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책을 읽고는 싶은데, 딱히 손에 잡히는 책이 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뭐에도 심드렁할때, 후회 없는 작가는 시마다 소지,쿄고쿠 나츠히코 정도인가?

여름이다. 추리소설의 계절이다.
알라딘의 추리소설 관련 이벤트는 언제쯤 시작하더라?
(동서미스테리는 언젠가부터 30% 이벤트 하고 있다는.. 1000권 낸다더니, 지못미ㅡㅜ)

어떤 이벤트를 할지는 모르겠지만, 기대기대( 하면서 은근히 압박)
개인적으로 구매왕 뭐 이런 이벤트보다는 지난번의 추리매니아 인터뷰 같은 것이 재미있었다.
리스트 만들기 놀이도 언제나 재밌고. 딱히 떠오르는 아이디어는 없지만(응? 니가 왜 고민이야?)
편집팀의 기발하고 유익한 이벤트를 기대해본다!

무튼, 심드렁한 기분에 잡은 책은 존 딕슨카의 <연속살인사건>이다.
굉장히 느린 모 싸이트를 보면서 한페이지 넘어갈때마다 한두장씩 읽어내서 이제 2/3쯤 읽었다.

그러고보니, 변역된 작품 중에서는 딕슨 카의 마지막 작품이지 싶다.

존 딕슨 카의 특징이라면, 초현실,자살, 기괴, 해골, 마술, 밀실, 기데온펠, 탑, 추락, 괴팍한 노인네 등등등

가장 먼저 읽었던 것은 <황제의 코담뱃갑> 해문시리즈로 가지고 있는데, 내용은 거의... 기억이 안난다는; 마주보는 집에서 누가 죽었는데, 자살이니 살인이니 뭐 그런 이야기. 이 작품에서는 딕슨 카의 기괴함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트릭의 기발함(?) 과 독자에게 페어했고, 재밌게 읽었다.. 는 기억정도만..
그러고보니, 가장 최근에(라고 해봤자 작년) 읽었던 <해골성>도 내가 읽었나 안읽었나 가물가물해서 찾아보니, 맨 위에 내 리뷰 -_-a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은 물론 <모자수집광 사건>이다. 웃기기도 웃겼고, 가장 인상적인 기데온 펠(딕슨 카 소설의 탐정인 괴짜(?) 박사) 이기도 했다. 음침한 런던탑 분위기도 일품이다.

<화형법정>역시 <모자수집광 사건>과 더불어 가장 기억에 남는 딕슨 카의 소설.
마지막 결말의 섬찟함. (이건, 전혀 예상치 못했던 결말이기 때문에 더욱더)  

<세개의 관>은 분위기 한음침 하지만, 너무 억지스런 트릭 끼워맞추기 때문에 몰입이 힘들었다.

여름에는 미스테리! 지만,
그 중에서도 딕슨 카의 호러 미스테리는 더욱 이 계절에 어울린다.

지극히 개인적인 재미로 꼽아보는 순위는  
모자 수집광 사건> 화형법정>황제의 코담뱃갑> 연속살인사건>해골성>세개의 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8-06-18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로서 동서에서 나온 존 딕슨 카 책은 모두 클리어- <연속살인사건>에는 의외로 코넬 울리치의 <죽음의 무도>가 뒤에 숨겨져 있어서 급반갑-

hnine 2008-06-18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중에 제가 읽은 책은, 음...물론 한권도 없습니다 ㅋㅋ
그런데 저기 '세개의 관'이란 책의 표지 그림이 섬찟해요. 관의 크기가 꼭 한 가족의 죽음을 연상시켜서요. 벌써 무서울라하네요....

하이드 2008-06-18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속살인사건 표지는 자세히 보시면 더 끔찍해요. ㄷㄷㄷ

비로그인 2008-06-20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긴 저도 어젠가 "저두 모자 수집광 사건> 화형법정>황제의 코담뱃갑 봤어요=3=3"라고 하려다가 그옛날의 쬐끄많던 동서추리문고를 수없이 읽던 날들을 떠올려만 보고는 조용히 사라진 방문객중 하나였구만요. 모자 수집광 사건의 생생한 묘사와 화형법정의 마지막 장면은 아직도 생각이 난다는..
 



