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을 교체하고서야 핸드폰은 정상으로 돌아왔다. 핸드폰을 오래 써서 그렇다는데 다행히 기기에는 이상이 없어서 당분간은 더 쓰게 될 것 같다. 독일여행의 여독이 남은 탓인지 비가 오락가락하는 금요일을 요양 모드로 보냈다. 그렇다고 손을 아주 놓은 건 아니어서 ‘당신이 없는 사이에‘ 나온 책들을 가늠하고 필요한 책은 주문했다. 원서들도 주문하거나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는데 미국 정치학자 버트럼 그로스의 <친절한 파시즘>(현암사)도 그 중 하나다.

파시즘의 출처는 독일이지만 ‘친절한 파시즘‘이란 용어로 저자가 겨냥하는 것은 미국이다. ‘민주주의적 폭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가 부제이고, 원서의 부제는 ‘미국에서 새로운 권력의 얼굴‘이다. ˝미국 정부 관료 출신의 정치학자인 버트럼 그로스(1912~1997)는 이 책을 통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거대기업과 거대정부가 점점 더 강하게 결탁하며 등장할 이른바 ‘친절한 파시즘’이 조용히, 교묘하게 시민적 자유와 권리를 박탈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1980년에 나온 책이지만 마치 한 세대 뒤를 예언이라도 한 것처럼 현재의 미국사회와 세계정치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친절한 파시즘이라는 유령은 우리에게도 기시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지?

˝1980년에 초판이 출간된 이 책은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날 파시즘적 경향을 도발적이며 독창적으로 분석해냈다고 평가된다. 특히 2016년 말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위협이 도래할 미래를 정확히 예견한 분석으로 재조명되며 새로운 고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노엄 촘스키, 마이클 무어 등 여러 진보적 지식인들은 미국이 국제정치 무대에서 도발할 때마다 이 책과 “친절한 파시즘”이라는 용어를 소환하고 있다.˝

파시즘이라는 주제와 관련한 기본서는 케빈 패스모어의 <파시즘>(교유서가)과 로버트 팩스턴의 <파시즘>(교양인)이다. 팩스턴 책의 원제는 ‘파시즘의 해부‘인데, 말 그대로 ‘파시즘의 모든 것‘을 알려준다. <친절한 파시즘>을 그 옆에 꽂아두어도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스코프스키 2018-10-27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념서는 책세상에서 출간한 ‘파시즘‘도 있는데 이 도서랑 목록의 교우서가 도서랑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당돌하고 광범위하게 느낄 수 있는 질문 좋고 갑니다...

로쟈 2018-10-27 21:13   좋아요 0 | URL
책세상판은 국내 전공자가 쓴 책이고요, 교유서가판은 옥스포드대학판 ‘아주 짧은 입문서‘ 시리즈의 책입니다.
 

식구들 중 가장 늦게 일어나 아침을 먹으며 새로나온 책들을 둘러보다가 <황인숙인 끄집어낸 고종석의 속엣말>(삼인)을 자세히 훑어보았다. 고종석의 독자라면 '인숙낭자'를 기억할 텐데, 바로 절친인 황인숙 시인이다. 두 사람이 나눈 대화가 책으로 묶였다. 



"세상에 척진 것도 모난 것도 없는 '고양이 시인' 황인숙과 세상에 까탈스럽고 문제 많은 고종석은 동년배에 성별을 넘어선 삼십년지기다. 맨 무릎을 맞대고 앉은 채 뇌출혈 후유증 이야기와 담배 끊으라는 잔소리가 오가고, 어린 시절 소년잡지 이야기에 순간 그 시절로 함께 돌아가는 영락없는 절친이다. 같은 시대를 살아온 두 사람의 자잘한 일상과 관심사를 따라가다 보면 편안한 친구들의 평범한 수다를 듣는 것 같다."


밑줄긋기를 읽다 보니 그간에 뇌출혈로 큰 수술을 받고 회복중이라 한다. 언젠가 들은 듯싶기도 하다. 알려진 대로 고종석은 트위터리언으로도 이름을 날렸고 많은 안티(적)를 만들기도 했다. 인숙 낭자의 질문과그에 답하는 대목도 눈길을 끈다. 


황인숙: 윤필이는 네가 정치적 포부로 그리는 그림이 보석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 것 같아. 네가 펼치고자 하는 정치 프로그램이 획기적으로 가치 있는 것일지 모른다고 궁금해 했어. 자꾸 망상, 망상, 그러지 마. 그저 돈이 없어서 망상이 되고 만 빛나는 신념이 세상엔 얼마나 많을까. 그때 진지하게 편들어 주지 못해서 미안해. 우리는 자꾸 농담으로 돌리려 했지…. 

