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때문에 무시했다가 저자 프로필을 보고 자세를 바로잡았다. 모토무라 료지의 <천하무적 세계사>(사람과나무사이). 원제도 그럴리는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세계사책들이 워낙에 많이 쏟아지기에 ‘수‘를 부린 게 아닌가 싶다(일본의 학원강사가 썼다는 베스트셀러 류들).

저자는 일본 도쿄대 명예교수로 일본에서는 고대 로마사 권위자다. 국내에는 앞서 <처음 읽는 로마사>(교유서가)와 <로마인의 사랑과 성>(이지북)이 소개된 바 있다(<로마인의 사랑과 성>은 절판되어서 중고로 주문했다). <처음 읽는 로마사>는 <로마의 일인자> 시리즈의 입문서로 번역된 책.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교양의 두 축으로 ‘고전‘과 ‘세계사‘를 들고 있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 사실 내가 하는 일이 세계문학의 고전들을 세계문학사적 시각에서 읽고 강의하는 것이니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하여 매우 요긴한 책으로 널리 읽힐 만한데 제목이 좀 우스꽝스럽다. ‘천하무적‘이 들어간 제목의 책까지 읽게 될 줄은 몰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시적이지만 일상의 루틴을 바꿔서 점심을 먹고 카페에 나가 책을 보고 다른 일정이 없으면 귀가해서 저녁을 먹는다(식대를 줄이는 효과?). 점심을 차려서 먹기 전에 오늘 배송 예고된 책 가운데 하나에 대해 적는다. 심리학자 제롬 케이건의 <무엇이 인간을 만드는가>(책세상).

앞서 두권의 책이 소개돠 있기에 구면의 저자이지만 내게는 <무엇이 인간을 만드는가>가 첫책이다. 부제는 ‘인간을 완성시키는 12가지 요소‘. 저자는 하버드대학 심리학과의 석좌교수로 발달심리학의 권위자. 책소개는 이렇다.

˝무엇이 인간을 이토록 발달시켜 왔을까?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우리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까? 칼 융과 파블로프의 뒤를 잇는 현존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자, 제롬 케이건이 이 질문에 대해 답하며, 그간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의 모순을 지적하고, 60년간 인간 발달에 관해 연구해오면서 느끼고 생각한 인간을 완성시키는 12가지 요소에 대해 분석한다.˝ 

맥락은 조금 다르지만 교양소설(형성소설)과 관련해 ‘경험‘과 ‘교육‘의 의미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연장선상에서 심리학의 설명에도 귀를 기울이게 된다. 새로운 통찰을 읽게 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만으로는 모호한데 ‘전세계 선사시대 통사‘로 분류되는 책이다. 독일의 고고학자 헤르만 파르칭거의 <인류는 어떻게 역사 되었는가>(글항아리). ‘사냥, 도살, 도축 이후 문자 발명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역사‘가 부제다. 소개는 이렇다.

˝세계적 권위의 고고학자 헤르만 파르칭거가 쓴 전 세계 선사시대 통사다. 국내엔 낯선 이름이지만 고고학자로는 최초로 독일 라이프니츠 상을 수상한 헤르만 파르칭거는 고고학의 초국가적 협력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학술적 성과를 대중에게 소개해온 것을 인정받아 로이힐린 상을 받기도 했다. 그의 평생의 공력을 한 권에 집약한 것이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원제 <프로메테우스의 아이들>)다.˝

제목이 원제와 다르다고 하니 추정해보게 되는데, ‘인류는 어떻게 역사시대로 넘어오게 되었나‘ 정도의 뜻이지 싶다. 문자에 의한 기록을 분기점으로 선사(역사 이전)와 역사를 나누지만 ‘선사시대 통사‘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역사란 말을 확장적 의미로 쓰기도 한다. 넓은 의미의 역사=선사+좁은 의미의 역사. 아무려나 선사시대에 관한 표준적인 견해가 어떤 것인지 확인해볼 수 있겠다.

이 좁은 의미의 역사를 다르게는 문명사라고도 부르는데 중국의 역사학자 쑹룽지의 <신세계사>(흐름출판)이 새롭게 다루고자 하는 역사의 범위다. 전3권가운데 1권이 얼마전에 나왔다. 새롭고 과감한 스토리텔링을 보여준다고 해서 구입해놓고 초빈부밖에 읽지 못했는데, 최재천 교수에 따르면 ˝이 책은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와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합쳐 놓은 것과 같다.˝ 과연 그런지는 읽어봐야 알겠다.

