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먼 북소리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키의 소설보다는 그의 잡문을 좋아한다고 말하곤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키'를 알게 된 것은 '노르웨이의 숲'이라는 노란 표지의 장편소설을 통해서였다. 그의 소설이나 에세이들을 읽고난 후의 감상은 딱히 이러이러한 점이 좋고 이러이러한 점은 싫다고 말하게 되지는 않는다. 그저 그의 에세이가 소설보다는 좀 더 웃긴 것 같아. 라고 말할뿐이었다.
'먼 북소리'는 하루키가 남유럽( 주로 그리스와 이탈리아) 에서 머물면서 두 장편소설 '노르웨이의 숲'과 '댄스댄스댄스'를 쓰는 삼년동안의 스케치이다.
그는 이 책을 쓰는 것에 장편소설을 쓸 때와는 또 다른 중요한 (복귀의 )의미를 두었고, 그렇게 쉽지많은 않게 때로는 즐겁게 이 글을 썼었다. 뒤늦게 이 책을 읽게 된 나는 새삼 하루키를 다시 보게 된다. 하루키의 여행기를 읽는 것은 세번째임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는 그 전에 읽었던 익숙한 곳( 미국은 왠지 여행이 아닌것 같다.) 에 대한 이야기보다 훨씬 더 마음에 아련하게 와 닿았다.
그리스에서 읽는다고 해서 그리스 여행기가 딱히 남다를껀 없다.
남는 것은
그.래.도. 그리스는 여행할만 한 곳이구나. 하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는 갈 곳이 못 되는구나 하는 두가지 생각이다.
위트있고, 낙천적이며, 관찰하는 것을 좋아하는 일본인 아저씨.
'심심하고 정말 할일이 없어서' 라는 말이 심심치않게(? ) 나온다. 그 말을 보면서 '심심한것' 마저 어느정도는 중요하고 , 어느정도는 '재미'도 있다는 역설적인 기분이 되어버린다. 나의 '심심한' 여행에 어느정도 면죄부를 얻은 것 같기도 하고 말이다.
여기서는 이것도 보고, 저것도 보고, 다 봐야해. 새벽부터 밤늦도록 눈에 불켜고 돌아다니는 여행도 할 수 있지만, 때로는 길 잃기를 밥먹듯하며, 우연히, 어, 이거 아크로폴리스네? 어, 이거 고고학 박물관이네? 하는 것도 여행의 한 방법이다. 쉴새없이 몰아치는 일상에서 벗어난거잖어. 'take it easy, man'
물론 나는 하루키처럼 모든면에서 넉넉하게 여행하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무지하게 바쁜 시기에 눈 딱 감고 내버린 3주의 휴가이긴 하지만, 관광청에서 돈대주는 것도 아니고, 돌아다니면서 하는 일이라곤 순수하게 소비적인 일이라 왠지 심심하고 느긋하면 안 될것 같은 죄책감 느껴지던 찰나에 이 책을 읽으면서 딩굴거리는 것은 소박한 행복임을 느낀다.
좀 더 현실적으로 남은 것 몇가지는 집으로 돌아가면 수영도 배우고, 면허도 따야겠는것. 어떤 외국어든 익혀서 '먼 북소리' 기다릴 것 없이 내가 북치면서 또 떠나자는 것. 아테네 어느 호텔방 더블침대에 홀로 누워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