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 색빌웨스트(1892-1962)란 이름은 버지니아 울프의 작품, 특히 동성애를 다룬 <올랜도>를 강의하며 알게 되었다. 귀족 출신의 동성애자(양성애자)였고 작가로서는 울프보다 더 대중적이었다(책이 더 많이 팔렸다는 뜻이다). 이번에 후기작이자 대표자의 한편인 <사라진 모든 열정>(1931)의 새 번역본이 나왔다(원작은 울프의 출판사에서 나왔다). 

















아쉬운 것은 <올랜도>에 대한 화답이라는 <에드워디언>(1930) 대신 <사라진 모든 열정>만 세번째 번역됐다는 점. 출간 순서대로 하면 <열정은 스러져>, <모든 열정이 다하고>에 이어서 <사라진 모든 열정>까지다(이 정도면 사라질 수 없는 열정인가도 싶다). 
















국내에서는 <비타와 버지니아>로 처음 알려졌기에, 작가로서의 색빌웨스트는 울프에 가려졌었다. 대표작이 번역되었기에 울프는 '다른 작가' 색빌웨스트를 만나볼 수 있겠다. 그러자면 한두 편 정도는 더 번역돼야 전집까지 나와있는 울프와 최소한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겠다.



참고로 <사라진 모든 열정>은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5차분의 하나로 나왔는데, 5차분까지 나오면서 휴머니스트 세계문학전집도 25권까지 목록을 늘렸다. 아직 100권에 이르는 여정을 생각하면 1/4까지 온 셈. 꾸준한 페이스가 이어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명한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의 대표작 <신의 역사>가 다시 나왔다. 1999년에 초역판이 나왔으니 24년만이다. 원저는 1993년에 나왔고 이후 30년이상 종교분야 베스트셀러의 지위를 지키고 있다 한다. 일종의 기본서인 셈. 















하지만 번역본(2권짜리)은 진즉 절판돼 나도 중고본으로 구한 기억이 있다. 이번에 다시 나와 반갑다. 역자는 같은데, 서평을 일어보니 누락된 원문을 되살리고 오역은 교정했다 한다. 제대로 읽어볼 수 있게 된 셈이다. 
















암스트롱의 저작은 다수 번역돼 있고, 그 가운데 '신'을 주제로 한 책도 여럿 된다. 또다른 대표작 <축의 시대>도 이 참에 다시 손에 들어봐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너의 운명으로 달아나라

6년 전에 책이 나왔군. 현재까진 유일하게 큰글자판까지 나왔다. 하반기에 밀란 쿤데라 강의가 많이 잡혀 있어서 종종 들여다볼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3-07-20 16: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7-23 2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10 0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가장 유명한 자서전 가운데 하나인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1791)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이미 다수의 번역본이 나와있는지라 특기할 만한 건 아닌데 이번에는 세계문학전집판 나와서 눈길을 끈다(여러 가지 의미를 생각해보게 한다).

나로선 일단 ‘세계문학‘ 강의에서 다룰 수 있게 되었다는 점. 이제껏 산문작품으로는 에머슨의 <자연>이나 소로의 <월든> 정도를 문학강의에서 다루었는데(<월든>도 다수 번억본에 더하여 민음사 세계문합전집판으로 나온 바 있다).

여러 작가 내지 저작과의 관계를 떠올려보게 되는데 일단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프랭클린이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의 좋은 사례이기에. 그리고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 소년 개츠비의 롤모델이 프랭클린이었다(작품에는 개츠비식 프랭클린 플래너도 등장한다).

그리고 카프카. 1919년 카프카가 이자서전을 감명 깊게 읽고 아버지께 선물했다고 한다(원조 자기계발서를 자수성가한 아버지께?). 정작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1919)는 드리지 않았다(카프카는 이번 겨울억 전작 읽기를 다시 시도해볼 참이다).

그에 더하여 동아시아에서의 <프랭클린 자서전> 수용사도 살펴볼 주제다. 이미 연구가 좀 되었을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