역사시대로 넘어오지 않고 선사시대를 더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고고학과 함께 요즘은 유전학에서 다룬다. 하버드대학교 유전학과의 데이비드 라이크가 쓴 <믹스처>(동녘사이어스)가 그 사례다(이 주제의 책이 몇권 더 있다). ˝인류의 기원과 차별의 역사를 유전학으로 밝혀내는 놀라운 여정과,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학자로서 저자가 인류에게 던지는 감동적인 메시지를 고스란히 담은 보기 드문 역작˝이라는 소개.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추천사가 핵심을 짚어준다. ˝인간의 기원만큼 마음을 사로잡는 주제도 없다. 우리의 기원을 알고 싶은 당신에게 이 책은 가장 최신의 정보를 알려줄 것이다.˝

따져보니 고고학 분야의 책들을 읽어본 게 몇년 전이다. 업데이트의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학자이자 여성주의 철학자 강남순 교수의 신작이 나왔다. <페미니즘 앞에 선 그대에게>(한길사). ‘21세기 페미니즘에 대한 7가지 질문‘이 부제다. 제목과 부제에서 책의 관심사와 겨냥하는 독자층을 어림할 수 있다.

앞서 펴낸 책들 가운데서는 종교와 페미니즘을 다룬 책들이 눈길을 끈다. 소장하고 있는 책은 댓권이 넘지만 책장에서는 <젠더와 종교>(동녘)를 빼냈다. <페미니즘과 기독교>도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다른 주제의 책들도 썼지만 내게 저자는 ‘페미니즘과 종교‘라는 주제로 특화돼 있다. 이 분야, 혹은 주제와 관련해서 가장 심도있는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저자라는 뜻이다.

<젠더와 종교>만 하더라도 부제가 ‘페미니즘을 통한 종교의 재구성‘이다. 저자의 관심과 문제의식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다. 거기서 더 나아가 ‘페미니즘을 통한 삶의 재구성‘을 기도하려는 것이 <페미니즘 앞에 선 그대에게>의 취지로 보인다.

궁금한 것은 저자의 문제의식에 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비판도 포함되어 있는지다.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이제 페미니즘이 맞닿아 있지 않은 영역은 없다. 페미니즘은 인간사의 모든 결을 다루는 운동이며 이론이기 때문이다˝라는 단언대로라면, 인간사의 모든 문제, 아니 핵심문제에 대한 진단과 인식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과연 그러한가를 확인해보려고 한다.

일정이 연기된 상태지만 내달부터는 버지니아 울프를 필두로 한 여성문학 강의도 앞두고 있어서 일련의 페미니즘 책들을 독서목록에 포함시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풍오장원 2020-03-11 15: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유시장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 변모한 페미니즘을 보면서 계급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됩니다(실천적으로도 윤리적으로도)..

로쟈 2020-03-11 21:19   좋아요 1 | URL
계급에 대한 고려가 빠진다면 오히려 은폐한다는 혐의를 받을 수밖에 없지요..
 

미국의 논픽션 작가 마이클 돕스의 ‘냉전 3부작‘이 완간되었다. 재작년 6월에, <1945>(모던아카이브)가 출간된 데 이어서 작년 6월에 쿠바 미사일 위기를 다룬 <1962>가 출간되었고 이번에(예상보다 일찍) 공산주의 붕괴와 소련 해체 과정을 기록한 <1991>이 나온 것. 전후 세계사의 주요 연도를 자세히 복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2021년 내년이면 30주기가 되는 1991년 12월 25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해체 선언으로 한때 미국과 함께 세계의 운명을 좌우한 소련 제국이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이 주제를 장기간 취재한 독보적 언론인 출신 작가 마이클 돕스는 근현대사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라고 할만한 공산주의 붕괴와 소련 해체가 진행된 12년을 672쪽 분량의 <1991>에 담았다.

<1945>, <1962>에 이은 ‘냉전 3부작‘ 완간작이기도 한 이 책에서 저자는 소련의 베트남전이 된 1979년 아프간 침공을 시작으로 보수파의 1991년 8월 쿠데타에 이은 고르바초프의 소련 해체 선언까지 제국에 균열을 일으킨 일련의 사건들을 인물의 특징과 맥락, 짧지만 의미심장한 대화와 역사적 평가를 적시 적소에 배치해서 깊이 있으면서도 흥미진진한 또 하나의 역작을 냈다.˝

분류하자면 ‘역사 다큐‘에 해당되지 않을까. 나로선 <1991>만 구입하면 되는데(확인해보니 <1991>의 원서는 일찌감치 구입했다) 재정상태를 고려하면 여름 독서거리로 삼아야겠다. 하기야 분량을 고려해도 이 3부작을 읽으려면 한 계절이 필요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