<윤광준의 생활명품>을 읽으면서, 내가 가지고 있는 비슷한 소재의 다른 책들을 소개해본다.

그 동안 대부분 전문 디자인 책이거나, 외국의 책으로만 접해왔던 '일상의 디자인' 에 대한 소재에 대한 책을 우리말을 맛깔스럽게 쓸 줄 아는 저자의 글로 보니, 조금 아쉬운 점은 있지만 예뻐보인다.

<디자인, 일상의 경이>
humble masterpieces 겸손한 마스터피스
EVERYDAY MARVELS OF DESIGN 매일 보는 디자인의 경이

저자는 세계최고의 디자인 전문가로 최근의 [아트리뷰]에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계 인사100인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이 책은 MOMA에서 2004년 열렸던 전시회의 작품들을 정리해 놓았다.



 
 
 

 

 

 

책을 살 때는 몰랐는데, 다 읽고 맨 뒤의 모마 전시 이야기를 읽고 보니, 2007년 여름 모마 방문시에 방문했던 그 전시관이다. (->)

책에는 현재에도 쉽게 볼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해서만 쓰고 있다.

책에 나오는 사진은 우리에게 익숙한 물품들을 접사하여, 첫 페이지의 사진만 보고는 '이것이 무엇인가' 놀라게 하고, 다음 페이지에 유래에 대한 정보와 의의를 알려주고 있다. 소장할만한 모마 전시 도록이라고 해도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

등장하는 것은 아이스크림 콘, 마스카라봉, 바코드, 각설탕, 야구공 등의 물품많은 아니다. I ♡ NY 과 같은 로고나 당췌 일상에서 보기는 힘들지만, 알고 보면 매일같이 쓰고 있는 '스파크 플러그' 와 같은 부품까지도 커버하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고무 밴드, 밴드에이드, 지우개, 마스카라 솔 등은 우리가 일상에서 항상 함께 하는 것들이다. 그 물건들은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특별히 우리의 관심을 끌지 않는다. 그러나 부담 없는 가격과 이와 같은 미미한 존재감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야말로 디자인 예술의 진정한 걸작이며 무조건적인 칭송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 는 저자의 의도는 이 책에서 분명하게 보여진다. 인간에게 편리하고 소통하는 디자인에 대한 믿음.

그녀가 그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아무렇게나 쓰고 마는 소품들은 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오늘 나는 언제나 머리에 달고 다니는 '바비핀'을 보며 바비핀을 만들어준 구디 프로덕츠의 레너드 굿맨에 대해 3초동안 고마움의 묵념을 하기로 했다.


1000 EXTRA/ORDINARY OBJECTS 1000가지 특별한/평범한 제품들
언제나 믿음가고 돈값하는( 아, 이 저질스런 표현^^:;) 타쉔의 책이다.
이 책은 같은 소재의 약간 다른 야심찬 이야기이다.
People like to surround themselves with objects- it's part of our nature. It may be an anal instict, but w like our stuff.
People are surrounded by their objects- whether they are useful, decorative, beautiful, ugly, common or rare, we can't help but leave clues everywhere as to our identity. Clues about our culture, national identity, political ideology, religious affiliation and sexual inclinations, our objects reflect who we really are and who we want to be. (...) To find out how and why people use certain objects, we take a closer look at them. We have made pictures of our ancestors from the things they have left behind. So it will be for the archaeologists of the future- by our objects you will know us.

