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우리의 비참함을 구제하는 법

9년 전에 올린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일 배송된다는 책 중의 하나는 미셸 푸코의 <육체의 고백>(나남)이다. ‘성의 역사‘ 시리즈의 4권인데, 3부작으로만 알고 있던 터라 다소 놀라기도 했다(그러고 보니 푸코를 읽은 지 오래 됐다). 불어판도 작년에야 나왔고 영어판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푸코는 <육체의 고백>에서 4~5세기 초기 기독교 윤리가 오늘날 서양인의 삶과 생활방식, 삶의 태도와 주체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근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그는 <성의 역사>를 계획한 동기가 <육체의 고백>을 쓰기 위해서라고 말했을 만큼 이 책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했다. 이 책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본성과 현재의 삶에 대한 푸코의 문제의식과 빛나는 통찰력은 많은 시간이 흘러도 변함이 없을 것이다.˝

사실 <성의 역사>도 읽다만 책이라서 전체적으로는 독서의 견적을 다시 내봐야 한다. 1권과 다른 권들 사이의 단절 문제까지가 내가 알고 있는 <성의 역사>의 문제성인데 구체적으로 어떤 쟁점들이 있는지는 다시 봐야 한다. 성의 역사나 육체의 고백, 어느 쪽으로 불리건 이 주제의 책들을 다시 뽑아봐야겠다. 강의에서 다룰 수 있을지도 검토해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나 사상가의 평전류는 언제나 관심대상인데 이번주에 나온 책으로는 단연 칼 폴라니 평전이 주목거리다. 개러스 데일의 <칼 폴라니: 왼편의 삶>(마농지). 폴라니 번역과 사상 전파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홍기빈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이 감수와 해제를 맡았다.

˝유대계 망명 지식인으로서 격변의 시대와 상호작용하며 인격과 사상을 직조해나간 폴라니의 여정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다. ‘왼편의 삶’이라는 부제가 시사하듯, 그것은 유연하면서도 굳건한 사회주의자의 일관된 삶이었다. 또한 특정한 사상에 얽매이는 대신 자신의 내면적 도덕에 근거해 당대의 여러 지적, 사상적 실험과 적극적으로 응전한 역동적 지식인의 길이었다.˝

저자는 서두에서 칼 폴라니와 마이클 폴라니 형제, 그리고 이들의 친구 루카치와 만하임을 묶어서 ‘헝가리 망명자 4인조‘라고 부르는데 평전은 그들이 살았던 시대에 대한 조감도로서도 의미가 있을 듯싶다.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 대한 나의 관심은 순전히 이들 지성을 낳은 지적 문화적 토양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한다. 비록 동유럽문학기행이 현재로선 보류된 상태이지만 헝가리의 극우정권이 언젠가 교체된다면 다시 기획해보려고 한다. 루카치와 만하임 뿐만 아니라 폴라니 형제에도 관심을 갖게 해주는 책이 이번 평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올의 마가복음 강해>와 함께 고전 주해본으로 눈길을 끄는 책은 리링의 <노자>(글항아리)다. ‘실증적 <노자> 읽기‘가 부제. 이미 공자와 <논어>에 대한 탁견을 보여준 저자이기에 <노자>에 대해서도 기대를 갖게 한다. <노자>에 대해서 출발점이 되는 표준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덕분에 꽤 오랫동안 손에서 놓았던 <노자>에 대해서도 다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오래전 도올의 <노자와 21세기>와 강신주의 <노자> 이후가 아닌가 한다. 동양고전에 대해서는 한비자와 (리링 덕분에) 공자에 관심을 두었던 것이 내가 기억하는 마지막이다.

제자백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순환하는데 당장은 노자와 묵자에 대해서 읽으려 한다(묵자만 하더라도 다수의 책이 나와 있다. 노자는 말할 것도 없고). <예수와 묵자>도 생각이 나서 주문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지 2019-11-09 19: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동양사상까지.~ 노자?, 로쟈? 감기의 계절입니다. 물리치세요.

로쟈 2019-11-10 09:43   좋아요 0 | URL
동양고전에 대한 서평도 종종 써왔어요.~
 

도올 선생의 성서 강해 시리즈로 요한복음과 로마서 강해에 이어서 마가복음 강해가 출간되었다. <도올의 마가복음 강해>(통나무). 전작들이 모두 주목의 가치가 있지만 복음서의 원형에 해당하는 마가복음에 대한 진지한 첫 독서가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을 높이 사고 싶다.

˝50여 년간 고전학을 연마해온 도올 김용옥이 그의 생애에서 가장 오랜 기간 집필한 노작이며, 그만큼 방대한 레퍼런스와˝ 사유의 다양성이 통섭된 역작이다. 마가복음은 모든 복음서양식의 원형이며, 4복음서 중에서 가장 먼저 쓰여진 것이다. “먼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복음서라는 문학 장르를 최초로 만들어낸 마가의 “창조적 긴장감”이 중요한 것이다. 저자는 마가복음은 “오로지 마가로만” 읽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그러면서도 그 해석과정에서 인류의 모든 사유양식들을 종합하고 있다. 이 책은 도올의 철학적 사유를 총체적으로 압축시킨, 인류사상계에 새로운 동서융합의 지평을 제시하는 기념비적 저술이다.˝

마지막 문장은 독자가 판단할 일이겠으나, 신간 덕분에 민중신학과 해방신학의 핵심을 납득할 수 있게 되었다. 민중혁명의 기원과 구조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러시아혁명에 대한 이해가 그와 다르지 않다). 가당찮은 기독교인들이 더럽히고 있는 기독교 복음의 시원적 의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도올의 마가복음 강해>를 거쳐서 지젝의 <예수는 괴물이다>(마티)로 넘어가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