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학 강의의 마지막 과제 가운데 하나가 동남아문학 강의다. 꽤 오랜기간 세계 각국과 각 지역의 문학을 읽어왔지만, 동남아문학은 이제껏 다루지 못했다. 이유는 단순한데, 베트남 정도를 제외하면 아직도 번역본이 현저하게 부족해서다. 특히나 세계문학전집판으로는 거의 소개되지 않았는데, 지난주에 태국 현대소설이 처음 나왔다. 씨부라파의 <그림의 이면>. 1937년작이다. 
















태국어가 낯설고(우리로선 발음도 표기도 어렵다) 영어자료도 별로 없어서 접근이 어려운데(위키피디아의 태국문학 항목을 보면, 현대문학, 곧 20세기 문학에 대해선 댓줄 정도의 소개만 나온다), 씨부라파라는 필명도 그렇다. 본명은 꿀랍 싸이쁘라딧(1905-1974)이다. 여러 필명을 썼는데, '씨부라파'가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라고. <그림의 이면>은 로맨스 소설로 나이와 신분 차이가 나는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이고, 태국에서는 두 차례 영화화되고 현재까지도 많이 읽히는 작품이라 한다. 


작품이 더 번역될지 모르겠지만, 현재로선 유일하게 강의에서 다룰 수 있는 태국 현대문학 작품이다. 앞서 지난 1월에 '동남아시아문학총서'로 나왔던 아깟담끙 라피팟(1905-1932)의 <인생이라는 이름의 연극>(1929)은 벌써 절판되었기에. <인생이라는 이름의 연극>은 태국 최초의 현대 장편소설로 일컬어지는 작품이라고 하고, 작가 아깟담끙 라피팟은 '왕족 작가'다. 연보를 보니 24살에 쓴 작품이고 27세에 요절했다. 


절판된 지 오래 되었지만, 또다른 태국문학 작품으로는 찻껍짓의 <무지에 의한 단죄>(1981)다. 작가는 1954년생이고 아직 현역이다. 작품도 40여 년 전에 출간됐지만, 앞의 두 작품에 비하면 최근작에 속한다. 한국어판은 1995년에 나왔다. 

















그밖의 작품으론 제인 베자니바(1963-)의 <카티의 행복>(2003)이 있는데, 2009년에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우리말로도 번역본이 나왔다. 현재는 절판. 영어판은 작가가 직접 영어로 옮긴 것이라고 한다. 


아무튼 내가 조사한 범위에서는 이 네편이 우리에게 소개된 태국 현대문학이고, 그나마 유일하게 절판되지 않은 작품이 이번에 나온 <그림의 이면>이다. 현대 태국문학이 빈곤한 것인지, 역자가 없는 것인지, 여하튼 상황 자체는 그렇다. 그나마 한 작품이라도 강의에서 다룰 수 있게 되었으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유대문학의 대표작가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솔 벨로(1915-2005)의 <오늘을 잡아라>(1956)가 다시 번역돼 나왔다. 몇년 전 솔 벨로 강의 때 번역본이 절판돼 다루지 못했었다. 대표작 <허조그>와 함께 과제로 넘겼던 작품. 솔 벨로는 60년이 넘는 창작기간에 <허공에 매달린 사나이>(1944)부터 <라벨스타인>(2000)까지 14편의 장편소설을 썼다(거기에 단편소설집과 논픽션이 각각 4편, 희곡 한 편이 더해진다). 이들 작품으로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 그리고 세 차레 전미도서상을 수상했다(세 차레 수상은 아직도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

