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개와 혁명 - 2025년 제4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예소연 외 지음 / 다산책방 / 2025년 2월
평점 :
장강명의 '한국이 싫어서' 에서 따온 제목 맞다.
나는 굳이 한국 소설이 싫다는 말을 꽤 자주 하고 다녔다. 내 기준 안 읽는거고, 사람들 얘기하는 책들은 궁금해서 다 읽어보긴 했다. SNS에서 한녀 문학 플로우와 안다무 (안온 다정 무해) 플로우를 보면서 관심이 생겨서 본격 찾아 읽기 시작했고, 지금도 계속 꺼려지는 마음이 있지만, 좋아하는 작가들도 생기고, 내가 '싫다' 라는 말 속에 숨겨둔 마음이 뭔지 생각 중이다. '위픽' 시리즈 읽으면서 한국 문학에 대한 거리감을 많이 줄이기도 했다.
그렇게, 이것 저것 사람들 얘기하는 책들 찾아 읽다가, 가장 최근 플로우로 한국 소설 이제 안다무는 지났고, 다양한 소재의 다양한 글들 나온다.는 글 보고, 그래? 그런 것 같긴 했지. 그렇다면, 요즘 나오는 소설들 읽어볼까? 하고 찾은 것이 수상작 모음집이다.
젊작상(젊은 작가상) 은 종종 봤는데, 이상 문학상은 정말 오랜만에 읽는다. 결론부터 말하면, 정말 좋았다. 단편들도 좋았고, 단편에 대한 작가의 말과 인터뷰도 좋았고, 심사위원들 말과 수상작을 고르는 과정의 이야기들이 나온 것이 좋았다. 한 해동안 나온 300여편의 한국 단편소설들 중에 예심 결과 30여편을 뽑고, 그 중에서 여섯 편을 뽑았다. 예소연의 <그 개와 혁명>은 만장 일치 대상이었다고 한다. 그 과정에 대한 이야기들이 축제 같아서, 한국 소설에 대한 애정이 조금 더 생겼다.
<그 개와 혁명>은 저자의 아버지 간병 경험이 녹아 있는 이야기이다. 책 속에서 운동권이었던 엄마와 태수씨. 그들의 친우들, 혹은 동지들. 그리고, 개. 김기태의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도 생각나고, 정지아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도 생각났다. 간병 돌봄과 장례식 이야기인데, 우울하기보다 위트 있다. 운동권인 태수씨와 페미니즘 이야기 나오는 것도 세대간 이야기도 좋았다. 짧은 단편에 재미와 의미와 다양한 이야기와 개가 꽉꽉 눌러져 있는데, 무겁지 않고, 가벼워서 좋았다.
다 좋았지만, 인상적이었던 단편은 서장원의 <리틀 프라이드> 와 최민우의 <구아나> 두 작품 다 주인공들의 수치와 모욕감, 열등감, 등이 단순하지 않게 읽혔다.
이 작품집에 나온 작품들 모두가, 우리나라의 지금을 반영하고 있다. 이래서 한국 소설 읽는구나 싶기도 했고, 왜 좋은지, 왜 싫은지도 좀 알 것 같았다. 안다무의 유행은 지나갔다는 이야기에는 반 정도만 동의할 수 있을 것 같다. 베이스가 좀 안다무야. 언제부터 그랬지? 더 예전 소설, 안다무 이전의 소설들을 읽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안다무가 싫은건, 안온하고 다정한건 과대평가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책에서 읽다보면, 수동적이고, 체념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을 때가 많아서이다. 무해한건 그게 당연한거여야 하는데, 굳이 무해를 찾게 만드는게 싫어서이다.
여튼, 소설만큼이나 분량 많았던 대담, 작품해설, 심사평은 나 같은 새로운? 독자를 끌어오기에 좋은 시도였던 것 같고, 한국 단편 소설들을 더 부지런히 챙겨 읽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