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식으로 내부적인 갈등이 지속될 때 서쪽으로부터 도전하는 세력이 생겼다. 마초와 한수라는 서량의 우두머리들이 정면으로 도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마초의 아버지 마등은 일찍 한나라에 복속해서 수도로 와 관직에 있었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인질의 상태였던 것이다. 조조는 서방에 종요라는 장군을 장안에 두고 강족을 안무하면서 외곽지역은 자율성을 부여하는 간접 통치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조조가 원소를 정복한 이후에는 각 지방에 대해서 요구하는 수준이 점점 높아졌다. 처음에는 특산물을 보내라는 수준이지만 점차 군대를 징발해 보내라고 하고 마지막으로는 관리를 파견해서 일거수 일투족을 직접 감시하게 된다. 수십년을 자율적으로 살아오던 강족으로서는 이게 불만이었기에 이 참에 무력시위를 통해 조조로부터 독립을 공인받으려 했다.
이 싸움에서 조조는 매우 뛰어난 지략을 발휘했다. 조조의 군사들이 말을 잘타지만 강족 또한 그 방면에서 앞서가면 앞서갔지 뒤지지 않은 실력자들이다. 덕분에 초반 싸움에서 조조의 군대가 밀리는 경우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조조로부터 독립을 하는게 전쟁의 목표였지 아예 조조와 끝까지 싸워 이겨야겠다는 결전의 의지는 약한 상태였다. 군대의 구성 또한 단일한 지휘체계를 갖추었다기 보다는 여러 부족의 연합체 성격이 강했다. 이런 약점을 파악한 조조는 화평에 나서는 것처럼 보여서 우선 상대방의 긴장을 풀게 하였다. 다음 주요한 두 세력인 마초와 한수의 사이를 이간시켜 서로 믿기 어렵게 만들었다. 내분이 일어나게 된 상태에서 공격에 나서게 되자 생각보다 쉽게 강족의 대군이 무너져버렸다.
처음에 전쟁에 나서는 순간부터 죽을 힘을 다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했다면 아마 조조가 제압하기는 쉽지 않은 상대였을 것이다. 중원에서 여러 상대에 맞서 싸웠던 조조의 꾀를 넘어서기에는 아직 한 수 아래였다.
이렇게 연달아 지략을 자랑하는게 조조의 장기였지만 뒤집어보면 약점이 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자기보다 재주 많은 사람들을 곱게 보지 않았다. 때로는 양송처럼 재주를 지나치게 앞세운다는 이유로 조조에게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큰 문제는 그의 집안에 있었다. 조조는 원래 여자를 무척 좋아했다. 장수의 항복을 받고는 그의 작은 어머니를 취하여 첩으로 삼았다가 이에 분개한 장수의 역습으로 크게 참패해서 허겁지겁 도망나오고 말았다.
원소를 격파했을때 원소의 아들 원상의 처가 워낙 미인이었는데 조비가 재빨리 나꿔채었다. 이 여인은 후일 조비로서는 연상이었지만 황후의 지위까지 오를 정도였다. 이미 아들이 차지한 것을 놓고 다툼을 벌일 수 없었던 조조가 이번 전쟁에서는 아들 좋은 일만 시켜주었다고 투덜대는 대목이 <세설신어>라는 책에 나온다.
제갈량이 손권과 조조의 침공에 맞서 대항하도록 권유할때 조조가 지은 시가 남쪽으로 내려가 이교를 데려다가 동작대에 놓겠다는 대목을 들어 손권과 주유를 분개하게 만들었다는 기록 또한 결코 근거없는 한 내용은 아닐 것이다. 이런 면면들이 조조의 여성편력을 짐작하게 해주는 단면들이다.
그런데 이들 여자들의 공통점은 미인이라는 것이다. 잠깐 데리고 노는 상대라면 이쁜 것도 좋지만 자신의 아들을 낳고 가정교육을 시키며 집안의 안기둥이 되어야 할 지와 덕을 겸비한 여자를 구하는 모습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집안 식구들끼리 서로 다툼이 나온다. 조조의 여러 아들들 중 특히 조비와 조식이 가장 뛰어난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 이 둘을 놓고 조조는 수시로 번갈아 칭찬하면서 후계자 자리를 경쟁시켰다. 필연적으로 두사람은 서로 갈등하게 되고 이들을 중심으로 거대한 파벌이 생겨서 소모적 대결을 펼치게 된다. 이를 원만히 조정하기 보다 끝까지 방치한 조조의 태도 덕분에 일족이 서로 반목하는 문화가 만들어졌다. 이는 결국 그가 이룩한 위업인 위나라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