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부터였지만 이제 본격적으로 가을학기가 시작되었다. 지난주초 제주도에 2박3일 휴가를 다녀온 걸로 여름과의 인연은 정리. 무감하게 가을로 넘어왔고 일정이 많아진 만큼 마음도 분주해졌다(이미 겨울학기와 내년 봄학기 일정까지 짜놓고 있지만). 장기 일정이었던(정확히는 장기화된) 홉스봄 강의 종강을 다시 연기하고, 지난주에 넉달간의 일정을 마무리한 발자크 강의의 뒷말을 대신 적는다. 소감이라기보다는 과제.

‘인간극‘(인간희극)에 속하는 작품만 90편이 넘는 발자크의 작품 전작을 읽는다는 건 애초에 불가능하지만 번역된 작품을 최대한 읽어보자는 취지로 15회에 걸쳐서 발자크의 작품들을 읽었고 미진한 부분들이 없지 않았지만 그래도 마무리지었다(완주에 의미를 둔다는 완독. 언제나 재독의 여지는 남는다). 종강시간에 절판됐거나 미번역된 작품이 나오면 더 보완해서 읽어볼 수 있겠다고 했는데,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 <외제니 그랑데>다. 완역본이 나왔었지만 절판된 상태(지만지판은 발췌본이다).

<시골의사>와 <골동품 진열실>, 그리고 <사촌 베트> 등이 절판돼서 못 다룬 작품들이다. 그리고 <올빼미당>이나 <세자르 비르토>, <창부들의 비참과 영광> 등은 미번역작이다. 언젠가는 20강 이상의 발자크 전작 읽기가 가능하기를 기대해본다.

거기에 개인적인 과제를 더하자면 발자크가 주고받은 영향과 관련하여 발자크와 스탕달, 발자크와 프루스트, 발자크와 도스토옙스키, 발자크와 헨리 제임스, 그리고 발자크와 한국문학 등의 주제를 탐구해봐야 한다(견적만 내놓고 있는 상태).

츠바이크의 평전과 국내학자들의 연구서 서넛 정도가 주요 참고문헌인데 이 또한 많이 확충되면 좋겠다. 구해놓은 관련서들을 읽는 일도 만만하지 않지만 아직은 욕심을 줄일 수 없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카뮈와 카프카

3년 전 페이퍼다. 코로나가 한창이었던 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어둠 속의 웃음소리가 향하는 것

4년 전 리뷰다. 그맘때 나보코프 강의를진행했던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러시아의 대표작가이자 우리에겐 박경리문학상 수상작가로도 친숙한 울리츠카야의 소설이 번역돼 나왔다. 2010년 발표작 <커다란 초록 천막>. 인연이 닿아 추천사를 보탠 작품이다. 
















"작가는 왜 쓰는가. 파스테르나크는 동시대인들에게 진 빚을 갚기 위해 쓴다고 말했다. 혁명의 격동기를 다룬 《닥터 지바고》가 바로 동시대인들에게 바친 헌사였다. 이 헌사의 대열에 《커다란 초록 천막》을 더하고 싶다. 파스테르나크의 바통을 이어받아 울리츠카야는 자기 세대의 삶과 고난의 역사에 대한 면밀하고 감동적인 서사를 완성했다. 이로써 한 세대의 삶이 비로소 온전하게 존재하게 되었다. 울리츠카야는 문학이 여전히 한 시대를 기억하고 증언하는 ‘위대한 천막’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내년 강의계획 중 하나가 러시아 현대문학을 읽는 것인데, 울리츠카야의 작품들도 몇 편 더 포함해서 다뤄볼 참이다. 절판된 <소네치카>가 다시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보코프 번역서가 한권 더 추가되었다('예고 없이'를 덧붙이고 싶다). <프닌>. 1957년작으로 나보코프의 13번째 소설(novel)이자 영어로는 네번째 소설. 영어소설은 <서배스천 나이트의 진짜 인생>(1941), <벤드 시니스터>(1947, 미번역), <롤리타>(1955)에 뒤이은 것이다. 그러니까 <롤리타> 바로 다음 작품이 <프닌>이고 <프닌>에 이어지는 작품이 <창백한 불꽃>(1962)이다. <롤리타>와 <창백한 불꽃> 사이에 놓을 수 있는 작품인 것.
















번역된 나보코프의 작품은 대부분 강의에서 다루었지만, 단편전집 읽기를 포함해 아직 과제가 남아있다. <프닌>도 과제목록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절판된 자서전 <말하라, 기억이여>가 다시 나온다고 하므로, 내년쯤에는 나보코프 전작 읽기도 시도해봄직하다. 그러자면 초기작 <마셴카>(<메리>)나 <루진의 방어> 등도 다시 번역돼 나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