁘다.

이처럼 어느 생물이나 자신을 지키기 위한 방어 본능과 생존본능이 있으며 살아남기 위하여 자신의 몸에 여러가지 기능을 진화시켜 왔다. 어떤 곤충이나 동물은 불쾌한 냄새를 풍기는 물질을 사용하고, 어떤 것은 자신의 몸의 색깔이나 무늬들을 변형시키기도 한다. 한 번 당했던 곤충들은 비슷한 곤충들만 봐도 피하는데, 또 그것을 이용하는 곤충들도 있다. 이런 보충설명을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흥미로운 것들을 많이 알게 되었는데, 정말 좋은 과학동화책이구나 하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누구게 달팽이 과학동화 1
김용란 글, 신가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개구리는 양서류로 땅과 물 양쪽에서 살 수 있는 동물이다.그리고 어렸을 때의 모습과 다 성장했을 때의 모습은 전혀 달라 같은 종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 있다. 만일 우리가 학교에서 꼬리달린 물고기(올챙이)와 팔딱팔딱 뛰는 녀석(개구리)이 같은 종류라는 것을 배우지 않는다면 아마 다른 종류라고 생각할 수도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알에서 올챙이로, 다리가 나오고 꼬리가 없어지면서 개구리가 되는 일생을 보여준다. 그걸 모르는 뱀은 헤엄치는 올챙이, 두 다리가 나온 올챙이, 네다리가 나온 올챙이, 그리고 팔딱 뛰는 개구리가 같은 존재였음을 몰라서 매번 놀림감이 된다. 엄마 개구리 형제를 많이 잡아 먹은 '능구리'라는 큰 뱀을 꼬마올챙이가 속이고 골리는 모습을 보고 아이는 뱀이 바보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가지 더하자면, 이 책에는 천적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해준다. 뱀은 개구리의 천적, 뱀에게는 족제비와 매가 무서운 존재라는 걸 보면서 천적관계에 대해서 어렴풋이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보호색을 이용하여 숨어 버리는데 달팽이 과학동화에 그와 관련된 동화가 있으니 연결해서 읽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엄마라면서 올챙이의 다리중 어느 부분이 먼저 나오는가 하는 것이 늘 헷갈려 했었는데 이 책을 볼 때마다 기억을 새로이 할 수 있겠다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꿀을 돌려줘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김효순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먹고 먹히는 자연의 법칙, 즉 식물에서부터 동물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의 한 예가 들어 있는 책이다. 아이가 무척 재미있게 보는 책인데 아마 내용보다 그림이 더 재미있어서가 아닐까 싶다.

표지에서 볼 수 있듯이 곰의 뱃속에 잡아먹힌 존재를 전부 그려 놓았다.(꼴라주기법이 ?) 따라서 누가 누굴 잡아 먹었는지 바로 알 수가 있다. 이런 종류로 '옛날에 파리를 한마리 꿀꺽 삼킨 할머니가 있었대'라는 책을 본 기억이 난다. 그 책에서도 할머니가 삼킨 내용물(파리부터 시작해서 개, 소까지..)들이 차곡차곡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먹이사슬의 처음 시작은 민들레다. 민들레는 자기 몸을 스치는 바람이나 개미도 마음에 들지 않다. 그런데 꿀벌이 꿀을 빨아 먹고 난 후 자신의 모습이 흉하게 변해 버렸다고 믿게 된다. 바람의 도움으로 날수 있게 된 민들레 홀씨는 자신을 꿀을 훔쳐 먹은 꿀벌을 찾아간다.

그러나 꿀을 먹어버린 꿀벌을 거미가, 그 거미를 메추리가 잡아 먹고, 메추라기는 여우에게 먹히는 먹이사슬이 계속된다. 마침내 여우가 커다란 곰에게 잡아 먹히자 민들레 홀씨는 겁을 내면서도 자신의 꿀을 돌려 달라고 말한다. 그런데 곰은 똥 한무더기를 누고 가버린다.

