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호흡법 아나빠나삿띠
붓다다사 지음, 김열권.이승훈 옮김 / 불광출판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성우위의 입문자를 위한 도서이며 동시에 수행의 과정에 자신의 경험과 대조해 볼 수 있는 지도map같은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글로 키스를 배웠어요" 같은 책을 권하고 싶지는 않다.

19살 때 대학생이던 교회 누나가 내게 키스를 하면 어떤 느낌이냐고 자기 친구들이 그러던데 정말 종소리가 들리냐고(--); 물어보던게 생각이 났다. 종소리는 모르겠는데 범종소리는 들리더라고 그럴껄 그랬나 싶다.(아! 당시는 나도 키스를 해 보지 못했을 때다. 그 누나가 왜 내게 키스를 물었는지 이제는 알지만 몰랐던 그 시절의 내가 더 그립다)


당시에 그 누나 아마 글로 키스를 배울 것 같던데 제길 키스의 방법과 키스의 느낌과 키스 후의 대처방법 등을 모조리 책으로 배울 필요가 무엇일까? 키스는 학문이 아니라 경험이다. 공상이 아니라 실제여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붓다의 호흡법 아나빠나삿띠는 자신이 지적이라고 자평하는 사람들에게나 입문서로 권할 수 있을 것 같다. 솔직히 이렇게까지 세밀한 분류체계가 수행에서 어떤 의미일까 싶다. 수행은 입맞춤과 다름없다. 그것을 경험했거나 경험하지 못했거나다. 숱한 분석과 분류는 경험과 함께 깨어서 해야 할 것이라고 여긴다. 이 정도로 세심한 분류는 경험해야할 것을 재단해서 던져주는 것뿐이다. 


물론 그런 방향도 의미가 있다고는 여기지만 순수한 입맞춤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내가 가야할 길을 지도로 내지는 내비게이션으로 충분히 정확하게 알아보고 갈 것이다 한다면 당연히 그런 사람들에게는 권할만한 도서다. 하지만 산 이름만 알고 대략 험하다 완만하다 정도의 정보(이 책과 비교하자면 [요가수트라]가 이런 정도의 정보다)만으로 처음 산행을 하는 것이 좋더라는 님들에게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이 책은 스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쉬탕가 요가 - 프라이머리 시리즈부터 어드밴스드 시리즈까지
리노 밀레 지음, 홍승준 옮김 / 침묵의향기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쉬탕가 요가의 전체 시퀀스가 담긴 책. 독학용이라기 보다는 아쉬탕가 요가 계열의 학습자가 수련원에서 학습한 것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보아야하는 도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7-12-22 2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하라님, 2017 서재의 달인 축하드립니다.^^

이하라 2017-12-22 21:24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 감사합니다 제가 어쩌다 서재의 달인이 된건지 모르지만 축하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2017-12-23 0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하라 2017-12-23 09:2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뭔지도 모르지만 어떨결에 되었네요 축하인사 감사드립니다^^
 
아쉬탕가 요가 오브 마인드 - 아쉬탕가 요가 프라이머리 입문서
황승욱 지음 / 마음의등불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쉬탕가요가가 무엇인가 궁금해서 읽어본 두권 중 하나이다. (리노밀레님의 아쉬탕가 요가와 본서 황승욱님의 아쉬탕가 요가 오브 마인드라는 두책을 통해 아쉬탕가 요가를 처음 접해 보았다.)


아쉬탕가 요가 오브 마인드를 통해 아쉬탕가 요가가 빈야사(호흡이 동반되는 아사나의 연결동작들), 드리쉬티(각 아사나에 따라 부여되는 각위치의 응시), 반다(요가 호흡과 아사나와 에너지 순환과 유도를 목적으로 인체를 자세나 집중으로 열고 닫는 것)를 합치시킨 차별화된 요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든 요가가 호흡의 중요성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입문시기와 각 아사나를 알아갈 때에는 호흡 보다는 아사나의 완성에 더욱 주의하기를 요구하지 않나? (적어도 아헹가 계열의 요가에서는 그렇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스탠딩 시퀀스를 행해보기 전까지는 더더욱 아쉬탕가 요가에 대한 환상을 지니고 있었다. 


수행해 본 결과는 빈야사라는 것과 반다까지 더해지자 의식이 순화되는 것을 쉽게 자각 가능했고 순식간에 에너지 수준이 상승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입문자가 짧은 시간 안에 에너지를 충전하려한다면 아쉬탕가 요가만 한 것이 없다고 감히 단언해도 좋을 것 같았다. 


하지만 입문시기 부터 호흡을 중시하는 아쉬탕가 요가와 입문시기 아사나의 온전한 완성을 중시하다가 온전한 아사나가 익숙해져가는 시기 호흡을 도입하는 아헹가 요가가 그 조사들의 스승이 한분이라는 것... 그러니까 아쉬탕가 요가와 아헹가 요가를 창시한 스승들이 모두 한시조스승의 제자였다는 것이 참 의외였다. 그런 까닭에 나는 다시 아헹가 요가 계열인 요가디피카의 아사나들을 호흡과 함께하며 수행해 보고 있다. 


