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94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멜빌의 <모비딕>(1851)에 대해서 적었는데, 예전에 이슈메일과 퀴퀘그의 우정에 대해서 한 차례 쓴 적이 있고 그 후속편에 해당한다. 원고에는 (번역본들에 따라) 에이해브라고 적었는데, 지면에는 특히하게도 '에이하브'라고 나갔다. 이유는 알지 못하겠다...


 














주간경향(20. 09. 14) 마침내 침몰한 피쿼드호는 어떤 국가일까


토머스 홉스가 국가라는 시민공동체를 거대한 바다괴물 ‘리바이어던’에 비유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멜빌이 <모비 딕>의 서두에 놓인 발췌록에서 홉스의 말을 인용한 것은 거대한 고래가 리바이어던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겠다. 그렇다고 흰고래 모비 딕이 ‘국가’를 상징하지는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작품에서는 에이하브 선장의 ‘피쿼드’호가 국가를 연상하게 한다. <모비 딕>이 고래와 포경업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 고래학 책이면서 동시에 국가론으로 읽힐 수 있는 이유다.


국가론이라면 으레 이상적인 국가체제를 탐색하지만 때로는 반면교사를 제시한다. 복수의 일념으로 모비 딕을 뒤쫓은 피쿼드호가 마침내 침몰하면서 끝나는 결말을 고려하면 이 경우는 반면교사에 해당한다. 피쿼드호는 어떤 국가였던가 따져보자. 먼저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에이하브 선장이 있다. 성경에 나오는 이름으로는 ‘아합’이다. 기록에 따르면 고대 이스라엘의 왕들 가운데 악한 짓을 가장 많이 저지른 왕이다. ‘사악한 이름’을 갖고 있다고 해도 나름대로 인간미 있는 사람이라고 처음에 소개된다.



일등 항해사 스타벅에게 토로하는 바에 따르면, 에이하브는 열여덟 살에 처음 작살을 잡고서 40년의 시간을 바다에서 보냈다. 그 가운데 육지에서 지낸 날은 3년도 되지 않는다. 쉰 살이 넘어서 아내와 자식을 얻었지만 공연히 가엾은 처녀를 생과부로 만들었다고 탄식한다. 그렇지만 그는 자신의 다리 한쪽을 앗아간 고래에 대한 추적을 멈추지 않는다. 그의 집념과 결연한 의지는 출항 이후 뒷갑판에 선원들을 모아놓고 하는 연설에 잘 드러난다. 그는 흰고래에게서 “헤아릴 수 없는 악의”를 보며 그에 맞서고자 한다. “태양이 나를 모욕할 수 있다면 나는 태양이라도 공격하겠어”라고 그는 말한다. 에이하브의 자아는 신적인 자아, 신과 대등한 자아로 격상돼 있다.

에이하브에게는 조력자로 스타벅을 포함해 세 명의 항해사가 있고 그들에게는 각각 종자가 따른다. 일반 선원들은 항해사의 지휘를 받고, 항해사들은 다시 에이하브에게 복종하기에 피쿼드호는 마치 에이하브의 지체처럼 움직인다. 복수에 대한 에이하브의 광기를 납득하지 못한 스타벅이 흰고래가 고작 “말 못 하는 짐승”일 뿐이라고 항변하지만 에이하브의 고집을 꺾지는 못한다. 그리하여 항해사를 포함한 모든 선원은 에이하브의 의지에 복속된 노예적 존재로 전락한다. 국가에 비유하자면 피쿼드호는 민주정이 아닌 참주정 국가에 가깝다. 문제는 에이하브의 독단과 광기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는 데 있다. 모비 딕과의 격렬한 추격전 끝에 결국 피쿼드호는 박살이 나서 가라앉고 에이하브와 선원들은 수장되는 운명에 처한다.

피쿼드호의 난파에서 단 한 명만이 구조되는데 또 다른 주인공이자 화자인 이슈메일이다. 이슈메일이 구조될 수 있었던 건 식인부족 출신의 작살잡이 퀴퀘그가 미리 짜놓은 관을 구명부표로 이용한 덕분이었다. 중요한 것은 에이하브와 이슈메일의 대립이 아니다. <모비 딕>에서 핵심적인 대비는 두 개인 간의 대비가 아니라 두 가지 인간관계의 대비다. 즉 한쪽에는 수직적 관계로서 에이하브와 스타벅이 있고, 다른 쪽에는 수평적 관계로서 이슈메일과 퀴퀘그가 있다. 이 두 유형의 관계는 국가를 구성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서 비교된다. 어떤 인간관계를 근간으로 국가를 구성할 것인가. 국가론으로서 <모비 딕>을 읽으며 음미해야 할 주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희망은 무산계급에만 있다”

8년 전에 쓴 리뷰다. <문학에 빠져죽지 않기>에 수록돼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름이 바로 입에 익지는 않는다. 미국의 작가이자 선구적인 페미니즘 이론가 샬럿 퍼킨스 길먼(1860-1935). 대표작 중의 하나인 <허랜드>(1915)가 '에디션F' 시리즈로 다시 번역돼 나왔다. 

















봄에는 아르테판도 나왔기에 졸지에 선택지가 늘었다(<여자만의 나라>로 번역된 책들은 절판됐다). 몇년 전 강의 때는 아고라판으로 읽었었다. <허랜드>는 제목이 시사하듯, '여자들만의 나라'를 그린 유토피아 소설. 그렇지만 저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반유토피아 소설로도 읽힌다(모든 유토피아 문학의 숙명이다). 

