너는 아마 트위터로 가장 크게 망한 사람일 거야. ‘망한’을 ‘망가진’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꽤 될 거야. 숱한 적을 만들고 친구도 여럿 잃었지. 트럼프도 망 트위터리언의 하나인데, 그에게는 지지 댓글도 많을 거야. 나는 네 트위터 글에 구십 분 동의했는데, 나 같은 사람도 적지 않을 거라고 짐작해. 그런데 네겐 악플만 벌떼처럼 따라다녔지. 그 차이는 트럼프에게는 있고 고종석에게는 없는 것, ‘권력’이 만든 거라고 생각해. 상처 많이 받았지? 


 

고종석: 상처를 아예 안 받았다면 거짓말이겠지만, 네가 생각하는 정도는 아닐 거야. 나는 소셜미디어에다 글을 쓸 때 논쟁을 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내게 시비 거는 사람들을 무시해 버리는 스타일이니까. 내가 그렇게 적을 많이 만든 것은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정직함 때문이기도 했어. 예컨대 이런 거야. 몇 년 전 신영복 선생이 돌아가셨을 때였어. 나는 그 때 트위터에 ‘선생을 20년 이상 가둬놓은 파시스트들을 결코 용서할 수 없지만, 내가 선생의 책에서 배운 것은 거의 없다.’고 썼거든. 정확한 워딩인지는 기억이 안 나지만 암튼 그런 요지의 글을 썼어. 그와 동시에 내 댓글창이 소위 ‘깨어있는 시민’들과 자칭 ‘좌파’들의 욕설로 난리가 났지. 그렇지만 나는 그 말을 후회하지 않아. 나는 신영복 선생의 책을 다 읽어봤는데, 그냥 세속의 지혜를 단편적으로 모아놓은 거야. 시인 류시화 씨의 번역서나 라즈니쉬의 책이 그렇듯. 사실 그 책들만 못하지. 신영복 선생에 대한 그 트윗 때문에, 당시에 경향신문 지면에 연재하던 〈고종석의 편지〉에서 신영복 선생 비판이 다루어지게 될까 봐 경향신문 편집진은 즉시 〈고종석의 편지〉를 중단해 버렸지. 사실 내가 그 비판을 예고하기도 했고. 심지어 신영복 선생께 보내는 편지를 탈고하기까지 했는데, 마감 직전에 경향이 나를 필자에서 자르더군.



아마도 못 부친 편지까지 포함해 <고종석의 편지>도 책으로 묶여 나오지 않을까 싶다. 황인숙 시인도 올해 현대문학상을 수상한 시 '간발'을 포함한 새 시집을 나올 만한다. 검색해보니 <꽃사과 꽃이 피었다>(문학세계사)라는 시선집도 2013년에 나왔었다. 못 들어본 꽃소식이다. 뭐, 시집이 나온다고 내게 통지가 오는 건 아니니...


18. 09,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의 사회사상가이자(실증주의의 창시자 콩트의 스승이라고) 공상적 사회주의자 생시몽의 <새로운 그리스도교>(좁쌀한알)가 번역돼 나왔다. 팜플렛 분량인데, 제목에 이끌려 일단 주문했다. 2차문헌에서만 보던 생시몽의 원저작이라는 점도 관심을 갖게 한다.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자 생시몽은 사회의 역사가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규정한 최초의 사회 사상가이다. 그러나 그는 피의 혁명을 원하지는 않았다. 그 대신 폭력 혁명을 막고 더 진보된 사회로 나아갈 방안을 제시한다. 그것은 그리스도교 정신이다. 제도화된 종교의 틀에 막힌 가톨릭과 개신교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순수한 그리스도교 정신의 회복을 강조하며, 이로써 세상을 바꿀 것을 제안한다.˝

주문한 김에 생시몽의 또다른 저작으로 <루이 14세와 베르사유 궁정>(나남)도 같이 주문했는데(루이 14세에 관한 다른 책과 함께) 번역본 두 종은 방대한 회고록의 발췌본과 그 축약본이다. 발췌본이 750쪽에 이르니 회고록이 얼마나 방대한지 알 수 있다. 하지만 그조차도 너무 두껍다고 생각되는 독자라면 350쪽 분량의 축약본을 선택해도 좋겠다. 두 판본 간이 차이가 궁금해서 나처럼 둘다 주문하는 독자도 물론 없지는 않겠지만...

