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초록을 내일이라 부를 때 - 40년 동안 숲우듬지에 오른 여성 과학자 이야기
마거릿 D. 로우먼 지음, 김주희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럴 생각은 아니었지만 새벽에 눈을 뜨게 되었고, 그날따라 오후 늦게 두 잔째 커피를 마셨고, 또 그날따라 업무와 관련하여 상급자의 부당한 말에 대해 대꾸하기를 포기해 스스로 억울함과 분노가 뒤섞인 마음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러던참에 가까이 있는 책을 집어들었고 혹시나 잠들 수 있으려나 기대를 하며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출근해야하는 것을 잊을만큼 책의 내용에 빠져들어버렸다. 그날따라 나의 상황에 대한 위로를 전해주는 듯, 따뜻한 조언을 해 주는 듯 자신의 이야기를 별일아닌 듯 툭툭 털어놓는 로우먼의 이야기는 내 마음에 쏙쏙 박혀들었다. 마침내 마지막 문장을 읽을 때, 어린 시절 나무타기를 해보지 못한 것이 그렇게 아쉬울줄은 몰랐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활동은 모든 아이에게 생명의 근원인 숲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럼, 나무 타기부터 시작할까?"(454)


나는 특별히 '여성' 과학자라는 말을 하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그저 '과학자'라고 표현을 하는데 이번만큼은 특별히 '여성과학자'인 마거릿 로우먼에 대해 말하고 싶다.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고 수줍음이 많고 여러사람 앞에 나서는 것을 못하는 그녀가 별일 아닌 듯이 이야기하는 내용에는 식물표본을 만드는 기본도 모르지만 과학대회에 나가 상을 받고 - 그녀가 대회장에 간 날은 그녀의 아버지가 기름값을 할인하지 않는 날 주유를 한 유일한 날이었다. 훗날 그녀가 출장을 가야할 때마다 그녀의 아이들을 돌봐준 어머니까지 그녀의 부모님은 정말 훌륭하신 분들이 아닐까. 물론 그녀의 시부모에 대한 이야기는 언급하고 싶지 않지만 며느리의 역할과 책임은 농장을 이어받을 대를 이어 줄 남자아이의 출산과 양육뿐이라는 것을 강조했다는 것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그 환경을 떠나 아이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 한시적인 교수직이라 생각했지만 결국 그녀는 지적망명을 위해 이혼을 하고 미국에 정착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화가 나는 것은 로우먼이 회의에 가서 커피 심부름을 거절하지 못하는 것이고, 다른 교수에 비해 적은 급여를 받아야했고, 능력과 업적이 우수함을 결과적으로 입증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한직으로 내쫓겨야했다는 것들이다. 아마도 한밤중에 더욱 잠을 이루지 못한 것은 이런 부당함이 느껴지는 이야기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밤새워 책을 다 읽어버리게 한 것은 그런 부정적인 이야기보다 그녀가 결국 이뤄낸 수많은 성공과 나무에 대한 애정, 지구의 생태 숲을 지키려는 그 열정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유칼립투스는 코알라의 먹이가 되는 좋은 나무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에티오피아에서는 환경을 망가뜨리는 외래종이다. 지역의 숲을 지키기 위해 무조건 막거나 없애거나 포기하거나(!)의 결과가 아니라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생태계 보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자산은 신뢰 구축"(397)이라며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은 지구도 살리고 숲도 살리고 지역민들도 살리고 교회도 살려내는 모두가 윈윈윈윈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진정으로 '초록을 내일이라 부를 수 있는' 모습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이야기하는 숲 보전은 윈-윈-윈-윈이다. 농지의 돌을 없애 농작물 수확량이 늘어나면 농부가 승리하고, 하느님의 피조물을모두 구하면 사제가 승리하고, 숲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생활이윤택해지면 지역 주민이 승리하고, 돌담이 성목과 묘목을 보호하면나무가 승리한다. 암하라어로 메나그menagn라 불리는 종교적 은둔자는 우듬지 아래에서 고요한 삶을 살기에 사람들 눈에는 거의 띄지않지만 존재감이 강하다. 대사제 아부네 아브라함Abune Abraham은 수년간 은둔자로 살아왔으나 현재는 바히르다르시 외곽에 자리한 자신의 정교회 교구숲 전체를 복원하고 종교 시설 공동체를 만들고있다. 아부네 대사제는 진정한 선의의 표현으로, 내가 그곳에 자주방문할 수 있도록 작은 석조 오두막을 지어주겠다고 했다. 침묵을중요하게 여기는 사제들을 보면서 어릴 적 수줍음을 탔던 성향이 그리 나쁘지 않았을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 나는 거실에 외로이 서 있는 느릅나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석조 오두막을 지으신 할아버지를 종종 떠올린다. 할아버지가 에티오피아 나무를 지키려고 돌담을쌓는 나를 자랑스러워하며 천국에서 웃고 계신다고 상상한다. 4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관에 스며든 나쁜 리더십은 종종 오랜기간 분위기를 망친다. 직원 사이에 팽배한 불안, 권리를 박탈당한 구성원, 모금실패, 시기저하 같은 문제를 회복하는데 수년이 소요될 수 있다. 더 나쁜 것은, 직장에 만연한 나쁜 리더십을 어떻게 유지하고 휘두르는지 보고 배운 소수의 직원이 때로는 그런 행태를 지속한다는 점이다. 260, 우리가 초록을 내일이라 부를 때, 마거릿 D 로우먼.

40년동안 숲우듬지에 오른 여성 과학자의 이야기.

짧게 읽다 잠들려했는데 새벽이 되어버렸다. 숲, 초록, 미래의 지구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아, 미래의 지구에는 인류종도 들어가 있으니.
가끔씩. 분야를 막론하고 뿜어져나오는 인간에 대한 통찰이 놀라움을 느끼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모든 소녀와 2가지 지혜를 공유하려 한다.

1. 똑똑하고 강해지는 것을 주저하지 말라.
2. 언제나 다른 여성을 보살피고 지지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약 에미 시상식에서 다리 6개 달린 적들의 치명적인 공격에도 살아남은 나무에게 베스트 퍼포먼스상을 준다면 뉴잉글랜드페퍼민트가 수상할 것이다. 뉴잉글랜드페퍼민트는 한 계절에 한 번도 아닌세 번이나 곤충이 잎 전체를 먹어치우는 것으로 관찰된 세계에서 유일한 나무이다. 게다가 몇몇 개체는 가까스로 네 번째 잎을 틔우기도 했다. 이 나무의 회복력은 내가 우듬지에서 만난 다른 어떤 나무보다 뛰어났으나 그 수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뉴잉글랜드페퍼민트종은 한 잎당 연평균 50퍼센트씩 잎 면적을 잃으며, 현장 탐사기간 동안 곤충에게 잎을 가장 많이 먹혔다.
(... ...)
유칼립투스는 숨 가쁘게 변화하는 기후를 견딜 만큼회복력이 강할까? 종자 은행에 보관된 종자들의 유전자적 다양성은변화한 기후에 대응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할까? 시간이 지나야 알 것이다. 인간이 저지르는 학살로 나무가 점점 더 많이 희생되고 있기에, 나는 나무 탐험가로서 뉴잉글랜드페퍼민트를 비롯한 나무들을 위해 쉬지않고 목소리를 낼 것이다.
220-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