길먼의 작품으로는 <내가 깨어났을 때>와 함께 단편 '누런 벽지'를 더 꼽을 수 있는데, 대표 단편으로 유명한 '누런 벽지'가 새로 나온 단편집 <엄마 실격>(민음사)에 실려 있다. 이 역시 예전 강의 때는 <필경사 바틀비>(창비)에 실린 것으로 읽었었다. 


길먼은 세대로 보면 한국의 1세대 페미니스트 작가들(나혜석, 김명순, 김일엽 등. 모두 1896년생이다)보다 한 세대 정도 앞선다. 페미니즘과 여성문학을 강의에서 다루면서 지난주에는 나혜석을 읽었고, 그와 관련하여 논문자료들을 살펴보았다. 덕분에 1910년대와 20년대 한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었다. 
















나혜석은 두 종의 전집이 이미 나와 있는 상태다. 다만 두께 때문에 일반 독자가 접근하기엔 마땅치 않고, 그에 따라 선집들이 나오고 있는데, <나혜석, 글쓰는 여자의 탄생>(민음사)에 이어서 <나혜석의 말>(이다북스)이 최근에 나왔다. 대표 단편 '경희'(1918) 등이 <나혜석의 말>에는 빠져 있는 게 차이(다만 가독성은 좀더 높였다. '이혼고백장'을 '이혼고백서'로 옮기는 식으로). 
















알라딘에서 검색되는 바로는 대략 2000년 전후로 나혜성과 신여성이 새로운 조명을 받는다. 

















나혜석학회도 창립되고 관련서들이 많이 나왔는데, 최근까지도 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그만큼 많이 읽히는지는 모르겠다).
















신여성에 관한 책들도 많이 나와 있고(미술전시회도 열렸었다) 지난주에는 임옥희 <메트로폴리스의 불온한 신여성들>(여이연)이 추가되었다. '신여성' 현상과 담론을 국제적인 시야에서 보게끔 해준다. 한국의 신여성 역시도 일본과 중국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사회문화적 유행의 일부였다. 
















당장은 미국판 신여성 '플래퍼'(국내에서는 '아가씨'나 '말광량이'로 번역되었다)에 대한 책이라도 소개되면 좋겠다(피츠제럴드의 단편집 <플래퍼와 철학자들>의 배경으로라도). 최근에 나온 책으로는 로런 엘킨의 <도시를 걷는 여자들>(반비)이 참고할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페라로 더 유명한 <세비야의 이발사>와 <피카로의 결혼>의 원작이 다시 번역돼 나왔다. 익숙한 작품이고 작가가 보마르셰라는 것도 알지만, 문학작품으로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 프랑스 극작가 보마르셰(풀네임은 피에르-오귀스탱 카롱 드 보마르셰, 1732-1799). 18세기 극작가라는 것도 이번에 주목하게 되었고, 언젠가 18세기 프랑스문학(혹은 18세기 유럽문학) 강의에서 다뤄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18세기는 영소설 정도가 관심사였는데, 프랑스 극문학도 다룸직하겠다. 소개된 작품들을 체크해봐야겠다). 
















이번에 나온 건 도서출판b의 세계문학판인데, '피가로 3부작' 가운데, 잘 알려진 두 작품이 먼저 나왔고 <죄지은 어머니>는 근간이다. 알고 보니 '피가로 3부작'이 통권으로 이미 나와 있기도 하다. 
















3부작 가운데서는 <피가로의 결혼>이 더 많이 눈에 띄고, <죄지은 어머니>는 지만지판이 나와 있다. 도서출판b이 추가되면 경북대판과 경합할 수 있겠다. 


로시니와 모차르트 오페라 원작자로 유명하지만, 보마르셰는 한편으로 프랑스 혁명정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고 한다. 문학강의에서라도 당연히 그런 면에 주목하게 되겠다. 17세기 고전주의 극과 대별되는 의의이기도 하다. 

















한차례 페이어로 다룬 적이 있지만 b판 세계문학에서 기다리는 건 '인간의 예술의 깊이' 시리즈다. <발자크와 스탕달><괴테와 톨스토이> 두 권이 나왔는데, 올해는 어떤 책이 나올지 기다리는 중이다. 세계문학 독자들에겐 유익한 평론들이어서다. 시리즈가 이어지기 위해서라도 좀더 많이 읽히면 좋겠다.
















덧붙여, b판 고전도 계속 나오고 있는데, 디드로의 <자연의 해석에 대한 단상들>과 같은 희귀한 저작도 있고, <인간 불평등 기원론> 같은 널리 알려진 작품도 있는데, 이번에 나온 <인간 불평등 기원론>은 학술번역이라고 불러도 될 만큼 부록과 미주가 풍부하고 방대하다. 강의에서는 책세상판을 주로 이용하는데, 대학원생 이상의 독자라면 b판으로 다시 읽어도 좋겠다. 비교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펭귄클래식판이라고 할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4-06 16: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06 23: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07 10: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전출처 : 로쟈 > 신들을 다시 만나는 방법

7년 전의 리뷰다. <모비딕> 강의를 마치고 귀가하는 길이라 더 의미 깊게 여겨진다. <모든 것은 빛난다>는 <모비딕>에 대한 해석으로도 빛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