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첫눈에 반했고, 사랑에 빠졌고, 권태기를 겪었고, 버림 받았고,좌절했고, 자살했고( 비록 털어넣은 약이 나중에 비타민제로 밝혀지긴 했지만) , 그리고 그 사람을 잊었다. ... 그리고 다시 처음으로.
눈에 쏘옥- 들어와버리는 첫문장 : 1. 삶에서 낭만적인 영역만큼 운명적 만남을 강하게 갈망하는 영역도 없을 것이다.
운명적인 만남이라, 소시적부터 '소개팅'이나 '미팅', 그리고 나이 먹을만치 먹어서는 '선' 이라는 이름하의 모든 만남을 다 어색해하고, 지루해하고, 괴로워했다. 그러면서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자리에 나가는 것은 처음 한 두번. 아무것도 모를때 대략. 대학교 1학년 1학기때. 그리고나면 점점 ' 역시나' 하는 마음이 점점 커지고, 이제는 집에서 몰릴대로 몰려서, 옷 사러, 혹은 머리 하러, 혹은 백화점 상품권 따위의 떡고물을 기대하며 아주 가아끔 나간다. 그러면서 동시에 아침 출근길 지하철 안에서, 혹은 점심 먹고 들어와서 나른하니 일이 손에 안 잡힐때 운명적 만남을 꿈꾼다. 그러나. 꿈꿀수록, 점점 더 멀어지는 운명적 만남인 것이니.
책 속의 ' 나' 와 클로이처럼 빠리발 런던행 비행기안에서 '우연히' 만나서 ' 첫눈에' 반하고 '사랑에 빠진다' 는 것은 참. 그야말로 책 속에 나오는 말이다. 책 끝까지 읽기 전에는 나름 이번 빠리 여행때 런던으로 유로스타 타고 가려고 했는데, 비행기로 바꿔봐? 궁리하긴 했지만서도,
과거의 몇번의 비행기 여행, 혹은 기차여행, 혹은 버스여행이라도 떠올려볼 때 내 옆에 남자가 앉을 확률, 나와 사랑에 빠질 남자가 앉을 확률( 나'와' 가 아니라 나'만'이라도!) 은 ... 없다고 봐야지. 음. 없다고 봐야지. 맘 편하게. ( 이 순간 나는 벌써 책의 마지막 장의 '금욕주의'를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어쩌다가 극히 미미한 확률로 Mr./Ms. Perfect를 만나게 된다면, '금욕주의' 의 시간이 길었던 만큼 더 빨리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야말로 '사랑' 에 ' 빠져버리는' 것이다. '사랑에 빠지는 일이 이렇게 빨리 일어나는 것은 아마 사랑하고 싶은 마음이 사랑하는 사람에 선행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출현은 누군가를 사랑하고 싶은 [대게는 무의식적인]요구, 사람의 출현에 선행하는 요구의 제 2단계에 불과하다.' 
점점 나 자신을 잃어가고, 그 느낌에 놀라서 상대를 밀어내기도 하지만, 이미 서로간의 화학반응이 일어나버린 두 사람이 떨어지기란 불가능하다.
달리는 호랑이 등에 앉은 것처럼 끝까지 가보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 이상 '사랑'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게 되어버리는 것이다.
'어색한' 순간들마저 다 지나가게 되고, 그/그녀를 가지게 되면, 욕망이 한 순간사그러들게 될지도 모른다. 롤랑 바르트가 그랬댄다. '욕망은 얻을 수 없는 것에 대한 갈망' 이라고.
그 단계를 잘 겪어낸다면,
이제 진정 그/그녀를 '*마시멜로'하게 될 것이다.
* '사랑'은 이미 너무나 많은 손을 거쳤다. '사랑'은 계속되는 사랑 이야기들의 무게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바람에 생긴 켜 때문에 다 닳아버린 것들이었다. 그 어느 때보다 언어가 독창적이고 개인적이고, 완전히 사적이기를 바라는 순간에 마음의 언어의 어쩔 수 없는 공적인 성격과 마주치게 된다. 20세기 말 어느 날 밤 서구의 중국 식당에서 생일을 축하하는 남자와 여자. 연인들의 모습을 하고, '사랑한다'는 닳고 닳은 말을 하기 위해 고민하던 중 그녀 팔꿈치 근처에 있던, 무료로 나오는 작은 마시멜로 접시를 본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는 없지만, 갑자기 나는 클로이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마시멜로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마시멜로가 어쨌길래 그것이 나의 클로이에 대한 감정과 갑자기 일치하게 되었는지 나는 절대 알 수 없겠지만, 그 말은 너무 남용되어 닳고 닳은 사랑이라는 말과는 달리, 나의 마음 상태의 본질을 정확하게 포착하는 것 같았다.
그들은 가장 친한 친구보다도 가장 가까운 가족보다도 더 친밀해진다. 꿈꾸던 사랑이 이루어졌음에 '너무' 행복해져버린다. 그토록 바라던 미래의 가능성이 '현실'이 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불안감. 을 느낄정도로.
'너무 ' 행복해진 다음에는? 무슨일이?

사랑을 과장하고, 의무감에 사랑하고, 사랑을 배신하고, 배신당한 사랑에 좌절하고, 괴로워서 죽을것 같고, 그러나 잊고,
그리고 다시 처음부터...

왜 나는 이 책을 발렌타인데이에 다 읽어버린걸까? 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