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도 없는 당근이 도마 위에 누워 있다.
나는 언제나처럼 0.1초 정도 재빠르게 그것을 훑는다.
어느덧 중년을 넘어선 내 앞에 이제 겨우 몇 개월을 살았을 뿐인 당근이 자신의 마지막 생을 맡긴 채 누워 있다.
일순, 마음 깊은 곳에서 목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로 시작하는 '채소의 신'
귀여운 일러스트 표지와 제목으로 일단 사고 본 책인데, 첫문장부터 마음을 확 사로잡는다. 원서 따라왔는데, 잘 따라왔다.
마음의 소리를 따라, 나는 요리사가 아닌 한 명의 인간으로서 당근을 대한다.
나에게 요리란, '한 생명의 본질이 다른 생명을 살림 조화로운 창작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창작을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상대를 제대로 아는 것이다.
그동안 내가 배운 당근에 관한 지식이나 경험은 방해만 될 뿐이다.
나는 눈앞의 당근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
머릿속에 달라붙어 있는 잡념을 지우고 내 안에 잠들어 있는신성함을 끌어 모아 완전히 새로운 눈으로 당근을 바라본다.
스윽 하고 당근에 칼집을 넣는 순간 당근 특유의 냄새가 코끝을 스친다.
마지막까지 당근을 정성껏 보내줘야 한다는 긴장감과
세상에서 오직 하나뿐인 이 당근을 다시 살려야 한다는 책임감이
내 안에서 간절한 기도처럼 솟아난다.
나는 무엇을 만들지 정하지 않고 요리를시작한다. 요리와 재료에 대한 개염을 정해두지 않기 때문에 재료의 상태를 보면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채소는 '이런 것이다'라는 개념 자체가 없으니까 채소가 가진 무한대의 가능성을 시험해볼 수 있다.
개념은 과거의 경험 우에 만들어진다. 어째서 개념이 생기는 것일까?
사회의 고정화된 개념은 공통의 인식을 바탕으로 안정을 모색하기 위한 여할을 담당한다.
이런 책이다. 막 진지한 이야기를 진지하게 하다가 갑자기 두부곤약하야시라이스. 이렇게 레시피가 나와버리니 뭔가 경건한 마음에 두 손 모으고 읽다가 웃음이 피식피식 나면서 그 반전의 리듬에 익숙해지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불이 닿아 보들보들해진다는 것은 곧 달고 맛있어진다는 말과 같다. 일반적으로는 조리 시간을 가능한 한 단축하는 것을 가치 있는 일로 여기지만, 천천히 시간을 들여야 완성할 수 있는 맛이 있다. 나는 그 기다림의 시간이 몹시 사랑스럽다.
기다림을 고통스럽거나 쓸모없는 일이라고 여기지 말고, 즐길 때에야 비로소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작지만 소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굉장히 심플하지만 공들인 시간만큼 더욱 맛있어지는 이 요리는 별다른 소스 없이 그대로 먹어도 충분히 깊고 균형 잡힌 맛일 터. 물론, 식어도 정말 맛있다.
"요리는 채소의 생명을 빌려 완성하는 거예요!" 나는 요리 교실에서 이런 말을 자주 한다.
그러면 학생들은 깜짝 놀란 표정을 짓는다. 요리를 할 때 '채소=요리의 재료'라고 인식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채소에게도 생명이 있다는 사실을 잊고 종이나 천처럼 무언가를 만들기 위한 하나으 재료라고 여기고 마는 것이다.
"채소 하나하나는 서로 다른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자세히 한번 보세요! 같은 채소라도 어제의 얼굴과 오늘의 얼굴은 분명 다르답니다" 하고 나는 학생들도 채소의 생명력을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힘주어 이야기한다.
이 책을 뭐라고 말해야 할까. 인용한 글들을 보면 감이 잡히려나? 반 정도 읽었는데, 감이 안 잡힌다. 어떤 책인지는 알겠는데, 그동안 읽었던 다른 책들과 비교를 할 수가 없어서 말이다.
읽다보니 무지하게 배가 고파졌기에 이 책을 읽고 떠오른 가장 완벽한 음식, 흑석동 최고의 맛집에 가서 '비빔밥'을 먹어야겠다. 채소를 온몸으로 느끼며 먹어주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