P.S. 착오가 있었다. 알라딘에서는 같은 저자로 잘못 입력돼 있는데 <새로운 그리스도교>(1825)의 저자는 사회사상가로 철학사전에 등장하는 클로드 생시몽(1760-1825)이고, <루이 14세와 베르사유 궁정>의 저자는 작가이자 정치가로 그보다 앞선 시대에 살았던 루이 드 루브루아 생시몽(1675-1755)이다. 루이 14세 시대에 대한 회고록의 저자로 유명하며 불문학사에 등장하는 이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HALOFF 2018-09-18 0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서 착오가 있는 듯한데, 전자는 생시몽 백작이고, 후자는 생시몽 공작이라 서로 다른 사람입니다.

로쟈 2018-09-18 07:20   좋아요 0 | URL
그렇네요, 두 명이네요!
 

두 권의 제목이 그렇다. 주디스 버틀러의 <위태로운 삶>(필로소픽)과 알랭 바디우의 <참된 삶>(글항아리). <위태로운 삶>은 앞서 <불확실한 삶>(경성대출판부)으로 번역돼 나왔었다. 이번에 나온 건 새 번역판. ‘애도의 힘과 폭력‘이 부제이고 원저는 2006년에 나왔다.

˝폭력과 혐오가 국경을 넘나드는 지금, 저자는 인간의 생명이 얼마나 쉽게 파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 즉 삶의 취약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비폭력적 윤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저자는 레비나스의 타자와 얼굴 개념을 통해, 의미의 사각지대에 갇힌 인간이 어떻게 통치와 권력에 의해 공적 담론의 장에서 얼굴을 박탈당하고 권리 없는 생명이 되는지, 그리하여 어떻게 우리가 뿌리 뽑힌 그들의 삶 앞에서 애도가능성을 무기한 연기하고 무감각해지게 되는지 고찰한다.˝

한편 바디우의 책은 원저가 2016년에 나왔고 나는 지난해에 나온 영어판을 갖고 있다. 한국어판도 빨리 나온 셈. 3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들은 바디우가 프랑스 및 벨기에와 그리스 등지의 고등학교나 교육기관 등에서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과 그의 세미나를 계기로 실시된 강연들을 토대로 한다. 일종의 젊음에 관한 강의록 묶음인 셈이다.˝

강의가 이루어진 건 2015년이니 바디우가 일흔아홉일 때다(바디우는 1937년생인데 강의에서 나이를 그렇게 밝힌다). 지금은 여든을 넘긴 나이이고, 게오르크 가다머 같은 장수 철학자의 사례가 있지만 강연과 저술이 얼마나 더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젊은 세대에게 전하는 노 철학자의 ‘마지막‘ 조언으로서도 의미가 있지 않나 한다. 그 젊은 축에 속하는 건 아니지만 영어본도 구해놓은 김에 나도 읽어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도시는? 사랑의 도시는? 묻는다면 어디를 댈 것인가? 런던과 파리라고 하면 바로 맞히지는 못하더라도 대략 수긍할 수 있겠다. 두 도시를 한꺼번에 다룬 것은 아니고 각각 다룬 책이 나왔다. 엘로이즈 밀러의 <문학의 도시, 런던>(올댓북스)과 데이비드 다우니의 <로맨틱, 파리>(올댓북스)다.

원서도 시리즈인지는 모르겠는데(확인해봐야겠다) 번역본은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것으로 보아 기획된 것 같다. 당장은 아니지만 내년쯤에 런던, 그리고 후년쯤에 파리를 문학기행차 방문해볼 생각도 있기에 두 권 모두 눈에 띄는 대로 주문했다(<런던>은 이미 구입한 책이고 <파리>는 오늘 주문). 파리 여행기 혹은 체류기는 적잖게 나와 있어서 <로맨틱, 파리>가 어떤 특장이 있는지 궁금하다. 파리 여행의 경험이 있는 독자라면 더 흥미롭겠다. 이왕 시리즈로 나온다면 <모스크바> 같은 책도 더해졌으면 싶다.

오늘 아침에 펴본 책인데 ‘유럽여행 마니아‘ 정여울의 <내성적인 여행자>(해냄)도 유럽 여행의 길잡이가 될 만한 책. 다음달에 찾아보게 될 독일의 도시들에 대한 방문기부터 나로선 눈길을 주게 된다. 저자가 제일 먼저 소개하는 건 뉘른베르크인데, 여정에는 들어 있지 않지만, 혹 도로 표지라도 보게 될지 어찌 알겠는가. 아, 초등학생 때 읽은 <뉘른베르크의 난로>라는 동화도 기억나는군. 난로와 같이 연상되는 유일한 도시가 뉘른베르크라니, 동화는 힘이 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뒷북소녀 2018-09-12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스크바 원해요

로쟈 2018-09-12 07:47   좋아요 0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