좋든싫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물건들은 우리를 말한다. You are what you are surrounded.
필요에 의해 생겨나고,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금지되는 물건들은 우리가 석기시대의 돌도끼를 보고 그들을 삶을 짐작하듯이
미래의 고고학자들에게 현시대의 인류를 조망할 수 있는 힌트가 되어줄 것이다. 한발짝 떨어져서 본 '우리가 사용하는 물품들을 통한 우리의 모습 고찰'


세계각지의 (어딘가에선 기발하고, 어딘가에선 평범한) 물건들이 자유로운 편집으로 책갈피갈피마다 편안하게 자리잡고 있다. 이런 고단수의 편집은 아무나 못한다.( 아무나 하면 안된다! 환경오염이지!) 물건에 대한 설명들은 어떤 의미를 던지려고 노력한다기보다, 제품 설명과 선전스럽다. 그래서 더욱 와 닿는 종류의 책이다.

NON INTENTIIONAL DESIGN
: 이 책에 대해서는 이미 이야기 한 적 있다. 의도하지 않은 그야말로 생활의 디자인!
젤루 좋아하는 책이다. 용도를 넘어서는 기발한 창의력과 보편의 힘!!

http://blog.aladin.co.kr/rosalyn/1032815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06-08 2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 샹들리에 참 신기하게 생겼어요. 예쁩니다.

하이드 2008-06-09 0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갈란드.라는 이름의 조명이에요. 펴져 있는 철판을 구부려서 만드는건데, 정말 이뻐요-!
 

무려 20일이나 전부터 예약판매를 하다니 -_-+

 

 

 

 

 

가끔 예약판매의 심보가 궁금하다.
일단 '평범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얼핏 생각나는 것은
일단, 책이 비싸고, 잘 안 팔릴 것 같을때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해서?
예약판매를 통해 고객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무튼 미야베 미유키의 새 책은 완전 기대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차를 보니, 당장 읽고 싶은데, 아직 오프에도 안 깔렸다고 하고,
 온라인에도 6월10일이나 도착하니, 오호, 통재로다~~

 혹, 표지가 이상하면 어쩌나 혼자 고민스러워했는데,
 (빈말 못하는 성격상;; 얼마전 어떤 표지 때문에 내가 괜히 무지 부끄러웠던 기억 )
 평소 아는 그 분 답게 아주 이쁘게 빠졌다.

 

------------------------------- 목차는 살짝 접어주기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와 2008-06-04 1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아~~~~!!! +_+

우리(?)가 아는, 그분이 맞죠?!
(이런, 그러고 보니 그분과는 안면을 안 텄군요. 아하하 ^^;)

일단 보관함으로! 정보 감사합니다. 하이드님.

비로그인 2008-06-04 1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주문했는데 주문하고 보니 더 기다려야 한다고 해서 흑, 별 수 없지요. 기다리고 있습니다. 표지가 정말 좋아요.물론 읽어보면 표지만 좋은 게 아니겠지요. 기대만발.

플라시보 2008-06-13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잇힝 하이드님 고마워요.
언제 서울가면 시원하게 술 한잔 합시다.
그때가 기억나는군요. 호호호.
우린 왜 취하지 않는걸까요? 낄낄
 

근데, 살만한건 이거 한권뿐이라는..

 

 

 

 

 

내 손이 꽤 작음에도 불구하고, 한 손에 들어오는 책.
뒷장이 살짜그니 비춘다는 단점
글씨는 생각보다 꽤 크다는 장점

무엇보다도 가벼워서 한번에 세권씩도(욕심욕심- ) 가뿐하게 넣어 다닐 수 있다는거.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eylontea 2008-05-08 09: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 책 가볍고, 작고 이런거 좋아요.
책을 너무 폼나게만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blanca 2008-05-08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제 눈엔 하이드님 손이 먼저 들어온다는 것^^ 메니큐어 색깔도 넘 신비하고 손도 넘 이쁜데요^^

Mephistopheles 2008-05-08 17: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손등이 손등이.....(중략) 되부렸어요=3=3=3=3=3

딸기뿡이 2008-05-25 2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도 살 게 이거 한 권 뿐이더라고요. 더 많았으면 하고 바랐는데. 페이퍼북 사진 제 블로그에 올려도 될까요? ^^

하이드 2008-05-26 14:06   좋아요 0 | URL
넵 ~ 출처 달아주시면 고맙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