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 유비
삼국지연의라는 소설을 읽다보면 유비가 너무나도 착하고 순진하게 그려져서 심하게 말하면 쪼다가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특히 고우영이 그려낸 만화의 경우 딱 그런 이미지를 심어주려고 불철주야 노력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유비라는 인물은 결코 쪼다가 아니다. 하나의 왕조를 세우는 일은 세력을 모으고 목표를 부여해서 한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거대한 작업이다. 조상들이 만들어 놓은 환경을 고스란히 물려받는 것이라면 모르되 자신의 손으로 그만한 일을 이루어낸 사람을 어찌 가볍게 볼 수 있겠나.
유비를 가볍게 보는 것이 오류인 것처럼 그가 한왕실의 종친이라 역사적인 정당성을 갖는다고 보는 것에도 무리가 있다. 유비가 자신의 계보를 한왕조 초기로부터 끌어내는데 이 둘 사이에는 무려 400년이라는 세월이 지나가기 때문에 뚜렷한 물증으로 진위여부를 가리기는 어렵다. 대한민국에 김씨 이씨 박씨가 많지만 이들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정말로 왕족들과 혈연관계가 있다고 보여지지는 않는다. 앞서 조조가 조참의 후손이라는 주장이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한 것과 마찬가지다.
쪼다도 아니고 황족도 아니라면 유비는 도대체 어떤 인물일까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인물평을 하기가 쉽지 않은 주요 이유 중의 하나는 그에 대해 남아있는 기록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촉나라는 삼국 중에 유일하게 사관을 두지 않아서 체계있게 잡힌 사료가 너무 부족하였다. 그래서 촉나라 본기는 위나라 본기에 비해 반에 반밖에 안되는 정도의 분량이고 유비를 그린 선주전도 조조를 그린 위무제기에 비하면 채 1/4이 안되는 약소한 수준이다. 여기서는 우선 정사를 중심으로 재구성을 해가면서 유비의 행적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유비에 대한 인물을 평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참고해야 할 것이 당대인들의 평가다. 그런면에서 조조가 유비를 알아보고 영웅이라고 칭해주었다는 것과 그에 따라 조조의 주요 참모들이 제거하기를 건의했다는 것은 누구도 유비라는 인물을 범상히 볼 수 없다는 근거가 된다. 유비는 유랑하는 신세였지만 조조 이외에도 항상 당대의 군웅들에게 상당한 수준의 대우를 받았다. 맨 처음 고향에서 지나가는 상인들에게 자금을 받아 군사를 일으킨 것이나 서주의 자사 도겸에게서 자리를 물려받은 것도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다. 특히 공손찬, 원소, 유표 등 각기 열전의 한자리를 차지하고 역사의 흐름을 만들어가던 인물들 대부분이 유비를 경시하지 못했다.
또 하나 유비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은 제갈량과의 관계다. 유비가 성장하는데 제갈량이 큰 도움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전적으로 제갈량의 도움을 받아서만 생존할 수 있었던 인물도 아니었다. 물론 제갈량이 여러면에서 커다른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손권과의 동맹, 삼국정립의 구도, 유비 사후의 내치를 통해 촉을 안정화시킨 것 모두 범상한 참모가 수행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하지만 제갈량을 만난 이후의 모든 성공과 실패를 제갈량의 유무에 따라 해석하는 것은 무리다.
그런 유비의 일생을 간략히 평한다면 줄곧 의리를 고수하며 살려 노력했지만 장수로서 성과는 아주 뛰어나지는 않았던 지도자라고 볼 수 있다. 주요 능력은 덕이라고 볼 수 있다. 포용력이 컸고 한번 인연을 맺은 인물들이 배신하지 않은 점을 높이 평가해야 한다.
하나의 인물이 일을 이루려면 우선 커다란 야망을 가져야하고 다음으로 그 뜻을 이룰만한 능력과 품격이있어야 한다. 유비는 어려서 집안형편이 어려워 돗자리 장수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가정형편이 어려웠지만 본인의 자질은 훌륭하였다고 보여진다. 코흘리개 시절에도 커다란 뽕나무를 보면서 나는 앞으로 이런 거개(황제가 타는 수레를 덮는)를 쓰겠다고 했다 한다. 그의 성장가능성을 알아본 가까운 인척의 도움으로 전 중랑장 노식에게서 고급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후일 스승은 황건족 토벌군 사령관이 되고 및 동문인 공손찬 또한 한 주를 지배하는 인물이 되었다. 역시 과거에도 학연은 그가 성장하는데 제법 큰 밑거름이 된 것이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당시에는 동향의식이 무척 강했다. 중국이란 땅이 워낙 컸기 때문에 각 지역은 말투가 다르고 풍습이 다르다. 그래서 각 향촌은 고대 춘추전국 시대부터 이어져오는 자치체제를 유지하였고 동향인들 끼리 매우 끈끈한 인간관계를 가져갔다. 좋은 예로 한나라 초기의 유방과 그 부하들과의 관계가 있다. 유방이 패업을 이룰 수 있었던 힘은 같은 소하, 조참과 같은 향촌의 농민출신들의 단결력에서 나왔다고 평가된다. 그래서 중간에 합류한 초나라 출신 한신, 경포들은 배척을 받아 죽게 되었고 한나라 출신 장량조차 스스로 자리를 물러서게 되었다. 유방은 죽을 때 황후 여후가 던진 누구를 재상으로 삼을까하는 질문에 대해서 소하, 조참 등 동향출신 인재들만을 차례로 열거했다고 한다.
삼국지의 세계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발견된다. 조조 집단의 중추가 조씨와 하후씨라는 동향출신의 괜찮은 호족이었는데 비해서 유비는 출신배경이 미약했기 때문에 그런 가문의 배경은 없었다. 대신 자기가 인연을 맺는 한 사람 한 사람을 확실히 자기편으로 끌어들여서 키워나갈 수 밖에 없었다. 가장 먼저 가깝게 된 사람은 동향에서 만난 관우와 장비라는 두 인재였다. 이 두 사람에 대한 평가도 소설과 정사가 제법 차이 나기 때문에 나중에 다시 다루겠다. 한가지 먼저 지적할 것은 소설에 나온 것처럼 유비가 관우, 장비 두 사람과 도원결의를 했다는 기록은 정사에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항상 두 사람과 밥을 같이 먹고 잠을 같이 잤다는 기록은 배송지의 주석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