아쉬탕가 요가의 프라이머리 시리즈만이 상세한 사진과 설명으로 전개되고 있는 본서는 누구라도 무난히 익힐 수 있을 것 같지만 리노밀레님의 저서를 보니 그 이상의 시퀀스들을 어저스트먼트(아사나에 적응하도록 스승이 자세를 견고히하도록 도와주는 것)없이 독학으로 이루겠다는 것은 어불성설 같았기 때문이다. 


그냥 익숙한 아헹가 요가에 호흡을 더해 보는 정도에서 아쉬탕가 요가를 몇주간이라도 맛본 의의를 찾도록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 신춘문예 희곡 당선 작품집
김연민 외 지음 / 월인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희곡들이 다 저마다 제 색깔을 띄고 있다. 무엇보다 너무 재밌게 읽었다.
12년 전쯤에 신춘문예 희곡집을 처음 읽었을 때와는 너무 다른 감상을 갖게 해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발라 명상 아리예 카플란의 유대 명상
아리예 카플란 지음, 김태항 옮김 / 하모니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명확히 구분하자면 명상안내서가 아니라 백마법 전통을 안내하는 서이다.

전체 460 쪽의 내용 중 169 쪽만 읽어 봤음에도 명상서가 아니라 마법서임을 명백히 알 수 있었다.

저자의 전작 《유대 명상》과 《성경과 명상》을 읽으며 이미 카발라 명상이라는 계통이 명상 수행이 아니라 멜카바를 향하는 백마법 계열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음에도 선뜻 본서를 선택한 것은 실수가 아니었나 싶다.

리뷰를 올리는 본인에게는 그러했지만 마법을 그것도 백마법을 수행의 수단으로 삼는 분들에게는 반드시라고 할만큼 필독을 요하는 책임에는 틀림없을 것이다.


《유대 명상》과 《성경과 명상》에서 이미 저자가 말하는 깨달음이라는 것이 성령이 임하는 상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하나의 통로(채널러)가 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도 『카발라 명상』이라는 본서에서 동양의 깨달음이 이르는 길을 찾고자 했으니 본인의 어리석고 둔함을 탓해야지 본서에게 탓을 한들 어쩌겠는가? 


본서의 <3장 아브라함 아블리피아>장에서 이르는 명상법 곧 마법은 히브리 문자를 치환하고 발성하여 변성의식상태로 이르르고 천사와 하나님의 영향력하에 들어서는 길을 가르치고 있다. 상세한 내용보다는 개론서적이라 할 수 있는데 개론서라기엔 또 충분히 상세한 편이다. 본서의 내용은 히브리어 알파벳이 익숙한 상태에서 접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히브리어 자음 모음 정도는 유투브 검색을 통해 쉽게 배울 수 있다) 모른다고 해도 딱히 문제 될 것 없는 것은 평균 정도의 지능이면 본서에서 제시하는 도표와 본문의 모음 발성법만으로도 쉽게 히브리어 자음 모음 발성 정도는 배울 수 있게 안배된 책이다.


다만 히브리어를 읽을 수 있다고 해서 본문에서 가르치고 있는 문자치환 명상(저자는 명상이라고 하지만 분명히 마법체계인)법을 쉽게 구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세페르 예치라>를 근거로 해서 전하는 저자의 말로는 문자 치환에 있어 3개문자로 이루어진 단어는 6개로 치환하고 4개 문자 단어는 24개, 5개의 문자 단어는 120개, 6개의 문자단어는 720개로 단어를 조합할 수 있다고 한다. 문자 치환은 조합과 발성, 이해(의미를 마음으로 새기는 것)를 함께 해야하는 것으로서 원래 유대문화를 깊숙히 이해하고 있는 유대인이거나 적어도 성서 히브리어를 다년간 익혀 각 문자의 원뜻을 충분하고 깊게 습득하고 있는 분들에게 해당하는 수행방식이라고 본다.


대개 마법 계통을 연구하는 분들은 히브리어를 독음하고 해당 알파벳과 숫자배열을 할 수 있을 정도만 히브리어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저도 그런 경우에 해당하지만) 문자치환 수행(마법)에 정통하려면 히브리어 어휘들을 많이 익히고 기억하는 분들이어야 할 것 같다. 


역시 수행은 자신의 출생지역의 문명에서 자라면서부터 익숙해지는 문화가 담긴 것이면 더 좋지 않나 싶다. 하긴 기독교와 불교, 이슬람이 전세계로 확산해 있는 지금에서는 자신에게 익숙한 문화라는 것이 꼭 출생지역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닐 것도 같다. 그러니 본서를 꼭 수행하고 싶다는 분들은 구약의 히브리어를 다년간 공부하고서 본서의 수행(마법)체계를 접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한다. 문자치환 명상은 조합과 발성과 이해가 아울러서 동반되어야 하는 체계이므로 치환을 하면서 사전을 찾아보는 것은 권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