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금맥
마크 파버 지음, 구홍표.이현숙 옮김 / 필맥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금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다들 눈을 크게 뜨게 된다.
그렇다며 이 책에서는 어디에 내일의 금맥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일까?
저자는 답을 쉽게 주기 보다는 사람들이 가져온 편견을 제거하는데 먼저 노력을 기울인다.
장기투자에 대한 흔한 경구는 인디언이 맨하튼 판 돈으로 저축을 했다면 오늘 다시
맨하튼을 샀을 정도의 돈이 되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말이 틀렸다고 한다.
그동안 인간들이 만들어내었던 테마들은 수도 없이 많았지만 대다수는 잠시 성공하다가도
결국은 무너져서 돈을 잃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한 예로 부동산,미국 철도,운하 등등을 한참 열거한다. 현대에 와서 자동차와 전기, 최근에는
인터넷이 그 역할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 영원한 승리란 없다.
저자는 오랜 기간의 역사를 꿰뚫는 시야를 가지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통찰 덕분에 남들이 거들떠 보지
않는 것에서 가능성을 보고 남들이 환상을 가질 때 빠져나오는 현명함을 보여준다.
한국에도 여러차례 와보고 70년대에 투자 했는데 90년대 높은 가격에 팔고 나왔다고 한다.
템플턴이 일본에 최초로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중 한명이었는데 마찬가지로 80년대 말에 빠져나왔다.
저자도 템플턴과 엇비슷한 부류라고 생각된다.
최근 해외 투자 펀드 중에 동구권과 브라질 등 자원강국 쪽이 강세를 보인다.
하지만 IMF 직후만 하더라도 브라질에 있던 많은 기업들은 파산 직전으로 몰렸다. 이와 관련해서
저자는 영원한 몰락도 없다고 주장한다.
장기적 미래에 있어서 저자는 아시아에 많은 관심을 가지라고 한다. 자신의 경험으로 비유적인 예를 든다.
아시아에서 서구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던 도시는 싱가폴과 홍콩이었다. 다국적 기업의 본부들이
이 나라에 있었는데 지금은 상당수가 상해로 옮겨가고 있다. 돈을 따라서 부동산가격도 움직인다.
홍콩의 부동산이 보여준 몰락과 상해의 급등은 좋은 예다.
저자는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도 이러한 경향을 따라갈 것이라고 한다. 과거 중국이 문을 걸어 잠궜을 때는
일,대만,한국 등이 아시아인의 대표로 그들의 성격에 맞는 업들에서 강점을 보였지만 중국이 다시
본격적으로 활동하게된 지금 서서히 자리를 물려주면서 본래 역사적으로 가지고 있던 위상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중국의 성장은 다양한 1차 산품에 대한 수요를 늘릴 것이고 미국은 상대적으로 저조할 것이다. 그 이유는 역시 전쟁을 벌이는 나라의 화폐가 가치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짐 로저스가 <어드벤처 캐피털리스트>에서 한말과 똑 같다. 그리고 더해서 그린스펀의 신화적 미국 경제살리기도 까보면 위기 때마다 달러 찍어내고 금리 내려서 치부를 감추는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것도 둘이 똑 같은 논리로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원유,금과 같은 1차 산품에 대한 강세와 아시아 주요국가들이 새로운 기회를 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2003년에 나와서 지금까지는 상당히 정확하게 맞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