국내에도 번역본이 제법 나왔었지만 거의 품절되거나 절판된 상태다. <오늘을 잡아라>가 ‘리스타트‘의 출발점이 되면 좋겠다(개인적으론 유대문학 작가로 분류되는 솔 벨로와 필립 로스의 성취를 음미해보고 싶다). 주요작 가운데 <험볼트의 선물>(1976년 퓰리처상 수상작)과 <허조그>(1964년 전미도서상)는 새 번역본이 나온다고 한다. 첫번째 전미도상 수상작 <오기 마치의 모험>(1953)부터 <험볼트의 선물>(1975)까지가 소위 전성기의 작품인데(6편이다) 이 정도까지는 다시, 혹은 새로 번역본이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주 목요일에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2020년의 루이즈 글뤽, 그리고 지낸해의 압둘라자크 구르나는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그 이전까지의 수장자는 대개 강의에서 다루었다(트란스트뢰메르와 밥 딜런이 예외다). 지난 10년간의 수장자 가운데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인 작가를 꼽으라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벨라루스)와 올가 토카르추크(폴란드)를 꼽겠다. 















다행히도 두 작가의 작품은 국내에 꽤 소개된 편이고, 지난주에도 토카르추크의 에세이 <다정한 서술자>(2020)가 번역돼 나왔다(영역판도 아직 안 나온 걸로 보인다). 토카르추크의 책으로는 최신간이다. 겸사겸사 국내에 소개된 토카르추크의 작품을 정리해본다. 토카르추크의 주력은 장편소설로 현재 9권을 발표했고(영어로는 지난해에 <야쿱의 서>가 다섯번째 번역서로 나왔다. 9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2권의 단편집, 1권의 시집, 5권의 에세이집, 1권의 아동문학(그림책)이 더해진다(단편도 하나 번역돼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로는 4권의 소설과 그림책에 이어서 이번에 에세이집이 추가된 것. 

 

장편소설의 목록은 이렇다(한국어판이 없는 경우는 영어판을 넣었다).


1993 <책의 인물들의 여정>


1995 <E.E.>


1996 <태고의 시간>



1998 <낮의 집, 밤의 집>



2004 <최후의 이야기>


2006 <세계의 무덤 속에 있는 안나>


2007 <방랑자들>

















2009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2014 <야쿠프의 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이정(1959-1993)의 유고시집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가 재간본으로 나왔다. 1994년에 초판이 나왔으니 어즈버 28년만이다(중간에 ‘요절시인 시인전집이 한 차례 나오긴 했군. 2010년간). 언제가 페이퍼에 적은 적이 있는데 찾아보니 2005년, 17년 전이다. 세월이라니...

내게 동시대 요절시인은 기형도(1960-1989)가 처음이었다. 그리고 진이정. 90년대 초반이면 신효범의 노래를 자주 듣던 때였나(당시엔 카세트테입으로).확인해보니 ‘언제나 그 자리에‘(1993)가 그맘때 나온 앨범이다. 하숙방에서 그런 노래를 듣고 그런 시집들을 읽던 때가 있었다. 20대 중반이었다. 나도 거꾸로 선 꿈을 꾸었던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이 2022-09-30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진이정 시집이 새로 나오다뇨, 올해의 책으로!!!
 

한나 아렌트 평전이 새로 나왔다. 사만다 로즈 힐의 <한나 아렌트 평전>. 원저가 지난해에 나왔으니 아렌트 평전 가운데서는 최신판이다. 소개는 이렇다.

˝한나 아렌트의 생애와 저작에 대한 관심은 사후 50년이 되어가는 지금까지도 식지 않고 있다. 국내에도 관련 서적이 100여 권 나와 있으며, 2022년 한 해에만 열 권 가까운 신간이 출간되었다. <한나 아렌트 평전>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는 국내에서 거의 최초로 출간된 책으로, 이 비범한 인물의 일대기를 자세하면서도 간결하게 정리해주고 있다.˝

‘평전‘이라는 제목으로는 처음이지만 전기는 이미 두어 종 나와있다. 일로이스 프린츠의 <한나 아렌트>와 엘리자베스 영 브륄의 방대한 <한나 아렌트 철학전기>가 그것으로 각각 두차례 번역본이 나왔다. 비교해서 읽어볼 수도 있겠다.절판된 책으로는 다나 빌라의 <아렌트와 하이데거>도 철학적 듀오그라피로 참고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