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생각하는건데, 이 세상에 널려있는 모든 것이 나로 하여금 '책사기' '책읽기'를 종용하는 듯 하다.
어제는 줄것도 있고, 받을것도 있는 A를 만나러 압구정에 갔다가 그동안 별러오던 매너님 서재에도 자주 등장하던 '풍월당' 에 갔다. 오- 압구정 복판에 이런것이 있었다니. 그 동안 이 동네에서 술집만 전전해오던 나에게는 정말 새로운 경험이었다.
마침 내가 가지고 있는 얼마안되는 CD 중에서, 딱 내가 즐겨 듣는 음악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이 음반을 알게된건 어느 음식점에서였다.
서래마을에 있는 똠볼라라는 이태리 음식점. 맛도 있었고, 분위기도 좋았지만, 이 음반의 음악이 흘러나오고 있었다는 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성악가였던 주인아저씨에게 무슨 음반인지 묻고 집에오자마자 주문했었다.
아무튼, 이 낯익은 음악과 흡사 압구정이 아닌듯한 처음 접하는 분위기가 풍월당과의 첫만남이었다.
고전음악을 들어볼까 마음먹었지만, 왠지 범접하기 힘든 세계 같아서, 곡제목들과 아티스트 이름들만으로도 주눅이 들어서 쉽사리 발 들여놓을 수가 없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긍정적인 기분으로 ( 공부하는 기분으로 말고! ) 쉬엄쉬엄 즐기며 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창문 앞에 길게 있던 탁자와 돌아가는 의자. ( 욕심났던!) 그리고 음악 관련 책들과 브로셔들. 편하게 자리잡고 앉아서 책들을 뒤적이기 시작했다.
마음에 쏙들었던 이 책.

왠지 후까시가 들어가보여, 뒤적일 생각도 안했었지만, 읽어보니, 고전음악문맹인 나에게도 너무 재미있지 않은가?! 재미있는 책도 읽으면서 또 좀더 음악에도 친숙해질 수 있으리라고 생각되니, 집에 돌아와서 알라딘에 주문하기까지의 짧은 시간에도 조급해졌다.
뭐, 이 책 한권만 주문할 수는 없지. 그렇지.



원래 이런책( 이런책이 뭐냐고 한다면, 글쎄. 작고 얇고( 이 책은 그리 얇지는 않지만) 하드커버의 비싼 요즘 일본작가의 책. 이라고 하겠다.) 은 잘 사지 않지만, 이 책의 리뷰들을 보니 좀 많이 궁금해졌다.

코즈니 지하에 인테리어책 사이에서 발견. 꽤나 맘에 들지만, 게으른 내가 과연 할까 싶지만, 한번 뒤적여보기로 마음 먹다.

얼마전에 책 사면서 이 책을 집어들었다. 고등학교때 하루키를 접했던 나로서는 그 동안 꽤나 오랜동안 외면하고 있었는데, 다시 이 일상성의 작가에게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서점에서 책을 집는 그 순간 내게 들었나보다.
해변의 카프카 빼고는 꽤나 오랜만에 읽는 잡문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천천히 넘어가지만, 아무튼, 몇권 더 보고 싶어졌다. 나름 분석해보면, 이제 '일상'에서 '행복'을 찾고 싶은 마음 때문이 아닐까?



일단은 이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