곰이 누고 간 똥의 양분을 받아들여 다시 예쁜 꽃을 피울 수 있게 된 민들레는 결국 자신의 꿀을 돌려받은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뒷편에서 동물의 숫자가 균형을 이루려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조절된다는 것을 설명해 놓은 부분이 있다. 약육강식의 세계는 잔인함을 지니고 있지만 그것이 자연이 균형을 이루어 가는 방식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꼬 아줌마네 꽃밭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최미숙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식물의 운동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 우리 아이도 그 제목을 보고는 식물도 움직이느냐며 신기한 호기심을 가지고 책을 보았다. 물론 꽃들도 끊임없이 움직이고, 성장하지만 단지 너무나 미세한 움직임들이라 사람의 눈에 거의 띄지 않는 것이다.

꼬꼬아줌마는 채송화, 나팔꽃, 수세미 등의 꽃들을 심고 알뜰살뜰 보살피는 '꽃애호가'이다. 꼬꼬아줌마는 집을 비울 일이 생기자 도둑쥐를 걱정하며 집을 나섰다. 그러자 꽃들이 집을 지키겠다고 나서는데... 그 중에서 담쟁이와 수세미, 나팔꽃들은 덩굴식물답게 담 위로 기어 올라가 망 보기를 자청한다.

그런데 아쉽게도 나팔꽃은 밤에 잎을 오무려 버리는 속성때문에 밤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 다음에 직접 나팔꽃을 아이와 함께 관찰할 기회를 꼭 가졌으면 한다.)
몰래 부엌에 들어가려던 도둑쥐는 밤에 피어난 달맞이꽃의 고함소리에 놀란다. 그리고 사방에서 터지는 봉숭아의 씨앗 공격과 끈끈이주걱의 들러붙기 작전에 놀라 결국 도망치고 만다..

책을 통해 아이에게 여러가지 꽃 이름을 가르쳐 줄 수 있었다. 예전에는 누구나 마당 한쪽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꽃들이지만 요즘 아이들은 구경하기도 힘들어지기만 하는게 안타깝다. 그리고 얼마전에 콩을 심어서 키운 적이 있는데 하루 하루 지날 때마다 커가는 모습이 신기한지 수시로 들여다 보던 아이의 모습을 보니 나도 저런 때가 있어지 하는 생각에 흐뭇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운 꿀은 없나요 달팽이 과학동화 1
김용란 글, 서은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음식의 맛을 알 수 있는 신체 기관은? 아이들은 무엇이라고 대답할까? 혀? 입? 코? 아무래도 입이라고 생각하기 쉬울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어주면서 혀라는 존재를 아이에게 인식시킬 수 있었다. 우리의 혀가 모든 맛을 알아내는 것은 아니다. 생물시간에 배웠듯이 4가지 맛을 인지한다.

혀는 짠 맛, 신 맛, 단 맛, 매운 맛 등을 알 수 있지만 눈을 감고 음식을 알아맞추기 위해서는 또 다른 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바로 코이다. 혀가 특정한 맛을 감지할 수 있을지라도 코로 냄새를 맞지 못하면 아무리 유능한 음식감별사가라도 알아맞출 수가 없다.

우리가 감기에 걸리면 음식을 먹어도 무얼 먹는지 잘 모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물론 이 것은 보충설명에서도 나와 있다. 그리고 맛에 따른 우리말의 표현과 씹는 것의 의성어 표현을 배워보는 것도 재미있다. 아이에게 말을 재미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도 든다.

책 내용을 살펴보면 짠 음식(소금기 가득한 바닷속이니 당연하겠지만)만 먹던 거북이 무엇인가 색다른 음식을 먹고 싶어 세상에 나왔다. 그러나 약삭빠른 여우에게 속아 엉뚱한 표현을 배워 버린다. 토끼로부터 성찬을 대접받지만 여우가 가르쳐준 엉뚱한 표현때문에 웃음거리가 되고 만다.

나중에 거북이 '달콤한 꿀떡'이라고 말한 걸 믿고 그만 매운 음식을 먹고 마는 여우. 이럴 때 제 발등 제가 찍는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